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2

        102.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벽체의 록킹 거동을 고려한 내진보강 기법을 개발하였다. 록킹 거동은 벽체 수직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것으로, 개발 시스템은 변위 큰 부분에 댐퍼 등을 설치하여 에너지를 소산 시키는 방법이다. 댐퍼는 강재댐퍼를 사용하였으며, 스트럿 형상 및 높이를 변수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스트럿 높이가 짧을수록 강도 능력이, 길수록 변형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I형과 S형 스트럿 능력을 평가한 결과, S형이 우수한 내진 성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10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nozzle shapes in the orientation of fibers in cementitious materials. The nozzle shapes involved in the study are conventional, balded, and tapered circular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bladed and tapered nozzles increased the control performance of fiber orient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ozzle. In particular, bladed nozzle was mor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fiber orientation.
        104.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게임의 아트가 구상을 향하는 것과는 달리 감성게임의 아트는 추상을 향하는 것에 주목하여 ‘형태’와 ‘색채’를 고찰한다. 우선 형태와 색채를 각각 연구자모델과 NCS 색 체계를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 형태는 ‘추상’으로 색채는 ‘파스텔·애쉬’로 도출되었다. 도 출된 결과를 토대로 ‘감성’게임이 추상적 형태와 평면적 색채를 지향하고 있음을 주장하며, 보링 거의 추상충동과 보드리야르의 파스텔의 질서를 통해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105.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ibutary area based-lumped mass model is a simplified modeling technique and it is popularly adopted in earthquake engineering for the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structures. However, the technique provides somewhat less accuracy due to its different frequencies and mode shapes, compared to the detailed FE model. For the basic understand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nsitivity of the lumped mass locations on the mode shapes and modal participation factors, considering a cantilever typed column structure.
        106.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characteristics of wind-induced vibration responses of supertall buildings with unconventional configura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extensive aeroelastic model tes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elical and composite models were most effective in reducing the wind-induced vibration responses in both along- and across-wind directions.
        107.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odular manipulator in serial-chain structure usually consists of a series of modularized revolute joint and link modules. The geometric shapes of these modules affect the number of possible configurations of modular manipulator after assemb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the geometry of the joint and link modules that allow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manipulators with minimal set of modules. In this paper, a new 1-DoF(degree of freedom) joint module and simple link modules are designed based on a methodology of joint configurations using a series of Rotational(type-R) and Twist(type-T) joints. Two of the joint modules can be directly connected so that two types of 2-DoFs joints could be assembled without a link module between them. The proposed geometries of joint and link modules expand the possible configurations of assembled modular manipulators compared to existing ones. Modular manipulator system of this research can be a cornerstone of user-centered markets with various solution but low-cost, compared to conventional manipulators of fixed-configurations determined by the provider.
        108.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ddresses to evaluate the reaction of bridge support in associate with analytical parameters of skew angle and radius of curvature in curved bridge, which results in the finding of weakest point in dynamic analysis. It was found from the analysis that reaction at the support of acute angle area located at inner side of curved bridge has the lowest value which means the possibility of negative reaction when seismic load happens.
        109.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파랑에너지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호안의 물리적 특성치인 마찰면적과 공극률이 증가된 다양한 호안의 형태와 배열을 도출하였으며 연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리조건에 대해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여 반사파 감쇄효과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호안 피복으로 많이 시공되는 사석의 형태와 형상이 비슷한 구형(원형)형상과 단위 부피안에 마찰면적과 공극률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형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표면적/부피 비율이 큰 형상이 단위 부피안에 마찰면적과 공극률 증가시킬 수 있는 사석형상으로 원기둥(Cylinder)과 얇은 판(Thin Plate) 형상의 경우 원형사석 대비 마찰면적이 2~17배 증가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사석형상을 이용하여 총 33 종류의 실험모형을 제작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규칙파 및 불규칙파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파랑에너지 저감에는 마찰면적 보다는 공극률의 영향이 컸으며 마찰면적과 공극률이 같이 증가되는 것이 파랑에너지 저감 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대 25%의 반사율 저감율을 보였으며 파도의 진행방향과 연직방향으로 접촉 면적이 작을수록 파랑에너지 감소 효과가 커 파도의 방향에 대한 사석의 배치도 파랑에너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사에 따른 영향 분석 결과 완경사(1:3.0)가 급경사(1:1.5) 보다 최대 49% 반사파 감쇄효과가 있는 것으로 측정되어 호안 경사가 완만할수록 파랑에너지 감소 효과가 좋았으나 급경사 충진형 호안구조 형식의 경우 최대 66% 반사율 저감율을 보여 급경사라도 마찰면적과 공극률을 극대화하면 파랑에너지 감소에 효과적이며 이를 활용하면 친환경성 및 경제성을 갖춘 호안구조물 설치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110.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compute performance point using capacity spectrum analysis, and to use structural damage states classification and damage state criteria through interstory drift angle presented in HAZUS. Seismic fragility curve is drawn by seismic fragility parameter and predict damage probability about non seismic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according to building shapes.
        111.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amage assessment system on shear building structures by mode shape. The damage location index using 1st mode shape is observed theoretically to find out damage location. The shacking table test on 3 story shear building is performed for the examination of the damage assessment method. In this study, the data obtained in experiments using the damage index was established and programmed.
        112.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amage detection method on shear building structures by mode shape. The damage location index using 1st mode shape is observed theoretically to find out damage location. The damage detection method is applied to numerical analysis model such as MATLAB and MIDAS GENw for the verification. Finally the shacking table test on 3 story shear building is performed for the examination of the damage detection method.
        113.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과 독일의 신부화 형태와 사용되는 소재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한국의 신부화에 좀 더 나은 발전을 가져다 줄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2001년부터 2007년까지 신부화 작품집을 2001년, 2004년, 2007년에 조사하였다. 작품집은 우리나라의 화훼장식협회 중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매년 정기적으로 작품집을 발간하고 있는 한국꽃예술작가협회와 한국플라워디지인협회에 소속된 회원들의 작품집에서 조사하였다. 독일의 경우 독일상공부에 소속 된 유일한 플로리스트협회인 Fachverband Deutscher Floristene. V. Bundesverband (FDF)와 독일에서 책의 발행부수가 가장 많은 플로리스트 전문잡지사 Bloom에서 출간된 신부화작품집에서 조사하였고, 한국과 독일 모두 254작품을 각각 조사하였다. 한국과 독일의 신부화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절화류(1,2년초화, 난류, 구근류 등)의 종류와 신부화를 제작하는데 선호하는 꽃의 색상과 한 작품에 사용되는 소재수, 관엽식물(일반관엽, 양치류, 난류, 야자과, 고사리과 등) 및 신부화의 화형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신부화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꽃을 2001, 2004, 2007년로 모두 장미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꽃으로 나타났는데, 장미는 독일의 신부화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에서는 덴파레, 나리 의 이용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독일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일에서 장미에 이어 많이 사용이 되고 있는 칼라, 수국은 한국에서는 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신부화에 가장 많이 사용된 관엽식물은 2001년도에는 디펜바키아 였고, 2004, 2007년도에는 루모라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의 경우는 2001, 2004, 2007년 모두 아이비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아이비 다음으로 많이 사용한 대치기린, 갈락스, 헤우케라 로 한국에서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신부화 한 개를 만드는데 들어가는 소재수를 2001, 2004, 2007년 도별로 보면 3종류, 5종류, 4종류 소재를 사용한 것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독일에서 신부화에 사용하고 있는 소재수를 보면 2001, 2004, 2007년도 모두 8종류의 소재를 이용한 신부화가 가장 많았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화형을 2001, 2004, 2007년도로 알아본 결과 원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삼각형과 케스케이드형의 선호도가 높았다. 독일은 2001, 2004, 2007 년 모두 폭포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초승달형과 식물생태적인 형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연의 모습을 반영하여 만든 독일의 다양한 화형에 사용되고 있는 소재들의 종류와 한 작품에 이용되는 소재 종류들은 한국의 신부화에 새로운 소재들의 선택과 사용에 효과적인 변화를 가지고 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14.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s analysis which dams breach shapes are effect on peak discharge of dam-failure. The dam breach shapes and failure time are important peak discharge when dam failure. When dam failure times are 1hr, 2hr and 3hr condition for the ECRD and 0.1hr and 0.2hr for the CG and CFRD that breach shapes changed base length Bb=1Hd, Bb=2Hd and Bb=3Hd. As the results from DAMBRK(Dam Break model) peak discharge are increase base widths lengthen. As failure time is longer then peak discharge is decrease. So peak discharge is increase more short of dam failure time. Also peak discharge is increase become larger dam breach shapes.
        116.
        200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각의 형상에 따라 교량하부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유수의 흐름에 의해 교각 주위에서의 하상재료가 침식, 운반. 퇴적작용을 하여 이에 따라 수로의 하상단면은 변화를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흐름과 등일한 방향으로 설치된 일련연속교각에서 교각의 형상변화에 따른 국부세굴 특성을 BOSS SMS로 통하여 분석하였다.
        118.
        199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점착성 하상에 교각을 설치하는 경우, 사용되는 국부세굴심도 산정공식은 대부분이 비점착성 하상을 가진 수로에서의 실험결과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정확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점착성 하상재료를 가진 실험수로 내에 5개 형태의 교각을 설치하여 발생되는 세굴심도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결과는 Froude 수와 교각폭에 대한 수심의 변화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기존공식에 의한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점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