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7

        101.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문동 (Asparagus cochinchinesis (Lour.) Merr.)의 기내생장과 증식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신초의 유기, 생장 및 발근에 적합한 배지, 식물생장조절제, 배양온도를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S 기본배지에 3.0 mg/l BA 처리시 신초의 유기 및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MS 기본배지에 0.5 mg/l IBA 처리가 발근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기내배양 온도는 23~25℃가 적합하였다.
        102.
        200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of Gentiana scabra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was established. Leaves and roots of seedlings of Gentiana scabra excised after germination were cultured on MS basal medium with 2,4-D, NAA or BA. Embryogenic callus was obtained on MS medium with 0.5 mg/L 2,4-D alone or 0.1 mg/L 2,4-D combimation with 1.0 mg/L BA after 45 days of culture. These embryogenic calli gave rise to somatic embryos, which subsequently developed into plantlets on MS medium without PGRs. Also, shoots were effectively differentiated from embryogenic callus when root segments were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 with 0.1 mg/L 2,4-D and 1.0 mg/L BA. Shoots were effectively rooted on MS medium without PGRs. In vitro flowers were formed from plantlets cultured on MS medium with 5% sucrose after 60 days of culture.
        103.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색 칼라 세 품종(Sunlight, Chiante, Pink Persuation)의 기내 급속증식체계를 확립코자 정단분 열조직을 배양함에 있어 callus, 신초 및 뿌리 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효과와 sucrose가 기내 괴경 형성 및 비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식물체는 캘러스를 통하거나 또는 치상체에서 직접 분화되는 두 경로로 형성되었으며 2.0 mg/L BA 단용 처리에서 Sunlight품종은 53.3% 캘러스를, Chiante 품종은 56.7% 직접 신초를 형성하였다. 2.0-3.0 mg/L BA 단용 처리는 품종별로 식물체재 분화 빈도가 20-70%로 차이가 있었으나 세 품종 모두 3.0 mg/L. BA 단용 처리에서 신초 분화가 양호하였다. 다아체 형성에 미치는 cytokinin의 효과는 Sunlight품종은 1.0 mg/L 2ip 처리로 16개체를, Chiante 품종은 5.0 mg/L BA를 처리로 14개체를, Pink Persuasion품종은 1.0 mg/L BA처리로 12개체를 형성하였다. NAA는 세품종 뿌리분화에 효과가 없었으며 Sunlight 와 Chiante 품종은 1.0 mg/L IAA에서, Pink Persuasion 품종은 2.0 mg/L IBA가 효과적이었다. 괴경형성에 미치는 sucrose는 Sunlight 품종은 90 g/L, Chiante 및 Pink Persuasion 품종은 70 g/L 가 괴경 형성 및 비대에 효과적이었다.
        105.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st explant source and combination of media and growth regulators for the regeneration of multiple shoots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cv. ‘Iksannamulkong’. Multiple shoots could well be directly induce
        106.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nduces well-documented mitogenic and differentiating effects on murine and bovine preimplantation embryos. However, the effects of EGF on apoptosis and implantation-related gene expression in bovine embryos developing in vitro have not been evalua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xogenous EGF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BSA on the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In addition, we measured cell number, apoptosis, and expression of apoptosis and implantation-related genes of the blastocysts that developed in these culture conditions. In vitro produced bovine embryos were randomly cultured in the same medium containing 0 or 10 ng/ml EGF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0.8% BSA. More 2-cell embryos developed into blastocysts at day 7 when BSA was present than when BSA was absent. The addition of 10 ng/ EGF into the medium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developmental rate and the cell numbers per blastocyst. However, addition of EGF in the presence of 0.8% BSA significantly reduced the degree of apoptosis in the blastocysts (P<0.01). To investigate whether EGF modulates mRNA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mRNA was prepared from single blastocysts and each preparation was subjected to RT-PCR for Bcl-2 and Bax transcripts. EGF did not alter the relative abundance of Bax gene expression in the presence of BSA, but increase Bcl-2 (P<0.01) The relative abundance of Interferon tau expression was increased by EGF treatment in the presence of BSA.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F and BSA synergistically enhance Bcl-2 and interferone tau gene expression, which may result in a net increase in viability in bovine embryos.
        107.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mbryonic stem (ES) cells proliferate extensively in the undifferentiated state and have the potential to differentiate into a variety of cell types in response to various environmental cues. The generation of functional dopaminergic neurons from ES cells is promising for cell replacement therapy to treat Parkinson's disease. We compared the in vitro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pluripotent human embryonic stem (hES, MB03) cells induced with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or retinoic acid (RA). Both types of treatment resulted in similar neural cell differentiation patterns at the terminal differentiation stage, specifically, 75% neurons and 11% glial cells. Additionally, treatment of hES cells with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or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during the terminal differentiation stage led to significantly increased tyrosine hydroxylase (TH) expression, compared to control (P<0.05). In contrast, no effect was observed on the rate of mature or glutamic acid decarboxylase-positive neurons. Immunostaining and HPLC analyses revealed the higher levels of TH (20.3%) and dopamine in bFGF and TGF- treated hES cells than in RA or BDNF treated hES cells. The results indicate that TGF- may be successfully used in the bFGF induction protocol to yield higher numbers of functional dopaminergic neurons from hES cells.
        108.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nduces well-documented mitegenic and differentiating effects on murine and bovine preimplantation embryos. However, the effects of EGF on apoptosis and implantation-related gene expression in bovine embryos developing in vitro have not been evalua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xogenous EGF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BSA on the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In addition, we measured cell number, apoptosis, and expression of apoptosis and implantation-related genes of the blastocysts that developed in these culture conditions. In vitro produced bovine embryos were randomly cultured in the same medium containing 0 or 10 ng/ EGF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0.8% BSA. More 2-cell embryos developed into blastocysts at day 7 when BSA was present than when BSA was absent. The addition of 10 ng/ EGF into the medium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developmental rate and the cell numbers per blastocyst. However, addition of EGF in the presence of 0.8% BSA significantly reduced the degree of apoptosis in the blastocysts (P< 0.01). To investigate whether EGF modulates mRNA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mRNA was prepared from single blastocysts and each preparation was subjected to RT-PCR for Bcl-2 and Bax transcripts. EGF did not alter the relative abundance of Bax gene expression in the presence of BSA, but increase Bcl-2 (P < 0.01). The relative abundance of Interferon tau expression was increased by EGF treatment in the presence of BSA.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F and BSA synergistically enhance Bcl-2 and interferone tau gene expression, which may result in a net increase in viability in bovine embryos.
        109.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vitro culture of panicle has been the method to accumulate starch and protein in immature grains by providing nutrients after florets crossed between remote genotypes artificially. Grain filling means embryo development and sucrose translocation from photosynthetic source, and starch manufacture in endosperm. The concentrations of sucrose used to culture immature rice panicle were 5, 10, 15, 20% and glutamine was 20 mM. When immature rice panicles at 5 days after flowering were cultured in distilled wate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crose, glutamine 20 mM and MS medium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crose, glutamine 20 mM for 30 days the later was effective on grain filling.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sucrose on grain filling in vitro culture of rice panicle was 10% and the weight of grain cultured was 10.14 mg that was corresponded to 57% of intact plant. In the method of treating plant growth regulators, the culture of immature rice panicle adding in MS medium with Kinetin, IAA, ~textrmGA3 were effective on grain filling than the culturing of immature rice panicle after submerging in solutions of Kinetin, IAA, ~textrmGA3 for 1day. When immature rice panicle was cultured in MS medium with sucrose 10% and Kinetin 46.47 ~mu M it was effective on grain filling, respectively. The weight of grain cultured was 13.1mg that was corresponded to 75% of intact and germination rate was 51 %. When immature rice panicles were cultured in medium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combined with Kinetin 4.65, 46.47, 464.7 ~mu~textrmM , IAA 5.71, 57.08, 570.80 ~mu~textrmM for 30 days and in medium with IAA 5.71, 57.08, 570.80 ~mu~textrmM for 15 days after culturing in medium with Kinetin 4.65, 46.47, 464.70 ~mu~textrmM for 15 days the effect on grain filling was similar.
        110.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범부채(Belamcandi chinensis)의 신초정단을 배양 재료로하여 캘러스, 신초형성 및 뿌리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 및 무기물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캘러스 형성은 1/2 MT배지보다 MT배지에 2, 4-D를 1.0 혹은 2.0mg/l 첨가시킨 구에서 효과적이었으며, 신초형성은 MT 배지나 1/2MT배지에 zeatin을 1.0mg/l 첨가시킨 구에서 효과적이었다. 뿌리의 분화를 위하여 발근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1/2MT배지에 NAA를 1.0mg/l 첨가시킨 구에서 양호한 결과(41%)를 보였다.
        111.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산약(山藥) 경절편(莖節片)의 기내조직(器內組織) 배양(培養)을 위해서 적정배지(適正培地)가 선발(選拔)됨에 따라 이에 적합시(適合時) 되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활성탄(活性炭)의 처리농도(處理濃度)를 구명(究明)함으로서 기내조직(器內組織) 배양(培養)에 의(依)한 증식율(增殖率)를 높이코져 무기강기성(無機강基性)이 낮은 1/8MS, White에 IAA와 NAA를 1~4mg / l 로 하고 활성탄(活性炭)을 0, 1, 3, 6g / l 수준(水準)으로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8MS 배지(培地)의 경우 1~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3g / l 첨가(添加) 하므로서 Shoot 유기(誘起)와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률(再分化率)이 모두 100%에 달하는 효과(效果)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效果)는 NAA처리시(處理時)에도 같은 경향(傾向)이 있었다. 2. White 배지(培地)의 경우 IAA 1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6g / l 첨가처리(添加處理)와 NAA 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 만이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율(再分化率)이 l00%에 달하였으나 그 외(外) 처리(處理)에서는 대부분(大部分) 저조(低調)하였다. 3. 발육상태(發育狀態)를 보면 1/8M /S 배지(培地)의 경우 IAA 2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油處理)와 NAA 4mg / l, Kinetin 2mg / l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 하므로서 모두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2.7개(個)이고 발육상태(發育狀態)도 활성탄(活性炭)0g / l, 3g / l, 6g / l 처리(處理)보다 양호(良好)하였다. 4. 그러나 White 배지(培地)의 경우 IAA 1~4mg / l, NAA 1~mg / l 그리고 Kinetin 2mg / 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 / l+Kinetin 2mg / l+활성탄(活性炭) 1g / l 이였으며, White+NAA 4mg / l+Kinetin 2mg / l+활성탄(活性炭)1g / l 로 처리(處理)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結果)를 얻었다.
        112.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직배양기법(組織培量技法)을 이용(利用)하여 대량증식(大量增殖)된 반하(半夏) 종구(種球)를 포장재배(圃場栽培)할 때 알맞은 수확시기(收穫時期)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12개월(個月), 18개월(個月) 및 24개월(個月) 수확시(收穫時) 생육특성(生育特性), 괴경(塊莖)크기 분포(分布) 및 수량(收量)등에 관련(關聯)된 몇가지 형질(形質)에 대(對)하여 3년간(年間)('90~'92년(年))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초장(草長) 및 엽장(葉長)은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수확(收穫)부터 24개월(個月) 수확(收穫)까지 늦게 수확(收穫)할 수록 초장(草長)은 0.7~6.5cm엽장(葉長)은 0.6~2.6cm 각각(各各) 길었으며, 특히 파종후(播種後) 18개월(個月) 이후(以後)는 신장정도(伸長程度)가 둔화(鈍化)되었다. 2.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입묘주수(立苗株數)는 파종당시(播種當時) m2당(當) 주수(株數)가 78개(個)이었으나 6개월(個月) 후(後)에는 2.3배(倍), 12개월(個月) 후(後)에는 5.6배(倍), 18개월(個月) 후(後)에는 13.3배(倍), 24개월(個月) 후(後)에는 20.0배(倍)로 수확(收穫)을 늦게할 수록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3.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괴경장(塊莖長), 괴경폭(塊莖幅) 및 괴경량(塊莖量)은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수확(收穫)~12개월(個月) 수확(收穫) 까지는 증가폭(增加幅)이 미미(微微) 하다가 18개월(個月) 수확(收穫) 때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며 그 이후(以後)는 완만(緩慢)하게 증가(增加)하였다. 4.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괴경(塊莖)크기 분포(分布)는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12개월(個月) 수확(收穫)은 중(中), 소괴경(小塊莖)이 많은 반면 18개월(個月) 이후(以後) 수확(收穫)은 상품성(商品性) 있는(직경(直徑) 7.1mm이상(以上)) 중(中), 대괴경분포(大塊莖分布)가 많았다. 5.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10a당(當) 생체수량(生體收量)은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수확(收穫)은 172kg, 12개월(個月) 수확(收穫)은 231kg, 18개월(個月) 수확(收穫)은 345kg, 18개월(個月) 이후(以後) 수확(收穫)은 392kg으로 증수(增收)하였으나 24개월(個月) 증가폭(增加幅)은 미미(微微)하였다. 6. 지상부(地上部) 엽형(葉型)의 전개정도(展開程度)를 보고 지상부(地上部)의 괴경폭(塊莖幅)과 괴경량(塊莖重) 등(等)을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113.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직(組織) 배양(培養)을 통(通)하여 대량(大量) 생산(生産)된 반하(半夏) 종구(種球)의 포장재배(圃場裁培) 파종(播種) 적기(適期)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90년(年) 4월(月) 20일(日), 5월(月) 20일(日), 6월(月) 20일(日), 7월(月) 20일(日), 8월(月) 20일(日) 및 9월(月) 20일(日)에 파종(播種)하여 출아특성(出芽特性), 생육특성(生育特性), 괴경형성(傀莖形成) 및 수량(收量)에 관련된 몇 가지 형질(形質)에 대하여 2개년간(個年間)('90~'91)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별(播種期別) 출아소요기간(出芽所要期間)(파종(播種)~출아(出芽))은 9~26일(日) 이었으며 파종기(播種期)가 빠른 4월(月) 20일(日)이 26일(日), 온도(溫度)가 높은 시기(時期)인 8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9일(日)로 가장 짧았으며 이 기간(期間)의 적산온도(積算溫度)는 256~334℃이었다. 2. 파종기별(播種期別) 출아율(出芽率)은 68~87%로 대체로 좋았으나 7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고온(高溫) 및 한발(旱魃)의 영향(影響)으로 저조(低調) (55%)하였다. 3. 파종기별(播種期別) 재배기간중(栽培期間中)(2년(年)) 생육과정(生育過程)은 4월(月) 20일(日), 5월(月) 20일(日), 6월(月) 20일(日) 및 7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4회(回) 생육(生育)을, 8월(月) 20일(日)과 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3회(回) 생육(生育)하였고, 총(總) 생육기간(生育期間)은 125일(日)~239일(日)로 파종기(潘種期)가 빠를 수록 길었으며 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125일(日)에 불과(不過)하였다. 4. 파종기별(潘種期別) 수확(收穫) 당시(當時)의 초장(草長), 괴경장(塊莖長) 및 괴경폭(塊莖幅)은 4월(月) 20일(日)~6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큰 반면(反面) 7월(月) 20일(日) 이후(以後) 파종(播種)은 극히 적었으며 초장(草長)과 괴경장(塊莖長), 괴경폭(塊莖幅) 및 괴경수량(塊莖收量)과는 유의(有意)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5. 파종기별(播種期別) 수확당시(收穫當時)의 m2당(當) 주수(株數)는 5월(月) 20일(日)과 6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다른 파종기(播種期)에 비해 유의적(有意的)으로 많았으며(P〈0.05) 7월(月) 20일(日) 이후(以後) 파종(播種)은 급멸(急滅)하였다. 6. 파종기별(播種期別) 생체수량(生體收量)은 4월(月) 20일(日) 파종(播種)(352kg/10a)에 비해 5월(月) 20일(日)이 9%(P〈0.05), 6월(月) 20일(日)이 3% 증수(增收)하였고, 7월(月) 20일(日) 이하(以後) 파종(播種)은 59~81%까지 크게 감수(減收)하였으며 건물수량(乾物收量)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7. 파종기별(播種期訓) 상품가치(商品價値)가 있는 7.1mm이상(以上)의 괴경(塊莖)크기 분포(分布)는 5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322kg/10a, 6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299kg/10a으로 훨씬 많은 반면 7월(月) 20일(日)~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55~117kg/10a으로 극히 적었다. 8. 수량(收量)과 m2당(當) 주수(株數)와는 고도(高度)의 상관(相關)(r=0.992**)이 인정(認定)되었으며 다수확(多收獲)을 위해서는 기내(器內) 생육(生産) 반하(半夏) 종구(種球)를 5월(月) 20일(日)~6월(月) 20일(日)에 파종(播種)하는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114.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하(襄荷)를 대양번식(大量繁植) 하고자 경정부위(莖頂部位)의 기내배양(器內培養) 방법(方法)을 확립(確立)하기위하여, 경정부위(莖頂部位)의 생장(生長)에 알맞은 기본부지(基本部地) 및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의 농도(濃度)를 구명(究明)하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양하(襄荷)의 경정부위(莖頂部位)는 치상후(置床後) 10~12주(週) 후(後)에 기관(器官) 분화현상(分化現像)이 나타나서 shoot와 root가 발생(發生)되었다 2. 양하(襄荷)의 경정(莖頂)은 MS기본부지(基本部地)에 치상(置床)한 환경(環境) 비교적(比較的) 생장(生長)이 잘 되었다. 3. 기내(器內)의 Plantlet의 생장(生長)은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 NAA 0.5ppm과 BA 5.0ppm의 혼합(混合)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좋은 경향(傾向)이었다.
        115.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산약(山藥)은 종근(種根)을 분근(分根)하거나 苗頭植付法(묘두식부법)을 쓰고 있는바 이는 마 재배시(栽培時) 종근(種根)의 소요양(所蓉量)이 과다(過多)하다는 문제(問題)로 증식비률(增殖比率)이 낮아 대량증식(大量增殖)을 기대(期待)하기 어려운 실정(實情)이다. 따라서 조직배양(組織培養)을 이용(利用)한 종근증식(種根增殖) 체계(體系)를 이용(利用)코저 마의 줄기마디 부분(部分)을 시료(時로料 )하고 무기염류(無基鹽類)의 농도(濃度)를 1/2, 1/4, 1/8로한 MS배지(培地)와 옥신류(類), Cytokinin류(類) 처리(處理)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 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MS배지(培地)를 농도별(濃度別)로 처리(處理)하여 기내배양(器內培養) 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발육상태(發育狀態)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배지내(培地內) 무기염농도(無機鹽濃度)가 점차(漸次) 낮아 질수록 shoot장(長)을 촉진(促進) 시키고 출엽(出葉)과 발근개체수(發根個體數)가 모두 증가(增加)되는 경향을(傾向) 보였으며 출엽율(出葉率)과 발근율(發根率)에서도 같은 경향(傾向)이 있었다. 2. 발근개체수(發根個體數)를 경시적(經時的)으로 볼때 배양초기(培養初期) 보다는 중후(中後)로 경과(經過)할수록 생육(生育)을 촉진(促進)시키는 정도(程度)가 빨라 지므로서 MS배지(培地)에 비(比하)여 1 /8MS에서 보다 뚜렷한 촉진효과(促進效果)를 보였다 3. MS배지(培地) 농도(濃度)에 따른 IBA와Kinetin을 고정(固定)시키고 IAA와 NAA를 농도별(濃度別)로 첨가처리(添加處理)한 것은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발육(發育)을 억제(抑制) 시키는 작용(作用)이 있었다. 4. 1/8MS에 IBA 5mg / l, Kinetin 2mg / l으로 IAA와 NAA를 각각(各各) 1mg / l으로 할때 shoot가 길어지고 출엽(出葉) 및 발근(發根) 효과(效果)가 있었다. 5. 1/8MS 選擇培地를 가지고 Kinet고과 BA에 2,4-D를 농도별(濃度別)로 조합처리(組合處理)한 결과(結果) shoot 유기(誘起)가 지극(致極)히 불량(不良)하였으나 Kinetin에 IBA와 IAA를 조합처리(組合處理)할 경우(境遇) shoot 발생(發生)이 많아지고 출엽(出葉), 발근효과(發根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116.
        198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s orthogonaL modia and the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 for seed matura-tion and growth of rhizome from Cymbidium goeringii Germination waswell in dark condition, but the growth of rhizome was better un-der dark than under light condition in MS orthoTonal . Sucrose con-centration( 3 %) gave better results than higher ones(6%), andthe use of NAA(0.1 PPm) effect significant difference of seed ge-rmination .But the growth of rhizome was best in medium Containingsucrose concentration(3%) Ippm NAA and 1 PPm BA.
        117.
        198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고구마 장려품종인 홍미와 신미를 액아배양시 explant의 크기 NAA, BA 및 kinetin의 농도가 기관분화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본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mm되는 explant 배양이 2mm explant 배양보다 기관분화 및 생육이 좋았으며 홍미는 MS 배양에 NAA 0.1mg/ 와 kinetin 1mg/ 을 조합처리할 때 신미는 MS배지에 NAA 0.1mg/ 와 kinetin 1mg/ 을 조합처리할 때와 kinetin 1mg/ , BA 0.1mg/ 을 단독처리할 때 shoot의 분화가 좋았다. 2. 뿌리분화는 홍미와 신미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NAA 0.lmg/ 와 kinetin 1mg/ 을 조합처이한 배지에서 뿌리수와 뿌리길이가 증가하였다. 3. B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정상 식물체의 출현이 많았으며 한 개의 explant에서 여러개의 shoot의 길이가 짧았다. 4. 이차계대배양에서 shoot의 분화 및 생장은 NAA 0.1mg/ 와 kinetin 1mg/ 가 첨가된 배지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고 뿌리의 분화는 0.1 mg/ BA에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