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2

        12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조선조 초기에 편찬한 高麗史 列傳에 나타난 二人稱代名詞中平稱詞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의 고문에서 사용된 二人稱平稱詞의 종류는 ‘汝’, ‘女’, ‘若’, ‘而’, ‘爾’, ‘乃’, ‘戎’ 등 7가지로 다양하다. 고려조에 발간된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에서는 ‘汝’․‘爾’․‘若’․‘而’ 등 4 가지의 이인칭 평칭사가 두 책에서 동시에 수용되어 사용되었으나, 조선조에 발간한 高麗史에는 고려시대에 사용되던 ‘而’가 사용되지 않고, ‘而‘와 통사적 특성이 동일한 ‘乃’가 새로 사용되었다. ‘汝’․‘爾’․‘若 등은 그대로 사용되었으나, ‘女’․‘而’․‘戎’ 등은 수용되지 않았다. 이들의 통사적 특성을 분석하면 중국의 고문에서 쓰인 용법과는 달리 쓰여진 면이 보이고, 또한 三國史記나 三國遺事에서의 용법과 다른 점도 발견된다, 개개대명사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汝’는 중국의 문장에서와는 달리 修飾語와 被修飾語사이에 관형격 조사 ‘之’가 배합되는 유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중국의 고대 문장에서는 ‘汝’가 관형어로 잘 쓰이지 않는 현상이 특징이었으나 􋺷高麗史􋺸에서는 관형어로 쓰인 경우가 주어나 목적어로 쓰인 횟수와 대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若’은 모두 ‘若等’․‘若輩’․‘若曹’ 등의 복수의 형태를 취하여 문장의 主語와 冠形語로만 사용되었다. ‘爾’는 단독으로 쓰여 복수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고, 관형어로 쓰인 ‘爾’와 被修飾語사이에 ‘之’가 배합된 유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지시대명사로 쓰인 경우가 있는데 중국에서는 遠稱(彼), 근칭(此), 不定稱 (其)등으로 쓰였으나 高麗史에는 ‘近稱’과 ‘遠稱’으로 쓰였다. ‘乃’는 三國史記나 三國遺事에서는 이인칭대명사로 사용되지 않았다, 高麗史에는 대명사로 사용되었는데, 모두 관형어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에서 ‘乃’가 관형어로만 사용된 어법상의 특성이 조선조에 다시 수용되었다.
        6,300원
        12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朝鮮朝 초기에 간행된 『高麗史』 列傳에 나타난 二人稱代名詞 중 謙稱詞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高麗史』 列傳에서 사용된 謙稱詞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신하가 임금에게 자신을 표현한 경우는 臣, 小臣, 老臣, 微臣, 下臣, 陪臣, 愚臣, 犬馬 등이 사용되었고, 임금이 신하에게 사용한 경우는 寡人, 寡躬, 寡君, 孤, 不穀, ?昧 등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그 외의 관계에서 사용한 경우는 老夫, 僕, 妾 등이 사용되었다. 먼저 이 겸칭사들을 중국에서 사용된 형태적 특성과 비교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高麗朝에 발간된 『三國史記』, 『三國遺事』에서 사용된 특성과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高麗史』 列傳에 사용된 개개 謙稱詞들은 중국에서 사용된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과 조선조에서 달리 변용된 것이 분석되었고, 고려조에서 사용된 形態的 特性도 조선조에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5,800원
        12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우리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漢字語의 指導 段階와 模型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말은 漢字語와 고유어, 외래어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외래어와 달리 漢字語는 고유어와 구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 敎育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생기는 意味 把握의 어려움이 初等 學生 水準에서는 심각한 문제이다. 지금까지는 광범한 어휘의 비교, 대조, 유추와 긴 학습시간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였다. 的確한 指導를 통해 질 높은 언어 사용을 원하는 敎師의 입장에서는 語彙 意味의 명확하고 신속한 學習이 바탕이 되어 學生들의 文章과 글 사용 수준이 높아지기를 원한다. 이런 敎師의 바램을 가로막는 것이 漢字語에 대한 指導와 고유어 指導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점이 관심을 가지고 本 硏究가 이루어 진 이유이다. 이에 따라 硏究의 方向과 水準이 결정되었는데, 本 硏究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漢字語가 敎育的으로 가지는 意義에 대해 밝힌다. 문장 내에서 漢字語의 役割과 漢字語를 指導해야 하는 理論的 根據를 밝혔다. 讀解와 語集의 關聯性 및 讀解와 漢字語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讀解에 있어 漢字語가 어떤 役割을 하는지 밝힘으로써 漢字語 指導의 根據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漢字語 指導의 內容이 되는 敎科書 속의 漢字語의 樣相을 밝히고, 漢字語 指導 位階를 세운다. 敎科書에 收錄된 漢字語의 頻度를 조사하고, 初等學校 指導用 漢字를 바탕으로 敎科書 收錄 漢字語 中 指導 漢字語를 밝힌다. 여기서는 指導用 漢字 뿐만 아니라, 收錄 頻度, 收錄 時期, 指導의 適合性 등을 함께 考慮하였다. Ⅳ장에서는 敎科書 收錄 漢字語의 指導 方案을 摸索한다. 漢字 學習 側面에서의 漢字語의 指導 目的과 內容, 指導 方法을 밝힌다. 이것은 漢字에 대한 理解를 바탕으로 漢字語를 指導하기 위한 方法이다. 본 논문이 漢字諦를 보는 시각은 이와 다르므로, 國語 敎育 側面에서의 漢字語 指導 方法을 具案하였다. Ⅲ장에서 選定한 漢字語를 바당으로 漢字語를 접하는 學習者의 상태를 非認識 段階와 認織 段階로 크게 區分하였다. 각 段階別로 細部 段階의 位階的 學習 方法을 提示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敎授·學習 段階 模型과 課程案을 具案하여 指導한다. 그런 다음 指導 結果를 評價紙를 통해 分析하고 設間調査를 指導 前·後에 實施하여 漢字語 指導에 대한 效果와 學習者의 認識을 確認한다. 결론에서는 漢字語의 指導 給果를 明示한다. 硏究 內容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漢字語의 意味 指導 時 漢字의 表意性을 活用하면 語彙 意味의 把持 效果가 크다는 것이다. 한 두 語彙의 指導가 語彙 속 개별 글자의 分節을 통해 새로운 語彙의 意味를 類推할 수 있고 類推 活勳을 통해 語彙 造語力이 향상된다. 學習者가 語彙 造語力을 향상시키는 方法을 體得하고 나면 스스로 語彙의 意味를 구성해 간다. 즉, 本 硏究의 결과, 語彙 造語를 해 나가는 段階를 나누고, 指導 方法을 段階마다 水準別로 달리하면 語彙 意味에 대한 造語 方法이 學習者에게 길러진다고 확인되었다. 위의 指導 內用과 方法을 適用하며 語彙 意味를 指導하면, 구조적으로 조직된 語彙를 바탕으로 폭넓은 文章과 글 지도가 가능하다. 이 뿐만 아니라, 學習者의 자가 발전적 語彙 學習으로 인해 많은 학습 시간을 語彙 意味 解析에 보내지 않아 學習의 質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 짧은 기간이지만, 이 學習 方法을 適用라는 것은 語彙 意味 把持力이라는 側面에서 有意味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學習者가 文章이나 새로운 意味를 처음 대할 때 느끼는 心理的 負擔感과 回避 意識을 떨치고 積極的으로 學習에 임하게 하는 自信感을 심어주는 效果가 크다. 그리고, 무엇보다 本 硏究는 敎師가 語彙 單位의 指導에 얽매이지 않고, 學習者의 文章, 글의 水準을 보다 세련되고 精練化하는 데 시간을 할애할 수 띤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7,000원
        126.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were two purposes of this study. The first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f standard and fixed-split keyboards on wrist posture and movements during word processing. The second was to select optimal computer input devices in order to prevent cummulative trauma disorder in the wrist region. The group of subjects consisted of thirteen healthy men and women who all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Kinematic data was measured from both wrist flexion and extension, and wrist radial and ulnar deviation during a 20 minute period of word processing work. The measuring tool was an electrical goniometer, and was produced by Biometrics Coope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wrist flexion and extension at resting starting 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however the angle of radial and ulnar devi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tandard and split keyboard use during word processing (p<.05). 2. In the initial 10 minutes, the dynamic angle of wrist flexion and extens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however the dynamic angle of radial and ulnar devi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tandard and split keyboard use during word processing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plit keyboard is more optimal than the standard keyboard, because it prevented excessive ulnar deviation during word processing.
        4,000원
        130.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國語에는 많은 漢字語가 있다. 1957年에 완간된 〈(조선말)큰사전〉에 의하면 固有語(순수한 우리말)는 56,115 單語인 데 비하여 漢字語는 81,362 單語나 된다. 國語辭典에는 "국어(國語)"처럼 標題語 바로 뒤에 괄호 안에 漢子로 表示된다. 그런데 最近에 전 한글학회 辭典編纂員이었던 `한말연구회` 정재도 회장은 그 중 상당수의 單語를 固有語라고 하는 근거 없는 主張을 내어 놓고 있으며, 그의 주장을 믿고 일부 사전에서는 이미 語源 漢字를 없애 버린 것도 있다. 本稿에서는 정재도회장이 固有語라고 주장한 `부실(不實), 남사당패(男寺黨牌), 도배(塗褙), 기별(奇別·寄別), 표(標), 온돌(溫突), 방(房), 공부(工夫), 선물(膳物), 선사(膳賜)`등이 漢字語임을 논증하였다. 이 중에는 古代漢語에서 바로 借用한 것도 있고, 우리나라에서 만들거나, 固有語를 漢譯한 것도 있으나 各 形態素 [morpheme, 쉽게 말해 每個 글자]는 漢語이므로 틀림없는 漢字語다. 정재도씨가 이것들을 모두 漢字語라고 하는 이유는 그가 철저한 조사를 하지 못하여서 그런 것도 있지만 일부는 漢字에 대한 혐오(嫌惡) 등 偏狹한 民族主義 때문에 故意的으로 固有語라고 우긴 것도 있는 것 같다. 漢字語가 많다고 劣等感을 느끼는 것은 잘못된 관념이다. 英語에는 우리말 못지 않게 外來語가 많은데 그 중 대부분이 佛語를 통하여 간접 借用한 라틴어다. 그런데도 영어사전에는 이런 말들의 語源을 상세하고 당당하게 밝히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는 일찍부터 中國과 文化 交流를 하였고 文字가 없을 때 漢字로 文字生活을 하면서도 우리 國語를 완벽하게 지켜 온 우수한 民族이다. 漢字語가 많은 것을 부끄럽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漢字語는 우리말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다. 時代錯誤的인 劣等感은 버려야 한다.
        6,600원
        131.
        200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33.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irst performed by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Chinese characters to search for orientation of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s a result, when Chinese characters in a broad sense are divided into Chinese character,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 are being supplied through various methods. But there are relatively few contents that improve word power and make an active communication possible through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Although evaluation methods which are invented in game and multiple-choice questions applied to, there are lacks of contents that make immediate learning of self-evaluation possible using characteristics in learning on cyber. The learning through NIE and a few programs are therefore represented in this study to advance word power with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and evaluation methods on cyber. Especially, to perform immediate learning on-line Chinese characters can be grafted onto widely known programs. In the center of the learning through NIE on cyber among them this study shows a homepage that is developed personally. These Programs will make learning according to level of learners possible and make visitors react immediately because there are Chinese characters mode and Korean mode respectively.
        6,600원
        134.
        200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36.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800원
        137.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is a kind of tool which helps people to experience the environment not as the thing itself but as a meaningful one. It, gathered by place, constitutes 'genius loci', as the existential structures. It, in other words, gives a thing 'cognitive quality', and serve people to 'dwell' because 'a place is a gathering thing with concrete presence.' Our environment, only when it possesses the language, presents itself as a namable thing or an understood world. Such a meaningful identification is dwelling. The modern world is a complex melting-pot. It is 'complexities' and 'contradiction'.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is never created, rather it is selected by needs of the time and the place. In this sense, architectural design means discovery and interpretation of the poetic order of architypal form and style, and the poetic order is a way for people to dwell in the humanistic sense. These reminds me of Martin Heidegger's statement : 'Architecture belongs to poetry, and its purpose is to help man to dwell.'
        4,300원
        13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