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

        123.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유용 자원식물인 함초를 식품 및 식물자원으로서 이용가치를 높이는데 있어 그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서해안 갯벌에서 채집하여 건조, 분쇄한 함초분말 시료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이섬유, 총 당, uronic acid 등의 함량이 각각 60.66, 15.2 및 2.6%를 나타내었다. 식이섬유는 다른 자원들 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생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린 및 비테인의 함량이 각각 29와 888mg/100g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함초에는 Na(2880mg/100g), Ca(440mg/100g), K(930mg/100g) 및 Mg(356mg/100g)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함초를 이용한 유용 가공제품의 개발 가능성이 크게 기대되며, 아울러서 앞으로 함초를 경쟁력있는 고기능성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심도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24.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둥굴레속 식물중 7종을 수집하여 각종의 지하경중의 무기성분, 당함량, 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하경의 무기성분중 총질소, 인산 및 칼륨은 생육기보다 지상부 생육 정지기에서 약간 낮았으며 총질소 함량은 죽대, 각시둥굴레 및 퉁둥굴레가 높고 인산은 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칼륨은 둥굴레1과 각시둥굴레에서 높았다. 칼슘 마그녜슘 및 나트륨의 함량에서 칼슘은 지상부 생육 정지기에서 높았고 마그녜슘과 나트륨은 감소하였으며 칼슘은 죽대, 각시둥굴레 및 퉁둥굴레에서 높았고 마그녜슘과 나트륨의 함량은 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철, 망간, 아연 및 구리 등의 미량 무기성분은 생육초기에 가장 높았으며 생육중기에 낮았다가 후기에 다시 증가하였으며 철분 함량은 둥굴레2와 퉁둥굴레에서 높았다. 당의 함량은 생육 초기보다 후기에 더 높았는데 층층둥굴레는 모든 시기에서 가장 높았고 죽대는 가장 낮았다. 단백질 함량은 죽대가 가장 높았고 층층둥굴레가 가장 낮았다.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4, 8, 11월중 8월 지하경에서 가장 높고 11월 지하경에서 가장 낮았으며 아미노산 종류중 glutamic acid와 arginine함량이 높았으며 총아미노산, 필수아미노산 및 함황아미노산 모두 죽대와 각시둥굴레에서 높은편이었다.
        126.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물유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산화 화합물을 찾기 위하여 채취한 86종의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얻은 MeOH 추출물을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밤껍질 (RC50=5.8μg)과 느릅나무 (RC50=12μg)에서 대조구인 α-tocopherol(RC50=12μg) 과 BHA(RC50=14μg)에 비해 강한 활성을 보였고 그외 13종에서 도 비교적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표적인 식물병원균 중 6종의 균주를 사용하여 in vivo 방법으로 항미생물 활성을 검정한 결과 굴피나무, 비목나무, 산국, 소리쟁이, 가막사리, 아왜나무에서 90% 이상의 식물병원균의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다.
        127.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생식물 16종의 종자형질 특성 및 저온습윤 및 변온 처리에 의한 발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실험은 수행되었다. 종에 따라 종자의 길이, 넓이, 폭은 각각 1.1∼8.9, 0.7∼7.5, 0.4∼l.7mm의 범위였으며 천립중은 0.1∼8.8g의 범위였다. 무처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은 종에 있어 냉이와 익모초는 암조건에서 각각 16, 36%이었으며 장구채와 각시취는 명조건에서 각각 69, 81%이었다. 참취, 고려엉겅퀴, 곰취, 질경이, 청옥취는 저온습윤처리 명조건에서 각각 84, 29, 57, 78, 95%로 물엉겅퀴는 암조건에서 30%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변온처리에서 발아율이 높은 종에 있어 두릅나무와 벌개미취는 명조건에서 각각 2,57%로, 수리취는 암조건에서 52%로 가장 높았다.
        131.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산에 자생하는 왕벚나무(Prunus yedonesis)의 미성숙 접합자배로부터 체세포배를 직접 유도할 수 있었으며, 이들 직접 체세포배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 시킬 수 있었다. 0.1mg/L GA3 와 0.1mg/L BAP 또는 0.5mg/L GA3와 0.1mg/L BAP 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캘러스가 형성되지 않고 80~93%로 체세포배가 직접 발생하였으며, 그 중 정상적인 구형 또는 심장형의 체세포배 비율은 43~58%, 자엽상의 비정상적인 체세포배 비율은 42~57%로 나타났다. 자엽상의 비정상적인 체세포배는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MS 배지에 계대배양하면 16주 이후부터 신초가 다수 발생되었고, 이들 신초들은 0.5mg/L IB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80% 이상의 발근을 보여 정상적인 식물체로 발달하였다. 또한 종자 성숙 시기에 따라서 정상적인 체세포배는 만개 후 30일된 종자의 접합자배에서 전체 62.5%가 직접 발생되었으나 45일된 종자의 배에서는 37.5%가 발생되어 종자가 성숙할수록 체세포배의 직접적인 유도율은 점차 낮아졌다.
        132.
        199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식물중 기능성식품원료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쑥, 한삼덩굴, 돌외의 주년생산과 우량계통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이들에 대한 수집종간 및 재배방법간의 재배학적 특성과 성분을 분석(分析)하였던 바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쑥의 생산량(건초량)은 수원에서 수집한 뺑쑥에서 제일 많았으나 정유함양(精油含量)은 음성에서 수집한 약쑥과 음성에서 수집한 쑥은 각각 0.15%, 옹진에서 수집한 쑥은 0.12%, 뺑쑥은 0.09%이었다. 2. 돌외의 수량은 관행재배에 비해 지주(支柱)를 세워 덩굴손이 지주를 감아 신장시킨 재배에서 48% 많았고, 돌외의 지상부에서는 rut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환삼덩굴의 수량은 계룡상에서 수집한 종이 음성에서 수집한 종에 비해 12% 많았고, 환삼덩굴의 지상부에서 phenol성(性) 성분인 iso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정성적으로 확인되었다.
        134.
        198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shoul be high possibility of preventive and immune eficacy aqainst cancer when the anti-cancer plants are properly utilized in human dietary life as it is evident that considerable part of wild plantd or both medicinal use and ood are growing naturally in the mountainous area in korea, some of which have ben proved to be anti-cancer plants. this study, at this initial stage, has been done to acquire the fundamentals of 235 kinds of ante-cancer plants growing naturally in korea. from the results o thisresearch, the anti-cancer plants have been sorted out by amily and its number. and also the status of regional distribution of those plants and the kinds of anti-cancer plants used for both medicine and food were studied and experimented to see the medical efficacy against anti-tumor. this experiments were conduced in accodance with the total packed cell volume method and cyto toxicity method.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