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9

        121.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확대머리 SD600 고강도 인장철근으로 단부 정착된 SFRC 깊은보의 전단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전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는 주인장 철근의 단부 정착방법(확대머리 철근, 일자형 철근), 단부 정착길이, 전단보강근 유무 등이다. 전단경간비는 1을 가지는 실험체에 대한 전단실험결과, 모든 실험체는 초기 휨 균열이 발생한 후 경사균열이 진행되면서 최종적으로 압축전단파괴되었다. 확대머리 철근으로 기계적 정착된 실험체들이 일자형 철근 정착에 비하여 5.6∼22.4% 더 큰 전단강도를 나타내었다. 확대머리 철근으로 기계적 정착된 실험체들에 대하여 최대하중의 75%까지는 지압응력이 전체 정착응력의 0.9~17.2%에 도달하였으나, 최대하중 시점에서 지압응력이 전체 정착응력의 22.4%~46%에 도달하여 큰 응력 부담률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확대머리 지압응력에 의한 정착응력 증가가 전단강도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실험 전단강도가 실용식에 의한 전단강도의 2.68~4.65 배로 평가되어, 실용식이 전단내력을 안전측으로 평가하였다.
        122.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강섬유의 혼입이 초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실험적으로 검토되었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 100과 150 MPa의 초고강도콘크리트가 사용되었다. 폴리프로필렌섬유는 0.15 vol%, 비정질강섬유는 0.3 및 0.5 vol%가 혼입되었다. 시험체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섬유혼입 조건에 따라 6수준이 제작되었고, ISO-834 가열곡선에 의해 가열되었다. 결과로써 폴리프로필렌섬유와 비정질강섬유가 혼입된 초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제어에 있어서는 용융된 폴리프로필렌섬유가 형성하는 공극네트워크를 통해 수증기가 이동하는 효과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정질강섬유 0.3v ol% 혼입률에서는 폭렬제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0.5 vol%의 비정질강섬유가 혼입될 경우에는 수증기가 이동할 수 있는 균열의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콘크리트 폭렬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수분막힘층(moisture clog)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3.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fracture behavior of high-strength SFRC with high tensile strength steel fiber was investigated. Two different steel fibers with tensile strength of 1,200 and 1,600 MPa was used in SFRC specimens. Tst results showed that fracture behavior was more ductile with increasing the steel fiber tensile strength.
        12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1,600 MPa strength steel fiber. The fiber aspect ratio and fiber volume fraction used in this study is 80 and 0.75%. The Cylindrical specimens with ∅150×300 mm and the prisms with 150×150×550 mm were mad and tested in accordance with KS F2403 and ASTM C1609. As the result, specimens with high strength fiber has superior performance then that with normal strength fiber.
        12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finite element analysis of high-strength SFRC with high tensile strength steel fiber was investigated. Compressive and flexural behavior was ductile when using steel fiber tensile strength 1,600 MPa. Thorenfeldt and Trilinear models were used to describe the compressive and tensile behavior. Inverse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struct tensile model by evaluating flexural behavior. The flexural behavior of test results were similar to analysis results.
        127.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FRC reinforced by mixing different steel fibers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70 MPa. In this study, The fiber aspect ratio consist of 60 and 80 and tensile strength is 1,100 MPa used. Cylindrical specimens with a ∅150×300 mm were made fo compression test, and prismatic specimens with a 150×150×550 mm were made fo flexural and direct shear tests. Test results show that the superior compression performance was observed in SFRC with Mixing different steel fibers.
        12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s series of studies to provide how to apply coal gasification slag(CGS) as one of byproducts for high strength concrete, from a newly introduced power generation method in Korea, the possibility of using a mixed aggregate with 25 percent of CGS as a concrete residual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CGS at early age was lower than that using CS, but compressive strength at 28 days showed similar levels of strength enhancement.
        12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mart construction materials have recently been interesting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ement composites and concretes. Especially, no repairing system is required for concrete structures by using self healing concrete, which can close cracks on concrete by itself. Mineral admixtures, capsules and bacteria are the most used for self healing concrete technology. In this study, high strength concrete with mineral admixtures were utilized to develop self healing capacity. Comparison with water flow test and image captures were conducted.
        13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nchorage behavior of high-strength headed rebar with minimum edge distance was evaluated. The experimental parameters are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concrete, the strengths and the anchorage lengths of headed rebar. The maximum pullout strengths and final failure modes were evaluated through the experiment.
        131.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압축파괴에너지를 이용하여 고강도 구속콘크리트에 대한 응력-변형률 모델을 제안하였다. 참고문헌[5]에서 저자가 실시한 압축실험에는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한 아크릴 막대를 실험체의 중앙부에 매립하여 압축부재의 국부 변형률 측정을 시도하였다. 이 아크릴 막대를 이용한 국부 변형률 측정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파괴영역길이는 아크릴 막대로부터 측정된 국부 변형률 분포에 기초하여 정의되었다. 구체적으로, 구속콘크리트의 국소파괴영역길이는 압축강도 발현시의 변형률 εcc의 2배 이상 변형률이 증가하는 영역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동일한 횡구속압을 받는 압축부재에 흡수된 에너지양은 부재의 형상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가정에서 압축파괴에너지를 도입한 구속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은 본 연구의 실험결과뿐만 아니라 타 연구자들의 실험결과를 대체적으로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steel fiber volume fraction and aspect ratio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FRC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40 MPa. In this study, The fiber volume fractions consist of 0.25%, 0.50% and 0.75% and aspect ratios are 64 and 80 used. The prisms with 150×150×550 mm were made and tested in accordance with EN-14651. Test results show that the superior flexural performance was observed in SFRC with higher fiber volume fraction and aspect ratio.
        133.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활용증대 방안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와 내구성 저하 시 보수․보강으로 사용되는 FRP (AFRP, CFRP) 판으로 보강된 순환골재 고강도콘크리트(40MPa, 60MPa) 보를 제작하여 순환골재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의 표면매입보강에 따른 에폭시와 FRP 판의 부착력을 고려하지 않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 FRP 보강판을 거푸집에 미리 설치하였으며, 순환골재 치환율(30%), 콘크리트 강도(40MPa, 60MPa), 이형철근(D10, D13), FRP 판의 종류(AFRP 판, CFRP 판)를 변수로 12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FRP 판과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른 휨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FRP 판으로 보강한 실험체는 무보강 실험체에 비해 최대 17%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FRP 판에 비해 CFRP 판의 보강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른 보강 성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의해 측정된 균열모멘트는 파괴계수를 이용한 결과 기준식과 비슷한 값을 나타났으며 휨 모멘트는 FRP 판을 보강한 일부 시험체가 KCI 2012와 ACI 440-2R에서 제시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4.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shear performance of the deep beams with high strength headed reinforcement was evaluated. The experimental parameters are high strength headed bar a gunboat. The shear span-depth ratio (a/d) of specimens was 1. The development length of headed reinforcement was evaluate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hear strength of the deep beam.
        13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a technique for measuring the local strain of RC columns using high strength materials. A acrylic rod with strain gauges at intervals of 5 mm were embedded in high-strength RC columns. Under uniaxial compression loading, the local strain of the column was measured with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acrylic rod. It was confirmed from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technique applied in this study is very effective in measuring the local strain of high-strength RC columns and the compressive failure of the high-strength RC columns is concentrated in some local regions.
        13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 of confining pressure on the shear strength of ultra-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UHPFRCs) was investigated using a new shear test setup. Different confining pressures were applied and maintained to the specimens prior to shear testing. The shear strength of UHPFRCs was obviously sensitive to the confining pressure: the higher confining pressure produced higher shear strength. The confined shear strength could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unconfined shear strength, confining pressure, and tensile strength.
        13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arrangements on the high strength of concrete and to present the quantitative values. To complete this research, two types of concrete strengths (40 MPa and 60 MPa), two types of reinforcing bar diameters (10 ㎜ and 13 ㎜), and seven types of specimen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arrangements were prepared and tested for compressive strength. As a result, the strength of the cores containing the reinforcement can be predicted to have 82% - 94% of the strength of the cores without reinforcement.
        13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new structural desig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typical irregular UHPC structural members were newly introduced. The atypical irregular UHPC member was optimized to design from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section and a method of nonuniform formwork system was newly created to manufacture the irregular member. The specimens were evaluated by analysis and the newly designed member was improved in bending performance by 2.6 times compared to conventional rectangular concrete beams.
        139.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층 및 장경간 등 대형 구조물에 대한 시공시 부재의 품질이 저하될 정도로 과다한 철근이 배근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최근 건축되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에서는 건물의 안정성과 내구성 등을 감안하여 사용 재료의 강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초고층 및 장경간 구조물의 시공에서 고강도 철근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일반 강도 철근에 비해 배근량 감소로 인하여 부재에서 배근 간격에도 여유를 줄 수 있어 시공성 향상, 공기단축, 접합부 상세가 간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SD500, SD600 철근을 국내에서 설계되었거나 시공되 어진 라멘 구조 형식의 지하주차장 건축물에 적용하여 각 부재별로 철근의 강도에 따른 순수 철근량에 대한 정착 및 이음 철근량 증감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계산된 철근의 정착 및 이음 물량은 사용철근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른 정착 및 이음길이의 증가량과 순수 물량의 감소비율, 사용철근의 직경이 줄였을 때의 단면적 감소 등의 요인들에 의해 정착 및 이음 물량이 결정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순수 물량에 대한 정착 및 이음 물량의 비율이 SD400대비 SD500의 경우는 증가하였지만 SD500대비 SD600의 경우는 감소하였다. 이는 보의 정착 및 이음 물량이 전체 정착 및 이음 물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순수 물량에 대한 정착 및 이음 물량의 비율에서 SD400 과 SD500의 차이와 SD400과 SD600의 차이가 미미하여 철근의 정착 및 이음 물량이 강도 증가에 따른 전체 철근 물량의 증감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4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80~120 MPa 범위의 압축강도를 갖는 고 강도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물-결합재비의 압축강도에 대한 영향,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의 발현 및 양생조건의 압축강 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양생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쪼갬인장강도 및 파괴계수 특성을 파악하였다. 탄성계수, 쪼갬인 장강도 및 파괴계수의 실험결과와 기존설계코드에 의한 예측결과를 비교하였다. 콘크리트구조기준의 탄성계수 제안식은 실험값을 합리적으 로 예측한다. 반면에, 콘크리트구조기준은 파괴계수 실험값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ACI 363R의 쪼갬인장강도와 파괴계수 예측값과 실험값은 잘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ACI 363R의 쪼갬인장강도와 파괴계수 예측식은 120 MPa까지의 고강도 콘크리트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