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6

        141.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behaviors related to snack and self-purchasing snack (SP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s were completed by 352,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3 different regions which included apartment region in Bundangn, Sungnam (apartment group, n=116), residences in Seodaemun-Gu and Mapo-Gu, Seoul (kang-buk group, n=103) and residence in industrial region in Sungnam (industry group, n=13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64.7%) of the apartment group had breakfast every morning than those of kang-buk (48.6%) or industry (52.1%) group (p<0.01). As for the frequency rate of snack and self-purchasing snack (SPS), 53.9% of the subjects answered taking snack more than once per day, 22.8%, once for few days and 23.3%, almost not. However, 15.5% of the subject had SPS once or more per day, 30.7%, 1-2 times per week and 22.4%, almost not. Those of apar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PS frequencies (p<0.01), since higher proportions answered having SPS 1-2times per week (40.9%) and almost not (31.3%)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reasons for having SPS turned out to be 'hunger' 54.7%, 'being habitual', 15.9%, 'bing bored', 15.7% and 'with peers' 13.7%. When subjects selected SPS foods, they considered taste (31.5%), price (23.0%), mood at the time (14.1%), sanitorial aspect (10.2%) and quantity (10.1%) rather than nutritional aspect (7.2%). Subjects' pocket money was estimated as 3736 won per week and SPS expense per time as 706 won. But subjects who spent more than 2000 won for SPS expense were significantly higher (33.0%) in apartment group than those of other groups (p<0.01). The favorite snack items that subjects having at home were fruit, ice cream, milk and yoghurt, cookies, ramen and bread in order. And favorite SPS items turned out to be ice cream, cookies, duckbokki, frozen bars, gum, chocholate and candy in order. The frequency rate of SPS were evaluat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by several variables: those living in apartment area (p<0.01), those taking breakfast regularly (p<0.01), those of normal weight status by Rohrer index (p<0.05) and those receiving less pocket money (p<0.01) showed lower SPS frequency rate.
        4,000원
        142.
        200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144.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적 쾌 또는 불쾌 자극의 생리적 반응지표로서의 전기 피부반응[electrodermal response(EDR) 또는 Galvanic Skin Response(GSR)로 총칭의 유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자료수집 절차를 확립하기 위한 예비연구의 수행에 있다. 이를 위해 쾌 또는 불쾌를 유발하는 미약한 심상자극과 인지적 암산과제가 피부 전도도(skin conductance level : SCL)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험자는 9명의 대학생(남자 5명, 여자 4명)이었다. 쾌 불쾌 자극의 선정방법으로서 각 피험자에게 일련의 단어를 제시하고 머리 속에 떠오르는 대로 좋아하는 대상과 싫어하는 대상을 적게 한 후 그 중 가장 좋아하는 대상과 싫어하는 대상을 선택하게 하였다 이 대상을 각각 쾌\ulcorner불쾌를 유발하는 심상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세 번째로 제시된 정신적 내면자극은 전통적으로 그 효과가 입증된 인지적 암산과제(숫자 빼기)였다. 자극자료 수집절차는 기저수준 기간, 쾌를 유발하는 심상, 기저수준, 불쾌심상, 기저수준, 암산과제의 순으로 진행되면서 매 10초 간격으로 SCL을 기록하였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전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심상의 미세한 심리적 효과가 보다 잘 드러나도록 자료수집 절차가 수정 \ulcorner보완되었다. 즉, 심상자극을 상상한 후 심상자극에 몰입을 충실히 하면서 잡음신호(Irtifact)를 극소화하기 위하여 생생한 심상에 몰입하고 나면 손가락을 살짝 들어서 실험자에게 신호를 보내도륵 하였으며, 기저수준으로의 원상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완의 수준을 깊게 해 주는 데 초점을 둔 지시문을 읽어 주었다. 연구결과, 3회의 기저수준의 SCL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절차와 달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절차가 여러 자극의 효과비교에 필요한 기저수준의 안정성을 달성하였음을 알려 준다. 또한 암산과제시의 SCL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괴로운 심상자극의 경우보다도 SCL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산과제가 가장 큰 생리적 흥분을 일으킴을 시사한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절차와 자극과제는 장차 내면의 심리자극의 정신생리적 효과를 연구할 때 좀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적용해 볼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4,300원
        14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compare actual obesity rate and self-evaluated body shape, 651 women living in Inchon were participated in the measurement of anthropometric indices and in the survey by questionnaire. Mean RBW and BMI were in normal range except the girl in 13-15 years. RBW and BMI of the women in 40s and 50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women in younger ages(p<0.001). Triceps skinfold thickness of the subjec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ignificantly low DRBW in teenagers and women in 20s showed that their desire to reduce body weight were very strong. Over the half of the subjects thought they were too heavy and unsatisfied at their body shapes. The parts of the body desired to remove extra fat were the waist & abdomen in women over 30s and the thigh & legs in teenagers. It is thought that women, especially in 10s and 20s need the education about the appropriate evaluation of body shape and also need the nutrition education about the deteriorated influence of underweight on health.
        4,000원
        147.
        2000.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on-stoichiometric ceramics of were prepared by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reaction with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and their stoichometric numbers were determined by neutron diffraction. The neutron diffraction patterns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using monochromatic neutrons with a wave length of 0.18339 nm from a Ge(331) mocochromator at a 90 degree take off angle. The Rietveld refinement of each pattern converged to good agreement (x2=1.88-2.24). The neutron diffraction analysis revealed the final stoichiometries of the ferrites were and respectively. This supports that final stoichiometric number of the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product can be controlled by the processing parameters during the combustion reaction.
        152.
        1998.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정형 PEEK 필름의 self-bonding 공정 시에 일어나는 결정화 현상이 접합 면에서 개발되어지는 self-bonding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무정형 PEEK 필름의 결정화 현상은 접합 시의 공정변수에 따라 변화하며, self-bonding 공정 동안 접합 면을 가로질러 PEEK의 결정들이 성장함에 따라 접합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접합온도가 높을수록 접합 면을 가로지르는 결정들의 성장 정도가 낮은 온도에서 접합시켰을 때의 경우보다 훨씬 커서 결과적으로 높은 self-bonding 강도를 보였다. 각각의 시편들을 전단 파괴시킨 후 행한 파단면 관찰에서는 self-bonding 강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더욱 조밀한 물결무늬 파면과 dimple 형태와 유사한 파면 형상들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접합공정 시 접합 면을 가로지르는 PEEK 결정들의 성장 정도가 self-bonding 강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었다.
        4,000원
        154.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etary patterns and behaviors of self-boarding college students in Wonju.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ries and the subjects were 118 man and 145 woman students of five colleges in Wonju.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udents who live in Kangwon Province, reaching 49.0% of the subjects, are the most prevalent. In the frequency of homecoming, 'twice a month' is the greatest. One-room system is the most prevalent in the self-boarding patterns. 2. 90.8% of the students have the electric rice cooking pot. Portable gas range, gas range, electric stove, in this order, are more general as cooking appliances. Specially, more than half of students, either male or female, have refrigerators. 3. 80.4% of students cook their own meal. 'once a day' in cooking frequency is the most prevalent. 4. The students, either male or female, prepare breakfast and dinner for themselves at home, and have lunch at the school cafeteria. They choose boiled rice mostly at any mealtime. 5.In the frequency of drinking, 'three times a week' in man students and 'two or three times a month' in woman students are the most prevalent. The drink shop and their own self-boarding room are most preferred as the place for drinking in the both case of male and female. 6. In the quantity of drinking of male students, 'more than three bottles of Soju', 'two bottles of Soju', and 'one bottle of Soju', in this order, are recorded more frequently a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comes 'one bottle of Soju' and 'one bottle of beer' in that order. 7. Male students drink to have a dim consciousness and female students to feel good. In this case there are differences. 8. After drinking in the previous night, more female students have a breakfast than male. While more female students have any kind of food, most of male students have a broth to relieve hangover or ramyun. 9. The causes for no breafast after drinking were 'rising late', 'stomachache', 'habits' in this cider. 10. After students self-examine their own health, they express their health state as 'usual', 'very healthy' 'not healthy' in this order. Most of male and female students point out the stomach as a painful part.
        4,600원
        155.
        199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라믹 강화 복합 재료의 모재로서 사용되는 무정형 PEEK가 보여주는 self-bonding 현상의 주 기구인 PEEK체인들의 확산(interdiffusion)과 뒤엉킴(entanglement)이 일어나기 위하여 PEEK의 접합 면에서 반드시 선행되어 일어나야 하는 젖음성의 정도에 미치는 접합 공정 변수의 영향을 C-mode acoustic microscopy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self-bonding 된 PEEK시편들의 전단 변형시 전단 하중의 증가에 따라 일어나는 접합 면에서의 debonding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접합 면에서 일어나는 파괴 거동을 관찰하였다. 각각의 접합 조건에서의 젖음성의 정도는 시간과 압력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함을 보여 주었으나, 접합 온도와는 거의 무관함을 보여 주었다. 또한 전단 파괴 시험시 각각의 접합 조건 하에서 개발된 self-bonding강도의 80%-90%이상의 전단 하중이 가해진 후부터 debonding이 시작되어, 이 후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급속도로 진행되어 파괴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56.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fabricate TiAl as well as its in situ composite via combustion synthesis. The processing variable of the combustion synthesis which include aluminum content and the heating rate were found to affect the combustion temperature. The combustion temperature measured, however, was low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of TiAl and the reaction product were found to include incomplet reaction products. Carbon was add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mbustion temperature as well as to form in situ reinforcements. The reaction products showed homogeneous microstructures with carbide phases formed within indicating that the addition of carbon increased the combustion temperature above the melting temperature of TiAl.
        4,000원
        157.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selected a DC servo motor as an actuator of the marine diesel engine governor and constructed the position control system of the DC servo motor using the algorithm proposed by authors. Next, we proposed an another method to construct an adaptive control system for marine diesel engine by regarding the controlled system including the DC servo motor as a second order controlled system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is method through the real time control responses. Finally, the results have shown a good response characteristic
        4,300원
        158.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피드백 증감 조건에서의 자기 통제 학습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대상자 (n=24)는 자기 통제 점감 피드백 집단과 자기 통제 점증 피드백 집단으로 각각 나누었으며, 두 집단은 컴퓨터 화 면에서 제시되는 목표를 최대한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자판 누르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사전 연습, 습득 단계, 파 지 및 전이 검사에 걸쳐 분석 변인인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를 산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습득 단계에서 분단에 따른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났지만 집단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파지 및 전이 검사에서는 집단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파지 검사의 절대적 타이밍 오차 가 분단에 따른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연습의 연속 상에서 피드백 점증 또는 증감 상황에서의 자기 통제 피드백 제시는 시간 타이밍 수행 향상을 가져오지만 학습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159.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창의와 융·복합 기반인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접어들면서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역할은 변화되고 있다.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명칭의 디자인 유형이 생겨나고 혼자서 해결이 가능했던 디자인 과정도 이제는 다른 전공 분야와의 협동 및 협업이 필수적이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디자이너의 역량은 지식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가치를 반영하는 창의적인 생각 및 적용 능력을 갖춘 인재를 원하고 있다. 앞으로의 디자인 교육은 ‘콘셉트’라는 난해한 개념을 주입 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일상의 교육 환경 속에서 학생들이 디자인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처럼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중요하게 작용한다. 지식과 정보는 디자인 과정에서 문제 상황에서 적절하게 변형하고 적용하는 요소로써 작용한다. 독창적이고 창의적 관점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재조직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로 만들어 내는 문제해결 과정이 더 중요한 것이다. 현재의 시각디자인 전공 교육은 틀에 맞춰 진 학습 과정에서 단기간에 창의적인 생각과 실행을 하기에는 학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이다. 많은 디자인 대학에서는 다양한 시도와 교육과정의 변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실현 가능한 방법들을 적용하고 있지만, 창의적인 사고를 훈련하고 향상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스스로 디자인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시대의 흐름이 원하는 디자인을 적용 및 실행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문제해결 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에 있어 디자인 문제해결 과정에 필요한 확산적 사고와 수렴의 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교육 방법론을 제안하고 활용이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확산적·수렴적 사고기법의 통합 유형은 일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주제를 통하여 주어진 형식 안에서 두 가지의 사고를 통해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이끌어내는 것에 초점을 둔 교육 모델이다. 교육 모델 검증을 위한 연구방법은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시각디자인 기초 교육 활용을 위해 창의적 사고기법 유형을 디자인 사고에 근거하여 통합, 적용하였으며, 자기주도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 기 위하여 학습자 만족도, 자기효능감, 아이디어 표현, 발표력의 항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항목은 창의적 문제해결 평가 속성(CPSS)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향후 다른 전공 분야와의 협업에 있어 자연스럽게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고 자기주도학습 효과에 있어 DPS 교육 모델이 교육자와 학생들에게 적용되어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160.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보수 모르타르와 직접 혼합 가능한 결정성장형 자기치유 고상캡슐을 제조하였으며, 자기치유 고상캡슐이 혼합된 보수 모르타르의 품질 및 균열 치유 성능 특성을 평가하였다. 자기치유 고상캡슐을 혼합한 보수 모르타르의 테이블 플로우 및 공기량 평가 결과 혼합율에 관계없이 테이블 플로우 및 공기량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는 캡슐 혼합율이 증가할수록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정수위 투수시험에 따른 균열 치유 특성 평가 결과 초기 투수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반응 생성물 발생하여 균열이 치유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