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endent models in quality statistics are classified as serially autocorrelated model, multivariate model and dependent sample model. Dependent sample model is most efficient in time and cost to obtain samples among the above models. This paper proposes to implement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models into production system depended on demand pattern. Nonparametric models have distribution free and asymptotic distribution free techniques. Quality statistical model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the number of dependent sample and the type of data. The type of data consists of nominal, ordinal, interval and ratio data. The number of dependent sample divides into 2 samples and more than 3 sampl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PSTM), learning styles, and oral repeti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vocabulary. Two groups had different treatments (semantic learning and oral repetition) and vocabulary learning was assessed in spelling, meaning, and production twice, immediately after the learning sessions and two weeks thereafter. The results reveal that oral repetition and the PSTM capacity affected the vocabulary learning significantly, but not learning styles. The students with a higher PSTM capacity learned significantly more words but didn"t remember them better for a longer period than those with a lower PSTM capacity. No clear effects of learning styles were noted, while the PSTM capacity of auditory learners was higher than that of visual learners. The oral repetition group learned significantly more words than those who did only semantic learning, which suggests the usefulness of oral repetition in learning new vocabulary.
구조 역섭동 문제에서,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의되지 않은 모든 자유도가 미지변수로 간주되기 때문에 많은 전산자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축소시스템 기법과의 연동을 통해 정의되지 않은 자유도를 축소시스템에서 정의된 자유도 정보로 대체함으로써 해의 정확성과 계산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구조 시스템을 축소할 경우, 시스템 축소변환 행렬에 오차가 포함되게 된다. 이 오차로 인해 축소기법을 적용하여 역섭동 문제의 정확한 해를 구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유도 변환행렬을 매 단계마다 개선하는 반복적 축소 시스템 기법을 적용한다. 자유도 기반 축소시스템의 신뢰성은 주자유도 선정 위치와 변환행렬의 반복 계산 횟수에 의해 결정되며, 변환행렬의 반복 계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스템 구축 초기에 주자유도가 잘 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소모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변환 행렬의 반복 계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2단계 축소기법을 적용하여 주자유도 위치를 선정한다. 최종적으로 수치예제를 통해서 반복적 역섭동법의 효용성을 확인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면외방향으로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벽식 교각의 지진거동을 파악하고 합리적이면서 경제적인 내진설계기준을 개발하는데 있다. 정확하고 올바른 성능평가를 위하여 신뢰성 있는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프로그램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RCAHEST이다. 유한요소로서는 면내회전강성도를 갖는 4절점 평면 쉘요소가 사용되었다. 두께방향에 대한 철근과 콘크리트의 재료성질을 고려하기 위하여 층상화기법이 도입되었다. 재료적 비선형성에 대해서는 균열콘크리트에 대한 인장, 압축, 전단모델과 콘크리트 속에 있는 철근모델을 조합하여 고려하였다. 신뢰성 있는 실험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이 논문의 제안방법이 면외방향으로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트리트 벽식 교각의 내진성능평가에 적합한 방법임을 입증하고자 한다.
Field or laboratory wheel tracking tests have been employed for the evaluation of the rutting potential of asphalt paving mixtures. Compared to field tests, laboratory wheel tracking tests are much less expensive and more manageable for most road projects. However, most test laboratories are not equipped to perform such tests because there does not exist any standard test procedure, and the required equipment is rather expensive. Futhermore, the size of test specimens and the relatively large quantity of test mixture required present difficulties for laboratory specimen mixing and compaction. This paper describes a project conducted to study the feasibility of replacing wheel tracking testsby a repeated-load creep test for rutting potential evaluation.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results of the two tests for different test temperatures, loading speeds and applied pressures. Three types of asphalt mixtures were studied in the test program. Favorable conclusions concerning the use of the repeated-load test for rutting potential evaluation were draw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experimental test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tests was found to be good for all threeasphalt mixtures. Adopting the repeated-load creep test would lead to cost savings since it employs standard test equipment already available in most laboratories. It would also result in substantial time savings due to the much smaller quantity of mix needed, and the ease in specimen preparation.
본 연구는 도로교의 교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2주형 철근 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과 보강방안을 실험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지름 400mm, 높이 2,000mm인 2주형 원형교각 10기를 제작하였으며, 하중은 0.1f_{ck}A_g 크기의 축방향하중하에서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의 이축 횡방향하중을 교번 반복재하하였다. 실험변수는 심부구속철근비, 주하중방향, 주철근 겹침이음 그리고 보강방안을 선택하였다. 주철근 겹침이음이 있는 교각에 대한 보강방안으로 steel band, steel jacket, 그리고 prestress 강선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주하중방향이 교축직각인 실험체가 소성힌지구간이 교각의 상 하부 양측에 발생하면서 주하중 방향이 교축방향인 실험체보다 연성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스트레스 강선으로 보강한 실험체는 과보강으로 인한 소성힌지구간의 이동으로 연성도 저하가 나타났으나, steel jacket 및 steel band로 보강한 실험체는 모두 요구연성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teel band에 의한 보강방안은 시공성 등을 감안하여 바람직한 철근 콘크리트 교각의 내진 보강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휠트랙킹 시험으로 얻어지는 동적안정도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나타내는 기본 척도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혼합물의 침하깊이가 클수록 동적안정도는 작고 반면에 침하깊이가 얕을수록 높은 동적안정도를 얻는다. 그러나 기존의 동적안정도의 산출방법은 단지 침하깊이-주기 곡선의 마지막 단계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항상 이와 같지는 않다. 특히 초기 단계에 깊게 침하되었어도 마지막 단계에서 완만한 기울기의 곡선을 보이는 혼합물의 동적 안정도는 최종적으로는 침하가 덜 깊으나 점진적으로 균등하게 침하되는 혼합물보다 더 높은 동적안정도가 산출되어 더 좋은 혼합물로 계산되는 모순이 있다. 즉, 기존 방법은 침하깊이-주기 곡선에서 마지막 부분의 기울기보다 완만하면, 최종 침하깊이가 큰 혼합물의 동적안정도가 얕은 혼합물의 동적안정도보다 더 큰 것으로 산출된다. 따라서 합리적인 동적안정도의 산출 방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동적안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침하깊이의 초기, 중기, 마지막 단계를 고려한 몇 가지의 동적안정도의 산출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새로운 산출 방법이 변형강도와 좋은 상관성 및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잘 나타냈다. 또한 새로운 방법은 계산이 비교적 쉽고 간단하다.
대용량 밀 저장 엘리베이터(직경 8 m, 높이 41 m)에서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의 유충기생봉, Bracon hebetor Say, 방사를 통한 화랑곡나방 개체군의 억제 실험을 수행하였다. 2002 년 7월 23일부터 일주 간격으로 총 50,000 마리의 기생봉을 방사하였던 바 화랑곡나방 성충의 밀도 수준이 방사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에 비해서 30%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소에 있어서 다량의 수정란을 생산하여, 고능력의 유전인자를 조기에 확산할 수 있도록, 한우 공란우의 반복 과배란을 유도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수정란 생산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4회 반복적으로 과배란 처리하였을 때, 수정란 채란이 가능한 공란우는 였으며, 3회 처리시 다소 낮아, 약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2.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4회 반복적으로 과배란 처리하
반복주행시험에서 얻은 침하깊이와 동적안정도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 평가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바퀴의 재질에 따라 다르게 얻어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복주행시험시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바퀴의 재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2종류(7.5mm, 15mm)의 고무바퀴와 고무를 씌우지 않은 강재(Steel)바퀴 한 종류를 사용하였으며, 반복주행시험을 통하여 바퀴재질에 따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반복주행시험에서 얻은 침하깊이와 동적안정도를 Kim test의 변형강도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반복주행 시험용 최적 바퀴를 선정하는데 이용하였다. 고무두께가 15mm, 7.5mm, 0mm에 대한 상관성 분석결과 각각 0.7, 0.8. 0.9 이상이 나와 고무를 사용하지 않은 강재바퀴가 변형강도와의 상관성이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어 향후 반복주행시험시 강재바퀴의 사용이 소성변형을 예측하는데 가장 유리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our week repeated toxicity in Sprague-Dawley rats orally administrated with Rhus-II (water fraction of Rhus Veniciflua). In acute toxicity test, three groups (40 rats of both sex) were administrated different dosages of Rhus-II, 2 g/kg (high dosage group), 1 g/kg, 0.5 g/kg and one group (10 rats of both sex) were received by orally only saline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weight change, feed intake and water consumption among different dose groups. There was no alteration in relative organ weight by the administration of Rhus-Il. No death of abnormal clinical signs was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etween the groups orally administered Rhus-II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urinalysis, hematological test or serum biochemical values. There were no gross findings at final sacrifice. There was no evidence of histopathological alteration mediated by four week treatment with Rhus-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 observable effect level(NOEL) of the test orally administration was considered to be more than 2g/kg in rats under the conditions employ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