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2

        108.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 체외 수정란의 팽창 및 hatching시 prostaglandin 와 prostaglandin 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체외 수정란의 체외 배양시 다음과 같이 (1) 0, 1, 10 및 100ng/ml , (2) 0, 1, 10 및 100ng/ml , (3) low (1ng/ml : 1ng/ml), (4) low , (5) high (10ng/ml : 1ng/ml), (6) high : high (10ng/ml : 10ng/ml)로
        4,000원
        109.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taxanthin is a kind of carotenoid compounds, having a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 antioxidative mechanism by which carotenoid scavenge free radicals has been clearly elucidated, but has not tried for the development of mammalian preimplantation embry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astaxanthin on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in vitro fertilized embryos. Porcine embryos derived from in vitro fertilization (IVF) were cultured in 5% CO2 in air at 38.5℃ in PZM-3 medium supplemented with different dosages of astaxanthin (0, 1, 5 and 10 M) and taurine (0, 1, 2.5 and 5 mM) as a positive control, and execute to compare the effects of various antioxidants such as taurine, melatonin and asculatin on in vitro development. The proportions of embryos developed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increased when 1 and 5 M of astaxanthin (26.6 and 23.4%, respectively) and 1 and 2.5 mM taurine (25.8 and 26.4%, respectively) were supplemented, compared to controls (p<0.05). Also, various antioxidant-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blastocysts (astaxanthin, 27.4%; taurine, 29.1%; melatonin, 26.8%; aesculetin, 27.9%, respectively ) than control (18.8%).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an cell number of blastocysts between antioxidants and control. This result indicates that astaxanthin has an antioxidant feature when porcine IVF embryos were cultured in vitro.
        4,000원
        110.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oxytocin and interleukin-1α on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embryo cultured with endometrial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isolated from bovine uterus. The expressions of COX-2 mRNA in bovine endometrium were also studied. When embryos were cultured with epithelial cells, the rate of blastocyst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embryos treated with oxytocin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rate of hatched blastocysts was also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embryos treated with oxytocin than those of two control groups. On the other hand, when the embryos were cultured with stromal cells, the rate of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groups treated with IL-1α, oxytocin and control with stromal cells than that of control group without stromal cells. The rate of blastocysts hatched were also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treated with IL-1α than those of control group without stromal cells and oxytocin group. In another experiment, COX-2 gene was expressed in embryo group treated with oxytocin during the co-culture of embryos with epithelial cells. In contrast, COX-2 mRNA was expressed in group treated with IL-1α when the embryos were cultured with stromal cell. This result shows that oxytocin and IL-1α were stimulate embryo development in vitro when embryos were cultured with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and can affect the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in the uterus.
        4,000원
        116.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Open Pulled Straw(OPS)방법에 의해 동결-융해한 돼지 수정란의 체외 생존 능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을 위하여, 돼지 난소는 도축장에서 회수하였으며, 난구세포로 쌓여있는 난자는 직경 의 난포로부터 난포액과 함께 흡입에 의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을 위하여 5 mM hypotaurine, 0.57 mM cysteine, 10% 난포액, 10 IU/ml PMSG 및 10 IU
        4,000원
        117.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물리적 탈핵 방법인 aspiration 방법과 squeezing 방법을 사용해 핵이식된 소 체세포 복제란의 발달능을 조사하였다. 두 방법에 의해 탈핵된 수핵란에 한우 귀피부 세포를 융합하여 체외에서 7~8일간 배양하여 발육능을 검사하였다. 배양 7일째 배반포 발달율은 aspiration 방법 (31.9±13.4%)과 squeezing 방법 (33.6±15.7%)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배양 8일째 배반포 발달율도 squeezing 방법 (35.3±15.1%)과 aspiration 방법 (37.8±10.4%)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 7일째 배반포의 평균 세포수에 있어 각 처리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aspiration: 110.3±39.2, squeezing: 103.7±42.8), 세포자연사의 비율에 있어서도 역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spiration: 2.8±2.6 %, squeezing: 4.3±4.4%). 본 연구의 결과는 물리적 탈핵 방법인 aspiration 방법과 squeezing 방법 모두 소 체세포 복제수정란의 생산을 위한 유용한 방법임을 보여준다.
        4,000원
        118.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융합 전 수핵란의 활성화 처리 유무와 활성화 처리 시간이 소 체세포 유래 핵이식란의 체외 발육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소 체외성숙란의 탈핵 후 체세포 핵을 이식하고 일부는 전기 융합 후 활성화를 유기하였고(pre-AC), 일부는 먼저 활성화 처리 후 융합을 실시(post-AC)하였다. 난자의 활성화는 Ca2+-ionophore(A23187)로 처리 후 DMAP로 4시간 배양하는 방법으로 유기하였다. 핵이식란은 CR1aa액에서 9일간 배양하여 발육율을 검토하였으며, 활성화 후 30분~2.5시간에 고정하여 confocal microscope 하에서 핵형 변화를 검사하였다. 배반포기까지 발육율은 post-AC구(20.6%)가 pre-AC(15.3%)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활성화 처리를 하여 핵이식란의 배 발달을 비교한 결과 post-AC구가 더 늦은 배 발달 속도를 나타내었다. Post-AC구를 활성화 후 30분, 2시간, 4시간으로 나누어 융합하여 발육율을 검토한 결과 발육율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핵란의 활성화 시간에 따라 핵이식란의 발육 및 핵형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119.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축되는 소 난소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도축장으로부터 실험실로 운반되는 난소 수송 온도에 따른 체외 수정란 생산 효율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도축장의 HACCP 적용으로 도축장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위탁하여 난소를 공급받게 되어 취급자의 부주의로 적절한 온도 유지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겨울철에는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겨울철 난소수송 온도에 따라서 4처리 그룹, 즉 (T1), (T2), (T3) 그리고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