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7

        12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PFRCC는 물-결합재비 (W/B)가 20%로 상당히 낮고 굵은 골재를 사용하지 않으며, 고분말 혼화재료를 혼입하기 때문에 자기수축이상당히 크게 발생하여 구조물 적용 시 균열저감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HPFRCC의 수축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수축저감제와 팽창재의 사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이들의 단독 또는 병행 혼입률에 따른 역학적 특성과 구속 수축특성을 평가하였다. 구속수축 실험 중에서 링-테스트 (Ring-test)를 통하여 HPFRCC에 사용되는 시멘트에 대하여 중량비로 수축저감제 1%와 팽창재를 7.5%를 병행 사용하였을 경우 압축강도와 인장강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수축을 가장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최적 배합임을도출하였고 수정된 건조수축 균열실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122.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thematical models of shrinkage and creep are based on the experimental evidences obtained from the ideal laboratory environment. In case of the age-dependent behavior of RC beam, the shrinkage strain may not be uniform through the depth of beam whereas it has been usually assumed to be uniform through the beam depth. This paper addresses the assumption of uniform shrink\age strain through the beam depth and flexural creep that has been observed from the recent test program.
        123.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활성화된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시멘트(alkali-activated slag cement; AASC)의 기초 특성에 관한 실험에 관한 연구이다. 물-결합재 비(W/B)를 0.4와 0.5로 하였다. 그리고 활성화제의 농도를 2M과 4M을 사용하였다. 각 W/B 비에 대해5가지의 배합을 고려하였다. N0는 KS L 5109의 방법이고 N1~N4는 배합시간, 배합 단계 그리고 잔골재의 투입시점을 다르게 변화시켰다. 시험결과 AASC의 플로우 값, 강도 그리고 건조수축은 잔골재의 투입시점에 영향을 받았다. 플로우 값은 잔골재의 투입시점이 늦춰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투입시점이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더구나 XRD 분석은 이러한 결과들을뒷받침하고 있었다. 건조수축은 잔골재의 투입시점이 늦어지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 고려된 실험요인들을 통해 배합을 조절한다면 AASC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124.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utogenous shrinkage of morta that contains shrinkage reducing agent (SRA) It is observed that the autogenous shrinkage of mortar was about 300με at 6 days after casting. The SRA reduces the autogenous shrinkage by an half, but unexpected expansion was observed between 1 and 2 days after casting.
        125.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n the tensile behavior of strain-hardening cement composite (SHCC) with HR and SWP Shrinkage Reducing Admixture (SRA). SRA can also improve the tensile strength and multiple cracks of SHCC material used in this study.
        126.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n the flexural behavior of strain-hardening cement composite (SHCC) with HR and SWP Shrinkage Reducing Admixture (SRA). SRA can also improve flexural strengths and flexural toughness.
        127.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dding SRA(Shrinkage reducing agent) on the direct tensile behavior of UHPFRC(Ultra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 The experimental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post cracking strength and strain capacity for the cement hydrated cement paste without at SRA were higher than that incorporate with 1% SRA.
        128.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field applications and researches for concrete using by-products, fly-ash, GGBS, etc, have been conducted. In case of GGBS, however, quality control and replacement amount is limited because of some disadvantages. In this study,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using GGBS was evaluated applicability for concrete structural material. In order to evaluate, compressive strength and shrinkage test were conducted.
        129.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al study examines the test results on the flexural behavior of strain-hardening cement composite (SHCC) with two types of Shrinkage Reducing Admixture (SRA). An influence of SRA on the flexural behaviors of SHCC mixes was observed.
        130.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fluence of micro-fiber on the autogeneous shrinkage of mortar were explored in this study. Mixtures with 0.4 of W/C are used in the test. Test results show that PVA fiber that added 2% in the mixture does not influence the autogenous shrinkage of mortar because the autogenous shrinkage causes an uniform volume changes of mortar.
        13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hrinkage of heavy weight concrete. The main parameter was replacement level of fly-ash. Test results showed that shrinkage of heavy weight concrete was higher than ACI 209 and CEB-FIP codes without replacement of fly-ash in early ages. However, in fly ash substitution rate of 20% case, shrinkage of heavey weight concrete was lower than ACI 209 and CEB-FIP codes after 35 days.
        13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emulsified refined cooking oil (ERCO)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cement paste, and their results are compared with that of shrinkage reducing admixture (SR). Results showed that ERCO decreased early strength, but retained the strength at the later age of 28 days, slightly higher than pure OPC
        13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last furnace slag for use in a NPP concrete, strength,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using fly ash and OPC. Experimental results, the OPC concrete drying shrinkage is the largest and most FA and GS the similar level.
        134.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evaluates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polymix fiber and type of aggregate. Consequently, When concrete is mixed with limestone aggregate and spalling prevention fiber, Compressive strength, modulus of elasticity and autogenous shrinkage was better.
        135.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는 초기재령에 있어서 수분의 증발 및 이동으로 소성 및 건조수축 등의 수축현상이 발생한다. 국내에서는 아령형 구속건조수축몰드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균열 평가방법을 KS에서 규격화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이는 균열발생시점 및 구속수축응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균열발생량에 관한 정량적 평가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수축변형거동 및 균열발생량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을 개발하고 시험체 치수가 콘크리트의 수축균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의 최적 시험체 치수 도출 및 수축균열특성에 관한 정량적 평가방법을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136.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형․대단면 지하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50MPa급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를 위해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미분말의 치환에 따른 최적 배합을 선정하고, 비구속 수축 실험과 수축균열 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전 배합이 7일 재령에서 30MPa을 넘었고, 28일 재령에서는 설계강도를 모두 안정적으로 획득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에 고로슬래그를 사용할 경우 자기수축량이 커지고, 다량 치환할 경우 수축변형이 증가하고 강도발현이 지연되어 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의 우려가 있다. 혼화재를 다량 치환한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은 수화반응과 건조 효과에 영향을 주는 초기 재령의 양생 조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139.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개발된 저수축 고성능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모의부재 시험체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기초적 물성과 수축특성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실험연구 결과, 콘크리트의 배합특성으로 제안 배합은 목표 슬럼프플로우 및 목표 공기량을 만족하기 위해 SP제량 증가, AE제량 감소의 배합보정이 필요하였다. 응결시간은 제안 배합이 8시간 정도 빠르게 나타났으며, 굳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60MPa 이상의 고강도로 나타냈다. 수축특성으로 제안 배합 자기수축의 경우 플레인 배합 자기수축에 비해 50% 정도 저감되었고, 제안 배합의 중심부 건조수축은 수분발산이 없는 것에 기인하여 자기수축과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표면부는 크게 수축하였다. 단, 철근배근 시험체인 경우는 철근구속에 의해 내부 및 표면의 수축량이 작게 나타났다.
        140.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은 초기균열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혼화재료를 혼입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특성을 분석한 후 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험변수를 가진 시편에 대해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혼화재료의 종류 및 혼입률로 설정하였으며 물-시멘트비는 30%로 고정하였다. 실험결과 플라이애시를 치환한 경우에는 자기수축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며,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경우에는 자기수축이 증가하였다. 또한,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의 혼입량이 클수록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회귀분석을 통해 혼화재료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예측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자기수축 예측식은 실험결과와 비교적 일치하였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