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6

        14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정서능력과 뇌반구 기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남자 중학생 1,050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정서능력척도검사(Trait Meta-Mood Scale), 뇌 정보처리 특성 검사(Brain Preference Indicator Test), 그리고 공격성과 비행은 한국판 아동자기보고 검사(Korea Youth Self Report-Child Behavior Check List)를 사용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기청소년기에 해당하는 남녀 중학생 1,479명을 표집하였다. 연구결과 문제행동을 많이 가진 집단은 보통 아동들에 비해 정서능력 요인중 정서의 명확성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자신에 대한 정서 주의는 많이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정보 처리에서는 주로 우반구 우세적 정보처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정보처리 특성과 정서 명확성 그리고 정서주의가 문제행동의 하위 요인인 공격성향과 비행성향 모두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과 정서개선, 성별과 정서명료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이 두 요인이 공격성과 비행에 영향을 주는 효과가 남자와 여자학생 간에 다르게 나타났다.
        4,500원
        144.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인간의 뇌는 손상을 받은 후에 자발적인 회복이나 뇌신경 회로의 재조직화를 통해 기존의 기능을 회복 할 수 있다.이러한 뇌의 재조직화가 뇌졸중 환자의 운동 기능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최근의 뇌지도화 기법이 발달함에 따라,뇌손상 환자의 운동 기능 회복에 따른 뇌신경망의 재조직화에 대한 몇 가지 기전이 보고되었고,특히 뇌손상 부위에 따라 뇌활성화되는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뇌손상 부위에 따른 뇌 활성도의 양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손의 운동 기능이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정도로 회복되고 그 기능이 서로 비슷한 대뇌피질(n=2) 또는 방사관(n=2)에 국소적인 손상을 받은 뇌경색 환자 4명과 신경학적 증상에 대한 과거 병력이 없는 정상 성인(n=7)을 대상으로 하였다.환자군에서 도수근력검사,악력,퍼듀-페그 보드와 경상운동의 정도를 측정하였고,모든 대상자는 손가락의 굴곡과 신전을 반복하는 과제를 실시하는 동안,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촬영에 참가하였고,이 때 활성화되는 뇌부위를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 환자군에서 평가된 손의 운동 기능은 모두 비슷하였지만,뇌 활성화되는 양상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대 뇌피질에 손상을 받은 환자들은 정상인 및 그들의 비손상측 손 운동시 활성화되는 양상과 같이 운동을 수행한 손의 반대측 일차운동피질에서 활성화를 보였다.방사관에 손상을 받은 환자군은 양측의 일차운동피질에서 활성화를 보였다. 결론 : 뇌손상 부위는 대뇌피질과 방사관으로 분류되었고,손의 운동 기능 회복의 정도는 비슷하였다.하지만 활성화된 부위는 명확하게 다르게 나타났다.따라서 뇌손상 부위에 따라 뇌신경 회로의 재조직되는 형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는 뇌신경재활의 영역에서 마비된 손의 기능이 회복됨에 따라 뇌신경망 에서 나타나는 가소성을 증명하는 것으로,환자의 예후 측정과 신경생리학적 기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4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폐경기 여성은 동령 남성보다 퇴행적 뇌질환의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으며 이를 예방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에스트로젠 대체요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유방암과 자궁암 유발 위험성이 제시되고 있어 콩류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phytoestrogen류인 isoflavone을 이용한 대체요법 개발이 활발하다. 밀착결합에 의해 제공되는 혈액-뇌확산장벽은 뇌의 항상성 조절에 중요한 역할이 있으며 다양한 뇌질환에서 변형이 일어난다. 본 연구는 난소절제 백서 모델에서 폐경
        4,000원
        14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증은 다른 일반 감각과는 달리 감각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이 있어, 인격, 기대, 암시, 과거 통증경험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나 사회문화적 환경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환자의 주관적인 통증의 호소를 객관화하려는 노력은 여러 통증 치료 의사들한테 많이 시도되어 왔으나 아직도 정확한 객관적인 진단방법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최근에 PET이나 fMRI의 등장은 이러한 면에서 통증에 관한 연구를 하는 학자들에게 커다란 도움을 주고 있고 현재에도 이러한 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뇌는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부위의 뇌 신경활동이 항진되면 이와 함께 그 부위의 국소적 뇌 혈류 및 대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를 이용하여 뇌에 국소적 신경활성화가 생기는 위치를 mapping 할 수 있다. mapping 대상 뇌 기능은 지각, 운동, 기억, 언어 등의 기능에서 출발하여 최근 감정, 정서, 사회적 인식, 도덕적 판단, 의식, 마음까지 조사대상이 넓어지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뇌 기능 영상기법에 대한 내용과 뇌 기능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통증의 평가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4,000원
        151.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뇌반구 이론에 입각해 뇌반구 우세성에 따라 학업성취, 자아개념 및 성취동기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고등학교 1개교의 2학년 학생 18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로 뇌반구 우세검사, 자아개념 검사, 성취동기검사를 사용하였다. 뇌반구 우세성은 좌뇌 우세형, 우뇌 우세형, 전뇌형 세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뇌 우세형이 좌뇌 우세형 및 전뇌형에 비해 학업 성취도 및 능력에 대한 자아개념이 낮게 나타났다. 우뇌 우세형이 좌뇌형에 비해 성취동기가 낮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현재 학교에서 수리, 논리 중심의 좌뇌형 주제, 과목에 초점을 맞춘 교육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52.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ssessed whether the use of a symmetrical upper limb motion trainer in daily repetitive training for a 6-week period reduced spasticity and improved motor function in three chronic hemiparetic patients. Upper limb motor impairment and disability were measured by the Fugl-Meyer Assessment (FMA), Modified Ashworth Scale (MAS) and Manual Muscle Test (MMT), respectively. The electromyography (EMG) of the affected hand was recorded during isometric wrist flexion and extension. In all patients, FMA and MMT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6-week training. However, MAS scores of the affected wrist spasticity did not change considerably. Onset and Offset delays in muscle contra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ffected wrist. The co-contraction ratio of flexor and extensor muscl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6-week training. Onset and offset delays of the muscle contraction and co-contraction ratio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patients' FMA. This study showed that repetitive, symmetric movement training can improve upper limb motor functions and abilities in chronic hemiparetic patients. Also, the EMG assessment of motor response is likely to provide insights into mechanisms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motor recovery in chronic hemiparetic patients.
        4,000원
        153.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nce of ipsilesional movement deficit, with segmental performance in each proximal or distal upper extremity. The visuoperceptual complex task of the ipsilesional upper extremity was investigated in patients with unilateral brain damage and a control group of healthy sex-age-matched controls. Tracking movements were tested in the proximal and distal upper extremities. Movements were measured by the accuracy index, which was normalized to each subject's own range of motion and took into account any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in the excursion of the tracking target.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roke pati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tracking movement of both proximal and distal segments in the upper extremities on the so-called "non-affected side", irrespectively of the extent of patient's age, time since onset, or severity of contralateral upper extremity. Therefore, the unilateral brain damage affected ipsilateral motor function of the proximal and distal upper limbs in the performance of complex motor tasks, requiring central processing and the higher order cognitive function in the integrity of both hemispheres.
        4,000원
        156.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rysanthemi Flos extract (CFE) on the change of cerebral hemodynamics〔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MABP)〕in normal and cerebral ischemic rats, an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action of CFE. This study was also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CFE inhibit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in neuronal cells and cytokines production in serum of cerebral ischemic ra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FE increased rCBF and increased MABP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2. The CFE-induced increase in rCBF was significna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indometh acin(IDN), an inhibitor of cyclooxygenase and methylene blue(MTB), an inhibitor of guanylate cyclase. 3. The CFE-induced increase in MABP was significna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IDN and MTB. 4. CFE 100㎍/㎖ significantly inhibited lactate dehydrogenase(LDH) activity in neuronal cells. 5. rCBF was significantly and stably increased by CFE (1㎎/㎏, i.p.) during the period of cerebral reperfusion, which contrasted with the findings of rapid and marked increase in control group. 6. In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middle cerebral arterial occlusion (MCAO) 1 hr and reperfusion 1 hr, sample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L-1β production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7. In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MCAO 1 hr and reperfusion 1 hr, sample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NF-α production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8. In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reperfusion 1 hr, sample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GF-β production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9. In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reperfusion 1 hr, sample group increased IL-10 production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echanism of CFE was mediated by cyclooxygenase and guanylate cyclase, and CFE had inhibitive effect on the brain damage by inhibited LDH activity, IL-1β and TNF-α production, but accelerated TGF-β production and IL-10 production.thought that CFE should have an anti-ischemic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erebral hemodynamics and inhibitive effect on the brain damage.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