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

        123.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3'-diindolylmethane(DIM)이 인간전립선암 세포인 PC3 세포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DIM은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24시간동안 DIM으로 PC3 세포를 전 처리한 후 부착실험을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암세포가 부착 시 DIM의 암세포 부착 억제가 전처리에 의한 부착 억제보다 효과적이었다. DIM 은 인간 전립선암세포의 이동과 침윤도 억제하였으며 24시 간 동안 PC3 세포를 DIM으로 전처리를 했을 때도 침윤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IM의 억제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 PC3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가 DU145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DIM은 150 μM 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 DIM은 세포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인간 전립선암 세포인 PC3와 DU145 세포의 부 착, 이동,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전립선암 전이 억제 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2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tophagy is a homeostatic degradation process that is involved in tumor development and normal development. Autophagy is induced in cancer cells in response to chemotherapeutic agents, and inhibition of autophagy results in enhanced cancer cell death or survival. Chloroquine (CQ), an anti-malarial drug, is a lysosomotropic agent and is currently used as a potential anticancer agent as well as an autophagy inhibitor. Here, we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ual activities of CQ using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line HCT15. The results show that CQ inhibited cell viability in doseand time-dependent manner in the range between 20 to 80 uM, while CQ did not show any antiproliferative activity at 5 and 10 uM. Cotreatment of CQ with antitumor agent NVP-BEZ235, a dual inhibitor of PI3K/mTOR, rescued the cell viability at low concentrations meaning that CQ acted as an autophagy inhibitor, but CQ induced the lethal effect at high concentrations. Acridine orange staining revealed that CQ at high doses induced lysosomal membrane permeabilization (LMP). High doses of CQ produced 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cotreatment of antioxidants, such as NAC and trolox, with high doses of CQ rescued the cell vi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Q may exert its dual activities, as autophagy inhibitor or LMP inducer,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125.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moresistance is one of the main problems to treat different kinds of cancers or cancer ce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strategies to make the cancer cells sensitive to chemotherapy along with optimal dosage of drugs. We examined sensitivity of MCF7 cells through pretreating with an epigenetic modulator, azacytidine (AzaC) to doxorubicin (Dox). The cells were treated with 5 and 10 mM of AzaC for a week, subsequently with 50, 100 and 500 nM of doxorubicin for 24 and 48h. It was found that pretreatment of AzaC significantly enhance the sensitivity of MCF7 cells to Dox, inducing cell death. After 24h 15% cells underwent apoptosis in 500 nM dox treatment group while 23.4% cells death occurred in AzaC pre treatment group. After 48h MCF7 cells treated with Dox showed 19.0% cell death while AzaC sensitized cells showed 50.0% cells death when exposed to 500 nM of Dox for 48h.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e upregulations in the expression of bax, caspase-3, caspase-9 and p53 in AzaC-sensitized MCF7 cells treated with Dox as compared to those treated with only Dox. There was no clear indication for pro-apoptosis genes in the cells treated with individual drugs. These results showed that pretreatment with the epigenetic modulato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nsitivity of MCF7 cells to Dox.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demethylation event might enhance the activity of DNA intercalating agents to induce DNA damage in breast cancer cells.
        126.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Doenjang that was prepared with various kinds of solar salt was investigated. Doenjang was prepared using the bacterial koji and five kind of salt with 12% salt concentration (w/w): purified salt Doenjang, one-year aged solar salt Doenjang, four-year aged solar salt Doenjang, topan solar salt Doenjang, and boiled solar salt Doenjang. The Doenjangs were fermented and aged for 18 months. The growth inhibition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and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Doenjangs were measured o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HT-29 colon carcinoma cells, and BJ human foreskin normal cells using MTT assay.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Doenjang samples showed growth inhibition effects on the cancer cells, in the following order of the samples with the strongest to the weakest effect: the four-year aged solar salt Doenjang, the topan solar salt Doenjang, the boiled solar salt Doenjang, the one-year aged solar salt Doenjang, and the purified salt Doenjang.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four-year aged solar salt Doenjang (AGS: 55% and HT-29: 48%) showed the strongest growth inhibition effect. In addition, decreased cancer cell numbers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cancer cells (AGS and HT-29) were observed when the methanol extract of the four-year aged solar salt Doenjang was treated. None of the Doenjang extracts showed a growth inhibition effect on the BJ normal cells, though.
        12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포 사멸(apoptosis)은 세포의 항상성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메커니즘이다. BCL-2 family 단백질들은 세포의 생존과 세포 사멸을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이다. MCL-1 단백질은 세포의 생존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pro-survival BCL-2 family member이며, 난소암, 혈액암, 자궁 경부암과 같은 다양한 암 조직에서 높게 발현하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 본 연구진에 의해서 IEX-1 단백질은 MCL-1의 결합
        128.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폐기되고 있는 대두박을 기능성 식품 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대두박 70%에탄올 추출물로부터 Diaion HP-20 흡착수지를 이용하여 조사포닌을 분리 한 후 이들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대장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Diaion HP-20 흡착 수지를 이용하여 분획한 물, 20% 및 100% 주정 분획물을 TLC상 확인한 결과 100% 주정분획물에서 조사포닌들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두박 조사포닌은 고농도에
        12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검정콩 안토시아닌의 항산화력과 암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토시아닌 함량은 일품검정콩이 공시재료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C3G 함량은 타 계통보다 2배 이상 높았다. 2. 안토시아닌을 분획한 후 각각의 pigment로 항산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 TEAC 법과 DPPH법 모두 C3G, D3G, 및 Pt3G의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C3G와 D3G의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났다. 일품검정콩과 재래속청간 품종 비교에서는 일품검정콩이 3가지 분획 모두 재래속청 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이는 TEAC 법과 DPPH법 공히 같은 경향이었다. 3. 인간 암세포인 Jurkat T 세포와 MCF-7 세포에 안토시 아닌 개별색소(C3G, D3G 및 Pt3G)를 100~500ug/mL 농도로 처리하고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관찰한 결과, 3가지 시험물질 모두 두 가지 암 세포에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검정콩 안토시아닌이 여러 가지 생리활성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 판단된다.
        13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ris nertschinsk has been used generally as a decorative plant. However, it has been almost used as a medicine for therapy on various human disease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e anti-tumor effect of Iris nertschinsk on human breast cancer cells. Firstly, we found that Iris nertschinsk dose-dependently induced cell death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MCF7 and MDA-MB231. Moreover, phosphorylation of p53 was induced after Iris nertschinsk treatment in MCF7 cells, which has a functional p53, but not in MDA-MB231 cells, which has a dysfunctional p53. We next examined whether Iris nertschinsk induces caspase-dependent cell death. Caspase-7 was cleaved after Iris nertschinsk treatment in MCF7 cells. Interestingly, either caspase-3 or caspase-7 was cleaved in MDA-MB231 cells that p53 had been phosphorylated by Iris nertschinsk treatment, indicating that Iris nertschinsk induces apoptosis through the cleavage of caspase-3, -7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MCF7 and MDA-MB231, but related to the status of p53.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ris nertschinsk could be used as a treatment for human breast cancer. This research is supported b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research grant.
        131.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자의 생리활성 식품 소재로서 검토하기 위해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 억제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과육과 과피의 추출물 중에 총 페놀 함량은 각각 건물당 와 으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약 1.24배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건물당 와 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2.11배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유자 과피의 추출물은 유자 과육의 추출물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에 비하여 각각 추출물에
        132.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상생활에서 식용 및 약용으로 유통되는 12종의 버섯류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7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활성과 함께 인간유래의 간암 및 결장암 세포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버섯 메탄올추출물은 7종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버섯 열수추출물은 이들 균에 대해 생육 억제활성이 없거나 약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 만가닥버섯과 느타리버섯 메탄올추출물은 7종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고,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애
        133.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chinacea의 추출물 및 분획물들의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0.5 mg/ml이상의 농도에서 정상세포의 생육이 20% 가까이 저해되었으며, 비교적 높은 농도인 1.0 mg/ml의 농도에서도 70%이상의 세포 생존을 나타내었다.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은 0.5 mg/ml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의 butanol 획분과 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획분에서 각각 87%와 81%로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인간 간암세포주인 Hep3B에 대한 생육억제능은, 물과 ethanol 추출물의 butanol 획분에서 0.5 mg/ml의 농도에서 81%와 63%의 생육 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의 농도에서는 수층획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70% 이상의 높은 생육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위암세포인 AGS의 경우 물 추출물의 butanol 획분에서 0.5 mg/ml의 농도에서 80%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의 농도에서는 각 추출물의 수층 획분과 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획분을 제외하고는 80% 이상의 높은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폐암세포인 A549에 대한 생육억제능은 물과 ethaonl 추출물의 butanol 획분에서 1.0 mg/ml의 농도에서 92%와 87%로 높게 나타났다. 이전까지 Echinacea에 관해서 보고된 것은 그리 많지 않으며, 본 논문에서 Echinacea의 추출물 및 분획물들에 관해 실험한 내용에 관한 것은 전무한 것으로 사료되어져, 이용에 있어서 본 논문에서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Echinacea의 항암활성 효과를 통하여 앞으로의 이용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린 것이며, 아울러 Echinacea의 추출물들을 이용시 본 눈문에서 실험한 결과물인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butanol 분획에서 그 효과가 가장 높았으므로 이를 사용한 다양한 암세포 사멸효과뿐만이 아니라 면역 활성 증진 및 여러 생리활성의 이용에 사용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134.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moprevetive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water extract on several tumor cells and Chinese hamster V79 cells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showed a higher cytotoxicity effect on the human histiocytic leukemia cells(U937)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cytotoxicity of HO.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may useful as potential soures of chemopreventive and antioxidative agents.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