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6

        10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쉽 페스큐 90%와 야생화 10%의 파종비율로 조성한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충남대학교 내 초지시험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인 잔디형 목초로 쉽 페스큐(Azure)와 야생화 초종으로는 국내산 야생화 4종과 외국산 야생화 29종 등 총 33종을 공시하였다. 야생화의 개화 당시의 평균초장은 1년차 28.7cm, 2년차 36.7 cm 이었다. 꽃 색은 6~9
        4,000원
        11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에서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조 중 만생 숙기별 Kospeed, Kowinmaster, Hwasan 101호 3품종을 파종시기별로 9월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10월 20일까지 5처리 파종하여 이듬해 5월 17일에 수확하였고 단위면적당 입모수, 월동률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시험을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수원에서 수행하였다.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조생종(Kospeed)의 출수기는 5월 7일에서 5월 13일이며 파종일이 늦으면 출수일도
        4,000원
        112.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ur previous study conducted in a wasted mulberry plantation showed significant decline of leaf productivity of mulberry (Morns sp.) by cattle grazing in three years (Ogura et al., 2009). This means t㏊t improvement of understory vegetation is essential to use such wasted areas as grazing lands. In this study, the mixture of seeds (Dactylis glomerata, Lolium perenne, Poa pratensis and Trifolium repens, 15:15:5:2) was seeded on 18 Sep. 2007, in nine experimental plots (6 m × 6 m each) with different seeding rates (L: 37 ㎏/㏊, M: 56㎏/㏊ and H: 74㎏/㏊, three replications) in the wasted mulberry plantation described in the previous paper (paddock A) (Ogura et al., 2009). Two cows were grazed in the paddock for 42 and 54 days in 2007 and 2008, respectively. No fertilizer nor herbicides were applied in the paddock. The coverage of the sown species and weeds, and the proportion of bare area were recorded on 19 Sep. 2007, 16 Nov. 2007, 21 May 2008 and 21 May 2009. T. repens rapidly covered the understory; the coverage ranged 49.4-71.7% in 2008-2009 (Fig. 1). D. glomerata and L. perenne also increased to 10.6-18.3% and 20.6-33.9% in 2009, respectively, regardless to the seeding rates. In contrast, the proportion of bare area rapidly decreased. The quick establishment of the sown plants probably due t㏊t defoliation and trampling of cows suppressed the growth of native plants. In conclusion, the seeding rate of 3.7 ㎏/㏊ is sufficient to establish herbage plants in wasted mulberry plantations under cattle grazing.
        113.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seeding rate and N fertilizer on leaf area index, dry matter accumulation,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in oats were studied using split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indicated t㏊t seeding rate and N fertilizer ㏊d significant influence on leaf area index, dry matter accumulation and grain yield. With the increasing seeding and fertilizer rates, leaf area index, aboveground dry matter increased significantly. Oat reached the highest grain yield under 112.5㎏/h㎡ seeding rate, N2 was the best N fertilizer treatment for oat.
        114.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ing rate on the quality and yield of whole crop rice variety, "Namil". Whole crop rice variety, "Namil", was direct seeded at 25 April. The seeding rate were four level(30, 60, 90, and 120㎏/㏊). There was not found significantly difference plant height and dry matter(DM) content among seeding rate. Acid detergent fiber(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NDF) content was increased until 90㎏/㏊ of seeding rate. The content of TDN(total digestible nutrient) decreased also with increased seeding rate until 90㎏/㏊ seeding rate. The highest fresh and DM yield showed at 120㎏/㏊ seeding rate. But there was not found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60, 90 and 120㎏/㏊ seeding rate. Although high seeding rate increase the DM yield, 60㎏/㏊ seeding rate will be recommendable as proper seeding rate for whole crop rice.
        11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결정핵으로 작용할 수 있는 동일한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다공성 지지체 위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수용액에 분산시킨 다음 이 수용액을 튜브형 다공성 세라믹 지지체에 일정 유속으로 공급하고, 세라믹 지지체의 반대편에 진공을 유지하여 일부 수용액이 지지체를 통과하면서 동시에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지지체 표면에 도포하였다. 수용액 상에 분산된 제올라이트의 농도, 도포시간 그리고 분산 수용액의 공급속도 등이 결정핵 도포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공급유속이 100 mL/min, 도포시간이 4분인 경우 농도가 0.01 wt%에서 0.3 wt%로 증가할수록 도포량이 0.0019 g에서 0.0208 g으로 증가하였다. 농도가 0.01 wt%, 공급유속이 100 mL/min인 경우 도포시간이 1분에서 4분으로 증가하는 경우 도포량이 0.0004 g에서 0.0019 g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농도가 0.3 wt%이고, 도포시간이 1분일 때 유속이 100 mL/min에서 300 mL/min으로 빨라진 경우 도포량이 0.002 g에서 0.01 g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도포량이 증가할수록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통한 물과 에탄올의 총투과속도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1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논에서 월동사료작물로 재배되고 있는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Kospeed)의 입모율 향상과 건물수량 증대를 위해 우리나라 중부지역에 알맞은 파종방법을 구명하고자 본시험을 수행하였다. 파종시기는 총체벼 수확 후 9월 25일에 파종하였으며 파종방법은 로타리-조파-진압, 로타리-산파-진압, 로타리-산파, 로타리-산파-가벼운 로타리, 무경운산파-가벼운 로타리) 5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파종방법별 입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