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4

        12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1년 3월말 기간을 중심으로 강화도 하리지점에서 대기 중 수은의 토양-대기간 교환율의 측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은의 농도구배를 측정하고 이를 미기상학적 인자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수은의 플럭스값을 산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강화지역의 수은 농도는 일반적으로 도심환경에서 발견되는 수준보다는 현저하게 낮은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측정된 플럭스값은 200ng/m2/h에 근접하여 일반적으로 청정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수준을 훨씬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간 동안 관측된 주요 환경변수들의 분포경향을 비교해 보면, NOx와 PM등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변수들은 배출시의 농도가 침적시의 농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기상학적 요인들은 이러한 경향성이 고온 또는 저습도에서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상관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배출시에 대부분의 오염인자들이 수은과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지만, 침적시에는 그러한 경향이 역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흥미로운 사실은 침적시에 수은관련 변수들은 미세입자와 어느 정도 연계성을 띠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4,200원
        123.
        200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곰소만 중앙부의 하부 조간대(lower tidal flat)에는 길이 1300m, 폭 400m규모의 조간대 모래톱(intertidal sand shoal)이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다. 이 모래톱을 경계로 3개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에서 표층 퇴적구조, 입도 분포, 퇴적물 이동량(집적율), 그리고 천부 퇴적상을 분석하여, 각 구역의 에너지 영역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구역의 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구역(offshorewards zone) -세립사(평균입도 3Φ), 혀모양 연흔, 월 평균 70mm의 집적율과 미발달생물교란구조, B 구역(sand shoal) -중립사(평균입도 2.5Φ), 사구(4∼5m의 파장),월 평균 30mm의 집적율과 미발달 생물교란구조, C 구역(onshorewards zone) - 조립질 실트(평균입도 5Φ), 굴곡형 연흔, 월 평균 10mm의 집적율과 잘 발달된 생물교란구조. 이러한 결과로부터 하부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모래톱은 외해에서부터 유입되는 파랑의 에너지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즉 곰소만 조간대에 사주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저 에너지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만의 안쪽 지역에 위치하는 모래들이 방파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4,000원
        124.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상청에서 덕적도와 칠발도에 설치한 해양기상 관측부이 자료를 이용하여 해양 및 대기 특성과 해양-대기간의 열교환을 살펴보았다. 각 관측지점에서의 일평균 현열속 및 잠열속은 벌크공기역학법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표층수온은 기온과 같이 뚜렷한 연주기를 보이지만, 1달 정도 시간지연을 가진다. 해면기압은 7월에 가장 낮았고 겨울에 가장 높았으며, 습도는 5-8월 사이 비교적 높았다. 풍속은 가을과 겨울에 평균 5m/s 이상으로 강한 편이었다. 현열속 분석결과 가을부터 겨울에 걸처 해양의 열손실이 두드러졌으며, 봄과 여름에는 반대로 대기에서 해양으로의 약한 열전달이 이루어져 연중 순현열속은 해양에서 대기로의 열전달을 보여주었다. 잠열속 분석결과 봄에서 여름까지 대기의 열손실이 나타나지만, 그 외 기간에는 해양의 열손실이 월등히 크게 나타났다. 현열속과 잠열속의 크기를 비교해 볼 때,1-2월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현열속보다 잠열속에 의한 해양의 열손실이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관측지점별로 분석한 열속의 크기와 변동폭은 대체적으로 덕적도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일정 기간을 선정한 사례연구에서, 1998년 5월사례의 경우 현열속과 잠열속 모두 칠발도에서 더 크고, 1996년 11월 사례의 경우에는 덕적도에서 훨씬 크게 나타났다.
        4,000원
        125.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안만에서 표층퇴적물의 공간적 분포와 하구언 건설에 따른 조간대의 퇴적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층퇴적물을 채취하고 2개의 측선상에서 1998년 12월부터 2000년 3월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만입구 주변에 분포하는 연안 또는 하성 기원의 조립질퇴적물과 만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서해안의 여러 강과 외해에서 공급된 세립질퇴적물로, 조직 특성에 따라 5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된다. 비록 조간대의 퇴적률은 계절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나 이들 측정값은 측선-GR에서 -8.9mm/yr, 측선-YH에서 -48.9mm/yr로 크게 침식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침식우세현상은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른 수류의 변형에 기인한 것으로, 하구언과 방조제가 건설된 이전에는 서측만입구를 통해 해수의 유동이 활발하였으나 건설된 이후에는 남측 만입구를 통해 해수의 유동이 활발해지고 목포구에서 조석필터효과 상실에 의해 남측 만입구에서 낙조우세가 더욱 심화되어 조간대의 침식작용이 가속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4,000원
        12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생태계의 호염성 톡토기와 개미군집의 생물다양성정도와 변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주변환경과 식생이 다른 세지역에서 정량채집을 실시하였다. 종조성이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해 pH, 염도 및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톡토기의 종조성 이나 분포에는 pH와 식생보다도 토성과 염도가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미의 경우는 집을 지을 적당한 장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식생과 조수에 의한 침수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
        4,600원
        127.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해대교는 국내에 교량구조물에 관한 내진설계가 도입되기 전 설계된 교량으로서 현재 내진설계 규준에 적합하지 않은 종방향철근 및 횡방향 철근이 겹침이음된 중공육각형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으로 이미 시공이 완료된 상태이다. 최근, 지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두됨으로서 내진 설계 규준에 적합하지 않은 철근상세를 가지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 내진성능이 의문시되었다. 따라서, 비내진 철근상세를 가진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내진성능 평가를 위하여 교각의 축소모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종방향철근 겹침이음이 교각의 전체적인 내진거동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기대 이상의 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축소모형 실험결과에 의한 시험체의 파괴양상, 유효강성, 연성, 응답수 정계수 및 등가점성감쇠비를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가속도변위 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4,800원
        128.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층과 하층의 대기구조 특성을 알아내기 위하여, 해양의 특성을 잘 표현한다고 사료되는 섬(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을 관측지점으로 선택하여 라디오존데를 이용하여 대기의 연직구조를 관측하였다. 관측결과를 이용하여, 저 고기압이 통과할 때의 상대습도, 기온과 바람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결과치들을 비교하였다. 해양과 육상에서의 대기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오산의 관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습도가 고 저기압의 통과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저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대습도는 하층보다 상층에서 먼저 증가하였으나 고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층에서 10%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 상대습도 변화폭이 육상에서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해양과 육상에서의 수증기간의 관계를 계절별, 그리고 일별로 동시간 관측을 통해 찾고자 한다.
        5,100원
        129.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ceanic condition of fishing ground in the southwestern coastal sea of Korea, the oceanographic observation were carried out by the trainingship of Yosu university on May, August and November in 1998. Main features in the observation are as follows; 1) the ranges of temperature, salinity, density and chlorophyll-a were from 14.5℃ to 18.0℃, from 33.5‰ to 34.5‰from 24.0 to 25.5 and from 1.0μg/l in spring (May) from 15.0℃ to 27.5℃, from 0.0‰ 35.0‰9.0 to 26.0 and from 0.5μg/l to 4.0μg/l in summer(August), and from to 21.0˚ 31.0‰, from 22.0 and from 4.0μg/l to 20.0μg/l in autumn(November), respectively, 2) the temperature in the coastal regio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pen ocean while salinity, density and chlorophyll-a were lower, and the convection was identified between the surface and the bottom during in spring and autumn, 3) the chlorophyll-a in the this region was varied in each season, being highly distributed offshore Yosu Bay, 4) on evidence of sea water intrusion toward Kumun island was observed.
        4,000원
        131.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a small proportion of fishery products are contaminated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potentially hazardous contaminants. So, there is generally a high risks to consumers. Inorganic contaminants with the greatest potential for toxicity are Sb, As, Cd, Pb, Hg, Se and the Sulfides. As appears to be much more variable than the othe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levels of the As in fisheries caught from the waters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The samples included 26 kinds of fishes, 18 kinds of Mollusca, 3 kinds of Crustacea and 7 kinds of salted fishes. The Moisture content of mollusca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s (p$lt;0.05). And the As contents of crustacea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es, molluscans and salted fishes (p$lt;0.05). The As content of Turban shell was 51.62 ppm,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Also, the As contents of eel, cattle fish and blue crab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in other fisheries. This variability offers a solution for the reduction of eosure to As through restricting the harvest of aquatic organism from the western coast of Korea.
        4,000원
        133.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서해안 격열비열도 근해산 문치가자미의 연령과 성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매월 정기채집한 256개체의 이석을 연령형질로서 사용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석의 투명대와 불투명대는 년 1회 형성되었으며 투명대 형성시기는 7월이고 불투명대 형성 시기는 2월에서 4월로 이는 산란종기(2월)와 일치함을 보였다. 연령별 체장 (LT)과 연령(t)을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적용하여 수컷은 Lt=313.7[1-exp{-0.4342(t+0.9017)}, 암컷은, Lt=458.1[1-exp{-0.2368(t+0.1934)}과 같은 관계식을 구하였다. 또한 암컷과 수컷의 성장속도는 2세까지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세어 이상에서는 암컷이 수컷보다 월등히 빠름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의 최고령어는 암수 각각 5세와 6세였다.
        4,000원
        134.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군산항을 기지로 한 소형어선이 한국서해안 격열비열도 근해에서 어획한 돌가자미를 매월 약 20마리씩 정기적으로 채집한 총 248마리의 연령과 성장에 관하여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석의 투명대가 형성되는 시기는 1~2월이고 불투명대가 형성된 시기는 11월이었다. 2. 이석반경(R)과 체장(SL)과의 사이에는 자웅별로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하였다. Male SL=84.1R super (1.01) (r super (2) = 0.74) Female SL=80.1R super (1.07) (r super(2) =0.76) 3. 전장(TL)과 체장(SL)과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하였다. Male TL=1.15SL+9.6(r super (2)=0.99) Female TL=1.14SL+10.0(r super(2)=0.99) 4. 연령별 체장(Lt)과 연령(t)을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구하였다. Male Lt=313.7(1-exp{-0.463(t+0.0704)}] Female Lt=478.6[1-exp{-0.286(t-0.1619)}]
        4,000원
        138.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ratigraphy and evolution of the intertidal deposit of Gunhung Bay, west coast of Korea, have been studied by analyzing surface sediments, core sediments and subbottom profiles. The surficial sedimentary facies consists of upper mudflat, mixedflat and lower mudflat from high tide level to low tide level. The tidal deposit above the acoustic basement is 5 - 20m thick and can be divided into two sedimentary sequences by a mid-reflector. The boundary of them is identified by long core data. The lower sedimentary unit (sequence B) consists of semi-consolidated, brown sandy muds and is interpreted to be deposisted during Riss-Wurm interglacial period. The upper sedimentary unit(sequence A), which overlies the sequence B unconformably, is about 10m thick and consists of Holocene intertidal sediments. The sequence A consists of mudflat facies at lower part and mixedflat facies at upper part. It indicates that the sequence A is a transgressive sequence. Many V-shaped erosional patterns at the unconformable contact of sequence A and sequence B indicate the existence of old tidal channels formed during the low sea level of the last glacial period. The long-term accumulation rate of sequence A is considered to be 2㎜/yr from core data and it is coincident with the accumulation rate determined by Pb-210 for the PVC core.
        4,300원
        139.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rizontal scale and movement of tidal front zone, front in the western regions of Korea in summer are studied in conjunction with numerical model and NOAH-11 satellite data analysis(AVHRR multi -channel sea surface temperature). In numerical model result, tidal mixing is dominant in the southeast region of Hwanghae, near field of Taean, Kyunggi bay, near field of Jangsan cape, Seoan bay, mid-east Chinese coast. But the results of the NOAH infra-red image analysis show that low surface temperature by tidal mixing is clear in the southeast region of Hwanghae, near field of Taean, near field of Jangsan cape but not in the Kyunggi bay, Seoan bay and mid- east Chinese coast in August and September, temperature gradient of frontal zone in the southwest region of Hwanghae is 0.05°∼0.1℃/㎞ and tidal mixing is dominant in the near field of Maenggal kundo and Hajodo and low surface temperature extends southwesrward. Early in August, west-east front(0.2°∼0.6℃/㎞) on the south region of Jindo moves northward and persists at east half on the joining line of Jindo and Sohuksando late September. The axis of front on the west region of Jindo is northeast~sorthwest early in August and moves westward until late September The tidal mixing in the near field of Jangsan cape is dominant in the region between Jangsan cape and Baengyougdo early in August and between Baengyougdo and Daechungkundo in late September. The axis of front on the west region of Jangsan cape is south-north and its temperature gradient is 0.2°∼0.4℃/㎞.
        4,000원
        140.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