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1

        141.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공슬래브는 휨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의 콘크리트 단면을 삭제하고 중공재로 치환함으로써 중공재 부피만큼 콘크리트가 줄어들어 자중 감소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물량절감뿐 아니라 친환경적 측면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도 저감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하지만, 중공재로 치환한 부분의 지압강도가 명확하지 현장 적용 시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공재가 포함된 중공슬래브를 제작하여 각 타입별(트럭 하중 적용 시, 동바리 하중 적용 시 및 잭 서포트 하중 적용 시)로 국부지압강도 실험을 수행하여 중공슬래브 국부 지압강도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트럭하중 적용 시, 동바리 하중 적용 시 및 잭 서포트 하중 적용 시의 실험결과 중공재 연결부위 및 중공재 상부의 지압강도는 모든 실험체에서 허용 하중 이상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데크 적용 유무에 따른 실험결과도 모두 허용 하중을 초과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2.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 거더 형식의 교량이나 슬래브 교량에서는 신축이음장치, 받침, 역T형 교대 및 별도의 접속슬래브 구조를 이루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신축이음부의 빈번한 파손으로 인한 비용증가, 모멘트 재분배가 낮은 구조로 인한 내구성 감소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일체식 및 반일체식 복합 교량을 제안하고 구조해석을 통해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단면강성은 작 지만 접속슬래브와 본체 구조가 연속 강결된 다연속‧ 프레임 구조계 형성과 상부구조의 경간과 단면강성의 균형으로 인하여 모멘트재분배와 힘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기존교량에 비해 구조안전성 높은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143.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하중 조건에 따른 화해를 입은 중공슬래브의 잔류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이다.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중조건을 변수로 하는 2개의 중공슬래브 실험체를 제작하여 ISO 834 표준화재 곡선에 따라 120분간 가열하였으며, 이를 상온으로 냉각하여 잔류 휨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하중조건에 따라 중공슬래브의 온도분포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하 실험체가 비재하 실험체에 비해 전단면에 걸쳐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고온으로 가열 후 냉각한 중공슬래브의 잔류 휨 강도의 경우 화해를 입지 않은 중공슬 래브에 비해 34%~4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휨 강성의 경우 15%~2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중을 재하 한 중공슬래브의 경우 재하하지 않고 가열한 중공슬래브에 비해 약 10%의 강도 저감이 발생하였으며, 휨 강성의 경우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하중 재하에 따른 휨 균열에 의해 슬래브의 하부 주인장 철근의 온도가 비재하 실험체에 비해 높아지며, 하부철근 피복의 박리현상이 가속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14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 more precise frequency of hollow core slabs by comparing the observed values from the actual free vibration tests and the predicted values based on the analysis model. The actual free vibration tests were carried out in the construction field using Ω shaped hollow core slabs. Modal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section properties due to void parts of slab.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dicted values based on the modal analysis with analysis model and the measured data from the actual tests range from 2~7%.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nalysis model that incorporates void parts of slab could be used in evaluating serviceability of hollow core slabs with reasonable accuracies.
        145.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l bridges are inevitably undergoing deterioration over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maintenance control and to properly manage the maintenance control cost by deriving the appropriate repair and reinforcement timing. The deterioration of bridges appears to vary according to the years of use of bridges and the exposed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terioration factor of the winter season and the damage rate of the bridge deck was derived from 1117 total bridge data collected through the GPR(Ground Penetration Radar) system.
        146.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cast modular bridge that combines pre-designed standard modules was constructed by KICT. A field test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is bridge. As a result, this bridge has sufficient safety and serviceability as a highway bridge.
        147.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about the optimization of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horizontal shear connectors for composite PC slabs. As a result of test, the improved horizontal shear connector shows a structural performance that can displace the lattice horizontal shear connector.
        148.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거푸집 작업과 철근 배근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의 단순화를 통한 공기단축 합성 슬래브 시스템의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용 데크플레이트를 활용하여 거푸집 및 인장철근의 배근을 대체하고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온도철근의 역할을 대 체하는 단순슬래브 시스템의 장기거동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조용 데크플레이트를 활용하는 기존 합성슬래브 공법은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제어를 위해 용접 철망을 배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는 균열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선행연구들에서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하중 조건으로 제작 된 연속 두 경간을 갖는 강섬유보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장기적인 균열 및 처짐 거동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체의 비 내력부에서는 장기균열의 개수 및 폭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균열 제어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처짐량도 강섬유보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부모 멘트가 작용되는 슬래브 연속단부에서는 사용하중 단계에서 균열폭을 제어하고 하중 제거 시 처짐을 회복하기 위한 디테일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149.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스팬 구조물은 사용하중 하에서 바닥진동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구조물 바닥판의 진동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지만 기존의 구조시스템에서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슬래브 자중의 증가로 건축 물 전체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면서도 자중은 크게 증가하지 않는 바닥판 시스템으로 중 공슬래브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부력방지능력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하여 데크플레이트와 경량성형재를 결합한 형태의 중 공슬래브를 개발하였고, 이 중공슬래브를 적용한 실물(mock-up) 건축물에 대한 사용성 검증을 위한 진동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측정된 결과값을 분석한 결과, 일본건축학회의 “건축물의 진동에 관한 거주 성능 평가지침”에 의하면 1등급인 거실, 침실에 사용해도 될 수준 으로 평가되었다.
        150.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형 천공된 플랫 형태와 팔각형 형태의 중공을 가지는 슬래브의 전단강도를 평가하고 있다. 최근 건축구조물에서 슬래 브 두께에 대한 증가와 품질관리에서 요구되는 수준이 상향됨에 따라 프리캐스트 중공 슬래브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중공 슬래 브 시스템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슬래브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바닥시스템이다. 하지만 중공슬래브는 전단에 저항하는 슬래 브 웨브의 콘크리트 면적 감소로 전단강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는 PC 슬래브 데크의 접합면이 발생하며, 접합 면의 균열로 인한 전단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I-슬래브 시스템의 전단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3점 가력에 의 한 주축 및 직교축에 대한 전단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I-슬래브가 PC 접합면이 포함되어짐에도 불구하고 이론강도에 대하여 충분한 전 단강도 성능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owel rebar is key parameter to control the lateral displacement in the sliding slab track. The lateral support block of the sliding slab track is supported by the dowel rebar. In this study, selected parameter (rebar diameter) was expected to affect the performance and behavior of the dowel rebar in the sliding slab track. Furthermore, evaluation of the shear behavior of dowel rebar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Soroushian et al. (1986) and CEB-FIP (2010).
        15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experiment, characteristic of local stresses and deformation in the anchorhead and wedges with prestressing of PSC slab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local stresses exceeded yeild stress in the contacts of anchorhead and wedges and in the lower sides of anchorhead
        15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ight rail transits, in theses days, are planed to be introduced in Korea. However, there are more and more problems regarding the noise and vibration from the trackway. In order to reduced the vibration and noise, various method have been applied. Among those methods, it is that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is to apply the floating mat underneath the slab track. In this stud, a numerical modeling to calculate the effect of the floating mat is to be used as well as the performance of the floating track.
        155.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Concrete-Faced Rock-Filled Dam)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개선에 관한 것이다. 댐은 영구 구조물이 며 그 중요성을 감안할 때 충분한 내구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플라이애시와 PVA 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차수벽 콘크리트의 내 구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플라이애시와 PVA 섬유 혼입율에 따른 내구성능 향상 검증을 위하여 기본물성 (강도, 소성수축, 자기수축)을 포함한 내구성능 검증 실험(염소이온 침투, 마모 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플라이애시 15%와 PVA 섬유 0.1%를 혼 입하였을 때 내구성능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된 차수벽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을 통해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의 안전성 및 내 구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5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intenance costs, depending on the occurrence of deterioration expressway bridges has been increasing at a very rapid rate (approximately 200% increase in the last five years).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water leakage and de-icing salt damage, We proposed a design improvement of concrete slab edge.
        157.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necting members are proposed to skip installing formworks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lab type precast modular bridge. In this study confirms the field applicability of connecting members for rapid construction of slab type precast modular bridge.
        158.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cases utilizing the composite slab with a deck-plate for the simplicity of construction process and shortening of the construction period by eliminating the formwork and reinforcement placing works. General method of an existing deck-plate slab places welded wire fabric(w.w.f) for the crack control by drying shrinkage, however it was pointed out as its potential possibility for a number of cracks. In this study, long-term cracking behavior of deck-plate slab with the steel fiber was evaluated on the continuous two-span slab specimens that was designed on the general building loading condition.
        159.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fresh concrete is exposed to extremely low temperature, the free water in the concrete transforms into ice, which causes decrease in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For estimating the frost damage of the conrete structure, we use ultrasonic velocity method and estimate the compressive strength.
        160.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deteriorated bridge increases each year in Korea and Japa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direction of improving reinforcement and conservation for RC deck t because common facts in damaged RC deck is that crack was found in direction 1 and direction 2 that the crack leads to compound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