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3

        121.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ysical therapists have been using balance and weight shifting training to induce improvements in standing and walking.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kinetic feedback frequency and concurrent kinetic feedback o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a weight shifting skill in young, nondisabled adults. Sixteen young adults without known impairment of the neuromusculoskeletal system volunteered for the study. Subjects in each of three kinetic feedback groups performed a weight shifting task in an attempt to minimize error between their effort and a center of pressure (COP) template for a 12 second period. Feedback was provided: 1) concurrently (concurrent feedback), 2) after each trial (100% feedback), 3) after every other trial (50% feedback). Immediate and delayed (24 hour) retention tests were performed without feedback. During acquisition phase, the concurrent feedback group exhibited less error than either of the post response feedback group. For the immediate retention test, the 50% feedback group exhibited less error than did the 100% feedback and concurrent feedback. During the delayed retention, 50% feedback group displayed less error than did the other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e with concurrent feedback is beneficial for the immediate performance, but not for the learning of this weight shifting skill. Lower frequency of feedback resulted in more permanent changes in the subject's ability to complete the task.
        4,000원
        123.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motor learning, the relative frequency of external feedback is the proportion of external feedback presentations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practice trials. In earlier studies,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body weight loading on the affected leg of hemiplegic patients, external feedback was continuously produced as the patient attempted to perform a movement. This feedback was produced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However, recent studies in nondisabled populations have suggested that compared with 100% relative frequency conditions, practice with lower relative frequencies is more effective. My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100% relative frequency conditions with 67% relative frequency conditions to determine what effect they exerted on motor learning for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body weight loading on the affected lower limbs of patients with hemiplegia. Twenty-four hemiplegic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experimental groups. Each group practiced weight transfer motor learning on a machine. During practice, visual feedback was offered to all subject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full visual feedback for patients in group one but only 67% visual feedback for patients in group two. The percentage of loading on the affected leg was recorded four times: before learning (baseline value), immediately after learning, 30 minutes after learning, 24 hours after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100% visual feedback group, the percentage of loading on the affected leg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testing modes over the baseline value. 2. In the 67% visual feedback group, the percentage of loading on the affected leg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measurements. 3. Immediately after learning, the learn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was significantly greater after both the 30 minutes delay and the 24 hours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33% reduction in the provision of visual feedback may enhance the learning effect of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body weight loading on the affected leg in patients with hemiplegia.
        4,000원
        12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돌연변이체인 or (orange body) 계통과 KNIH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계통의 바퀴(Blattella germanica (L.) (Orthoptera: Blattellidae)를 반자연적인 조건하에서 비디오와 컴퓨터 자료처리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관찰하였다. 휴식처에 머무르거나, 먹고, 물 마시며, 다른 개체들과 교신하는 행동을 관찰 할 수 있는 사각형의 관찰상자 내에서 수컷 성충을 개체별로 4~5일 동안 연속적으로 관찰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휴식처에 머무르는 시간과 방문 빈도를 분석하였다. 개체들 간의 변이가 상대적으로 컸지만 시험개체들은 휴식처에 전체 관찰시간의 47 -61%를 평균적으로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찰 개체가 휴식처에서 머무르는 시간은 모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계통 사이에는 뚜렷하게 구분이 되지 않았다. 명암기의 차이는 두 계통 모두 관찰되었는데 휴식처에 머무르는 시간은 암기보다 명기에서 더 길었다. 휴식처 주변의 국소적 활동성을 나타내주는 방문빈도는 KNIH 계통보다 or 계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모계와 계통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방문빈도의 명암기 차이는 or 계통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KNIH 계통에서는 없었다. 개체들 간의 변이가 있었으나 동일한 모계 내에서 휴식처에 머무르는 시간이나 방문빈도가 유사하게 관찰되는 개체들이 있었다.
        4,300원
        126.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산 이리응애의 우점종은 긴꼬리이리응애와 순이리응애이었고, 이리응애가 서식하기에 가장 알맞은 조건을 갖춘 식물은 밤나무와 벚나무였다. 긴꼬리이리응애, 순이리응애 및 긴털이리응애는 다양한 식물형에서 관찰되었다.
        4,000원
        127.
        199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types of relative frequency and delay interval of knowledge of results(KR) on motor skill learning independ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ore effective types of KR relative frequency and KR delay interval for motor learning. Forty-six healthy subjects (15 female, 31 male) with no previous experience with this experiment participated. The subjects ranged in age from 20 to 29 years (mean=23.9, SD=0.474).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a high-instant group, a high-delay group, a low-instant group, and a low-delay group. During the acquisition phase, subjects practiced movements to a target (400 mm) with either a high (83%) or low (33%) KR relative frequency, and with either an instantaneous or delayed (after 8s) KR. Four groups were evaluated on retention (after 3min and 24hr) and transfer (450 mm) tes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between-group differences in acquisition and short-term retention (p>0.05, (2) a low (33%) KR relative frequency during practice was as effective for learning as measured by both long-tenn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compared with high (83%) KR practice conditions (p<0.05), (3) delayed (8s) KR enhanced learning as measured by both long-term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compared with instantaneous KR practice conditions (p<0.05), and (4)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KR relative frequency and KR delay interval during acquisition, retention, and transfer phases. The results suggest that relatively less frequent and delayed KR are more effective types for motor learning than more frequent and instantaneous KR.ㅂ
        4,800원
        128.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구시내 인문계, 실업계 여고생 총 420명을 대상으로 전통음식에 관한 기호도와 섭취빈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조사한 결과, 실업계 여고생의 부모보다 인문계 여고생의 부모의 총수입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대가족의 형태와 형제 자매수는 실업계 여고생에게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2. 전통음식의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인문계 여고생에게는 상대적으로 구이류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실업계 여고생에게는 상대적으로 면류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3. 된장류, 김치류, 젓갈류의 기호도와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젓갈류의 기호도와 섭취빈도가 실업계 여고생에게 높게 나타났다. 부모들의 수입정도에 따른 된장류, 김치류, 젓갈류의 기호도와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수입이 높을수록 기호도와 섭취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4. 16종의 음식종류중 먹어보았거나 조리방법까지 알고 있는 식품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 인문계 여고생은 7.74개, 실업계 여고생은 6.99개로 인문계 여고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 이것을 Pearson상관계수로 그 요인을 비교한 결과, 부모의 수입이 부모의 나이보다 전통식품의 인지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교육환경 즉, 가족형태, 수입 등의 사회 경제적 요인이 서로 다른 두 집단에서의 전통음식의 섭취빈도, 기호도, 인지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그들의 가족형태, 경제적인 수준의 차이가 전통식품의 선택, 기호도 등에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경향은 오늘날의 식생활 변화를 대변해 준다고 볼 수 있다. 우리의 전통음식을 젊은 청소년에게 널리 인식, 보급시키기 위해서 그들을 둘러싼 사회 경제적, 교육적 환경을 더욱 자세하게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131.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was to suggest the suitable cutting frequency and cutting height for orchardgrass (0G)-red clover(RC) mixtures under the intensive system of short-term pasture utilization. The fields trials were conducted over 3-year period(
        4,300원
        132.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전차 확대대어 가는 유휴 논토양에 Reed canarygrass를 재배하였을 때 , 예취빈도와 무기태 질소시비가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Reed canarygrass의 잠재생산성의 증대를 위한 경제적 이고도 합리적인 예취빈도와 지로시비수준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빈도에 EKfms 예취번초의 상대수량은 3회와 4회 예취구에서 2번초, 5회 예취구에서는 3번초에서 연간 건물수량의 43.1, 3
        4,000원
        13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tting frequencies (3, 4 and 5 cuts per year) in relation to fertilization of mineral nitrogen on crude protein yield and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acid detergent fibre in orchardgms(Dac
        4,000원
        134.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ies (3, 4 and 5 cuts per year) and mineral nitrogen fertilization on dry matter yields, in order to estimate optimum level of fertilizing mineral nitrogen in orchardgrass(Dacry1is glome
        4,000원
        135.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ies(2, 3: one time grazed after 2 cuts, 3, 4, 6 cuts per year) and nitrogen fertilization(0 and 120 kg per ha and year) on botanical composition of permanent grassland at the "Federal
        4,000원
        137.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파 및 쪽파의 잎을 가해하는 해충상 및 이에 따른 종빈도분포형을 분석하였다. 대파를 가해하는 해충은 모두 13종이 밝혀졌고 우점종은 파총채벌레, 파굴파리, 파좀나방, 파밤나방으로서 점유율은 각각 48.4, 35.7, 6.0, 5.6%였다. 대파를 가해하는 해충종의 풍부도는 아산의 8월 중순 조사에서 높았고, 균등도와 다양도는 광주에서 높았으며, 우점도는 다양도가 가장 낮았던 수원의 10월 상순 조사에서 높았다. 수원, 아산, 광주에서 8월 중하순에 조사된 해충의 대수정규분포식의 실측치는 이론치와 일치하여 파 해충군집의 종빈도 분포는 대수정규분포형에 적합하였다. 쪽파의 잎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파총채벌레등 6종의 해충이 채집되었고 파충채벌레의 점유율은 70.1%였다. 쪽파잎을 가해하는 해충종의 풍부도는 아산의 8월 19일 조사에서 높았고, 균등도는 광주의 8월 28일 조사에서, 다양도 지수는 수원의 8월 22일 조사에서 높았다.
        4,000원
        138.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wing stage, cutting frequency and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change of carbohydrate reserves in reed canarygrass(Pha1aris arundinacea 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4,000원
        139.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물생산시설의 안전구조설계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60개 지역에 대한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설계하중 산정에 필요한 재현기간별 설계풍속 및 설계 적설심을 구하고 등풍속선도 및 등적설심선도를 작성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년최고치 계열의 최대풍속 및 최대적설심 자료에 대한 Type-I 극치분포의 적정 확률분포형 검정을 위해 Chi-Square검정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 지역에서 적합성이 인정되었다. 2. 적정 확률분포형으로 설정된 Type-I 극치분포에 의하여 재현기간별 표본 수에 따른 빈도계수를 구하고, 각 지역의 설계풍속 및 설계적설심을 구하였으며 결과는 Table 5와 Table 6, 그리고 Fig.3 및 Fig.4와 같다. 3. 최대풍속의 최빈풍향 분석결과 최대풍속의 약 46.4 %가 일정한 방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형이나 환경상의 문제가 없을 경우 최빈풍향을 고려해 주는 시설배치로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우리나라의 풍속 및 적설심을 고려해 볼 때 울릉도 및 영동지방은 시설재배지역으로 매우 불리하며, 충남과 전북 서해안 지역은 적설에, 서남해안 지역은 바람에 강한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500원
        140.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혼파된 영년채초지에서의 예취빈도와 질소시비가 뿌리의 수량과 심층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된 식생구조에서의 뿌리의 분포는 모든 처리구에서 상층 20cm까지에 그 대부분이 존재하였다. 2. 뿌리의 양은 우점종에 관계없이 모두 높았지만 Arrhenatherum elatius 우점초지에서 가장 낮았고 Alopecurns pratensis우점초지에서 가장 높았다. 3.뿌리의 양은 예취빈도간에는 그 차이가 없었으나 적당한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