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0

        141.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상상태 가정을 완화시킨 습윤지수의 해상도 문제가 수치지형모형에서 다루어졌다. 반 동역학적 습은지수와 동력학적 습윤지수의 변화성을 수치고도모형의 격자 크기와 배수시간을 변화시키면서, 공간적 통계적으로 고찰하였다. 변화하는 배수시간과 격자크기에 따라 습윤지수의 구조화 양상이 관찰 되었다. 설마천 유역의 적용결과 비교적 짧은 배수시간에서는 습윤도의 천이성이 관찰되었고, 10,000 시간 이상의 배수 시간에서는 통계적 분석 결과가 정상상태의 특성으로 수렴함을
        142.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수문모형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정의되는 지형매개변수에 대한 지형학적 해석을 필요로 한다. GIS는 지형의 수치자료로부터 이러한 매개변수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치지형도상의 실제 하천망 및 threshold area를 추출하고, 정방행렬의 고도수치를 표현하는 수치고도모형(Digital Elevation Model :DEM)로부터 하천망을 추출시, 실제 지형도상에서 나타나는 threshold area의 통계적 변화에 따
        143.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cenario for a numerical modeling of the fine grid scale air dispersion phenomena was proposed and an analysis of the special event which was occurred on September 3, 2002 was performed using by a coarse grid prognostic meteorological model, a fine grid diagnostic meteorological model and a fine grid air dispers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local circulations, like as land-sea breeze,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for evaluating the high PM10 concentration event and for making the reduction policy of the major air pollutant emissions in Ansan area.
        144.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근해 지진해일에 의한 원형섬 주변에서의 처오름높이를 산정하기 위하여 사면구조(quadtree) 격자기법을 이용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비선형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적합화된 계층적 사면구조 격자를 이용하여 leap-frog 기법으로 양해적으로 유한차분하였다. 원형섬 주위를 따라 적용된 사면구조 격자는 사각형 및 원형의 형상으로 세밀화 되었다. 계산된 수치해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리실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
        147.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가지 토양수분의 예측인자에 대한 해상도 문제를 고찰하였다. 다양한 인자에 대한 민감도는 통계적인 분석을 기반으로 논의되었다. 수치지형모형에서 세 가지 흐름 결정 알고리즘의 해상도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이 수행되었다. 단방향 흐름알고리즘으로 계산한 상부사면 기여면적은 다른 두 알고리즘(다방향 알고리즘, DEMON)보다 더욱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습윤지수의 경우는 해상도나 계산과정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민감도가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9.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격자기반의 일변 토양수분 추적기법을 모델링하였다. 본 모델은 GRASS-GIS를 이용하여 모델에 필요한 자료들을 준비하고, 모델은 이들을 ASCII 형태로 받아들여 일별 수행결과(유역출구에서의 유출량, 지표유출 분포도, 토양수분 분포도 등)들을 GRASS상에서 도시하여 주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보청천유역의 일부인 이평교 유역()을 대상으로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95년 및 '96년도의 IHP유역 연구보고서
        150.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Morton(1983)의 보완관계식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의 시.공간적 분포 양상을 계산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일 증발산량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C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ASCII 형태의 수치표고자료와 토지피복도가 입력자료로 이용되어 유역에 대한 일 증발산량을 계산하게 된다. 또한, 증발산량에 대한 시간적 변화 양상과 공간적 분포 양상을 GRASS에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서 대청댐 상류지역에
        152.
        199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cean wave is hydrodynamically investigated to get more reliable solution. To improve the computational accuracy more fine grids are used with relatively less computer storage on the free surface. One element of the free surface is discretized into more fine grids because the free-surface waves are much affected by the grid size in the finite difference scheme. Here the multi-grid method is applied to confirm the efficiency for the S103 ship model by solving the Navier-Stokes equation for the turbulent flows. According to the computational result approximately 30% can be improved in the free surface generation, Finally the limiting streamlines show numerical result is similar to the experiment by twin tuft.
        154.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발한 격자기반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임진강유역내의 연천댐 유역(1,875km2)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로는 수치고도모형, 하천도, 흐름방향도, 토양도, 토지피복도, 티센망도 등 6개의 도형자료를 이용하였다. '90년 및 '96년도에 발생한 홍수사상과 비교하였는바, 모형의 결과는 양호하였다. 출력결과인 시간별 지표유출 분포도로부터 유역에서 발생된 유출양상을 공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155.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격자기반의 물수지 기법을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지표흐름과 지표하흐름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제 수문인자들의 격자별 물수지를 계산하여 단방향 흐름경로 알고리듬에 의하여 지표 및 지표하 흐름을 추적한다. 전처리과정으로서 GRASS를 이용하여 모형에 필요한 ASCII 형태의 자료들을 준비하고, 후처리과정으로서 모형의 수행결과인 유역의 유출량, 유출고, 토양수분, 본포 등을 GRASS상에서
        156.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im Dongseok. 1997. Case Checking in Double Object Construction. Studies in Modern Grammatical Theories 10: 21-96.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Larson`s(1988) and Fujita`s(1996) analyses of double object construction, and proposes an alternative one that can effectively explain the asymmetries shown in dative and double object constructions. The major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In dative construction the argument assigned the role of Goal is not a complement of V but an argument merged with V`. (b) The thematic role of indirect object in double object construc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dative construction. The former assumes Benefactive or Affective, while the latter, Goal. (c) The verb in dative construction and the corresponding one in double object construction are separate lexical items that have the same phonological features but are different in their semantic and formal features. The former selects Theme and Goal as its internal arguments while the latter selects Theme and Benefactive, Experiencer or Affective. (d) The difference in thematic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s in dative and double object constructions is not from the syntactic relation but from the difference in the properties of semantic selection of the verbs. (e) Indirect object of double object construction moves to the SPEC of V to satisfy the [+SPEC] feature of V. The movement is not for Case assignment or checking of Case feature.
        157.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o, Dam Ock. 1996. The Grid Analysis of the English Rhythm. Studies in Modern Grammatical Theories 9: 185-204. Recent researches in metrical phonology are focused on rhythmic stress phenomena in larger domains than the representation of prominence patterns of words. There are three divergent theorie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these areas: grid-only theory, tree-only theory and tree-cum-grid theory.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grid-only theory developed by LP(1977), Prince(1983), Hayes(1980) and Selkirk(1984). Their argument is that prominence relations expressed in tree strictures are maybe better captured in grids alone and that tree structure is unnecessary. But there are some critical problems in a grid-only framework, for example, in arbitrary prosodic hierarchy, stress-shift operations and ordering in rule application. Hayes(1980) and Selkirk(1984) devised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They are eurhythmy theory and rhythmic adjustment rule. At the respects of summaries which have been discussed, we can conclude that the grid-only theory is necessary and useful for the description of rhythmic stress pattern in English.
        158.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tmospheric responses to a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SSTA) over the equatorial eastern Pacific Ocean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the horizontally fine resolution model based on OSU 2-layer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Model(AGCM). The SSTAs during the peak phase of 1982-83 El Nin∼o have been applied to the model as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experiment. The model simulates the eastward movement of the rising branch of the Walker circulation. That is, the major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El Nin∼no such as the increase of the precipitation rate over the center of the Pacific and decrease over the Indonesia, and the 500hPa geopotential height anomaly in the middle latitude are properly described in the fine resolution model experiment. The model results indicate that this horizontally fine resolution GCM can successfully simulate the ENSO anomalies and be more effectivelly used for the study of the climate and the climate changes.
        159.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60.
        198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pite of the widespread use of stiffend plates in ship structures, it is very difficult to analysis these directly. So, in conventional analysis of plate structures, above structures are used to be idealized as orthotropic plate or grillage structures. Lately, the development of large computers, it is able to apply the optimum techniques to structural design. In this paper, the double bottom structure of Bulk Carrier was idealized into flat grillage which is composed of intersecting beam stiffencers primarily loaded mormal to its surface. And strength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based on displacement. And further, according to variation of floor space and double tobbon heightm, the optimum design was carrid out by using Hooke and Jeeves direct search method.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