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2

        121.
        2017.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radish as a food product for home meal replacement using superheated steam (SHS). Also, the change of quality characteristics was studied during their storage. The radish cuts were treated with SHS for 0, 3, 5, and 7 min, respectively, followed by complete drying at 80℃ for 6 hours. The results showed that radishes restored with mixed solution (drinking water:sugar:vinegar:salt=2:1:0.8:0.1) were harder than those restored with drinking water. All radishes were stored at 5, 10 and 15℃ for 56 day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orage. Radishes in the control group, restored with drinking water and stored at 15℃, were spoiled after 7 days of storage. The radish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ny change in the water content; except an increase on the first day of storage. The hardness of radish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storage period. It was found that microbial growth was inhibited due to low pH of the mixed solution, in which radish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mmerse.
        12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is a vegetable with pantropical distribution and contains the active ingredient, such as momordicine and charantin. Moreover, bitter gourd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antidiabetic, anticancer, cardiovascular-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But, the distinctive bitter taste of bitter gourd was not suitable for food prefer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rovement effects of bitter taste of bitter gourd with natural fermentation and roasting process. Methods and Results : Bitter gourd fruits were obtained from Headeulnyeokae Co., Ltd.(Gang-Jin 59253, Repubilc Korea). Fruits of bitter gourd were prepared by natural fermentation process for 4h at 25℃. After natural fermentation, the fruits were dried in hot-air dryer for 15h at 49-55℃. The dried fruits were roasted in 500 g batches at 120℃ for 10 min in the electric rotisserie oven. After roasting, fruit piece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cold water. One of them was cool-type, and the other was hot-type bitter gourd tea. In the sensory evaluation, hot tea and cold tea showed the high scores on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Conclusion : These mean that roasted bitter gourd had less bitter, and it could be utilized widely as drink and food material.
        123.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it is a critical issue for Korea that Metropolitan Landfill site life extension was in crisis contrast for local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In Europe and Japan, the generation of waste and landfills were suppressed and theyintroduced the MBT facility in order to increase the recycling and energy recovery.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domesticMBT facilities were evaluated by the phys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calorific value and biomass content, the aerobicbiodegradation of biodegradable waste b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step through the evaluation. Both organic residuesand inorganic residues carbon content discharged from the MBT analysis, moisture content, calorific value of residues didnot meet solid refuse fuels quality standards. While the biomass content and aerobic biodegradation higher than standardbiodegradable waste landfill in Europe. Biodegradable organic residue selected from domestic solid fuel manufacturingfacility is expected to be able to manage through the biomass content and biological stability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of future research it is needed to review the criteria and additional landfill energy recovery by incineration residues.
        124.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진주광택안료(pearlescent pigment)라고 하는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분체는 진주광택, 무지개 빛, 금속광택느낌을 주기 위해서 이용되는 광학적 효과를 갖는 안료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용 진주광택 안료는 1965년 듀퐁사에 의해 개발된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기판 안료의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강한 광택과 선명한 간섭색상을 위하여 평활하고 깨끗한 표면의 기판(substrate)을 이용하는 경우나 기판 위에 단층이 아닌, 2 ~ 3 가지 성분을 광학적 설계에 의해 다양한 두께로 적층하여 기존의 단층 코팅 보다는 두께는 두껍지만 기존보다 우수한 광택과 채도가 높은 간섭색을 구현한 광간섭 분체도 화장품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광택과 선명한 간섭색상을 위하여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서 광 반사율과 간섭현상에 의한 색상의 채도가 높은 광 간섭 분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검토하고, 그 방법으로서 피복되는 이산화티탄의 전구체를 변화시키고, 목적으로 하는 간섭색을 구현할 수 있는 이산화티탄의 피복량을 분할하여 코팅 및 열처리를 통해 결정화함으로써 일반적인 단층 코팅의 간섭광을 갖는 간섭펄보다 높은 광 반사율과 채도가 높은 간섭광을 나타내는 광 간섭 분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개발된 광 간섭 분체는 피복된 이산화티탄 입자(grain)의 크기가 균일하고 조밀하게 피복된 것을 전자 현미경으로 확인하였고, XRD 측정을 통한 결정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본 연구의 공정으로 제조한 진주 광택안료가 일반적인 단층 코팅 간섭 펄 안료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광반사율과 간섭색상의 채도도 단층 일반적인 단층 코팅 간섭 펄 안료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26.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 고추장 제조시 발효가 항돌연변이 효과와 in vitro 항암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추장 제조 재료인 원료 밀, 1차발효밀, 2차발효밀, 최종발효밀, 고춧가루와 최종발효밀로 제조된 고추장의 Sal. Typhimurium TA100을 이용한 Ames test를 실시하여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HT-29 인체 대장암세포와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한 결과 원료 밀보다 1차발효밀, 2차발효밀보다 최종발효밀이 발효진행에 따라 점차 증진된 항돌연변이 효과와 in vitro 항암효과가 나타났으며 최종발효밀과 고춧가루로 제조된 고추장이 가장 높았다. 15, 30일 발효시킨 고추장이 발효되지 않은 고추장보다 더 높은 항암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과정(기간)이 고추장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항암효과에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고추장의 주재료인 고춧가루의 capsaicin, 비타민C와 β-carotene 등의 작용만이 아닌 밀에서 온 발효 숙성 중에 많이 증식된 미생물 그리고 발효에 의한 생성된 다른 활성물질이 항돌연변이와 항암 효과에 관련되어 있다고 하겠다.
        127.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lfur hexa-fluoride has been used as a etching gas in semiconductor industry. From the globally environmental issues, it is urgent to control the emissions of this significant greenhouse gas. The main objective of this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to find the effective catalyst for SF6 decomposition. The precursor catalyst of hexa-aluminate was prepared to investigate the catalytic activity and stability. The precursor catalyst of hexa-aluminate was modified with Ni to enhance the catalytic activities and stability. The catalytic activity for SF6 decomposition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Ni and maximized at 6wt% addition of Ni. The addition of 6wt% Ni in precursor catalyst of hexa-aluminate improved the resistant to the HF and reduced the crystallization and phase transition of catalyst.
        12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re investigated in the flue gas emitted from wood drying process for plywood manufact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raw timber was average 48%, and its density was 831.55 kg/m3. But the moisture content of dried wood is needed less than around 10%, thus the moisture contents of flue gas should be remarkably high(about 18.2 V/V%). Therefore, the vapor in flue gas is equivalent to 320 ton-vapor/day when 1100 ton-wood/day is treated in the wood drying process. The temperature of flue gas ranges from 140℃ to 150℃ in each dryer stack with exception of the input site of wood(about 110℃). The velocity of flue gas in each stack ranges from 1.7 to 9.7 m/sec. In order to assess the concentrations and attribution rate of odorous compounds, it was analyzed about 40 VOCs in the flue gases. It was found that the major odorous compounds were 8 compounds, and the concentrations of major VOCs(ppm) were as follows; benzene: 0.054~0.052, toluene: 1.011~2.547, ethylbenzene: 0.472~2.023, m,p-xylene: 0.504~3.245, styrene: 0.015~0.148, o-xylene : 0.271~1.097, ethanol: 11.2~32.5, α-pinene: 0.908~10.578, β-pinene: 0.982~14.278. The attribution rate of terpenes (α-pinene, β-pinene) was about 60.56%, and that of aromatics and alcohols was about 22.77%, and 16.67%, respectively. It is suggested that the adequate control device should be used to control both the water soluble and non-soluble compounds because both compounds were mixed in flue gas.
        130.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생하고 있는 생강나무잎을 식품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식품으로 이용하고자 여러가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차의 환원당, 유리당 및 아미노산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강나무잎차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4종의 유리당이 동정되었으며, 덖음차에서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sparagine,
        131.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식초를 이용하여 분말식초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아울러 분말식초의 품질특성 및 제조공정을 평가하여 분말식초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식초와 포접물질을 혼합한 포접물의 최적 농도는 피복물질의 양이 많을수록 흡습이 잘 되지 않고 열에도 안정함을 보였으나 포접물질의 양이 증가할수록 포접물질의 맛이 강하게 나타나 식초의 고유한 관능적인 특성이 떨어지므로 포접물의 농도를 30。bx 로 결정하였다. 분무건조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인입온도와 fl
        132.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시험은 고채발아 및 생육특성과 가공이용 1990~1995년 충남농촌진흥원 특작시험포장 하우스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2월 15일, 5월 30일 파종구에서 5월 파종구가 출현 소요기간 14일로 2월 파종구 18일 보다 4일 빨랐으나 출현율은 2월 파종구 64%로 5월 파종구보다 11% 높았다. 2. 관행구(대비) 초장 36cm보다 GA 50, 100ppm에서 12~60cm 엽장길이가 길어 초기 도장성향을 나타냈으나 후기 수량특성은 21~56% 증수하였다. 3. 고채 발아온도 25℃에서 65% 발아율과 관행구보다 자연수 침적구가 발아,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였다. 4. 고채엽은 식용으로 들깨잎, 상치보다 손색이 없었고 삶아 나물이용보다는 신선한 채소 이용이 연화정도, 맛, 색깔 등에 식미결과 좋은 반응이었다. 5. 고채엽장은 15~20일이 생육시 20cm내외로 채엽 가능하며 연화정도가 식용으로 가장 이상적이었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