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1

        16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oot weight of Orostachys japonicus should determine its profitability. The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phosphorus and potassium fertilization (0, 5, 10, 20 kg P2O5 or K2O /1000 m2) on its growth,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flowering. Night-break treatment of 2 hours at midnight were done since Aug. 25 when afterward samples were taken every 4 weeks to Nov. 16. Growth, morphological and flowering related characters were measured from each sample. Plant height, inflorescence length, number of leaves including bracts and stem diameter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P and K levels. Leaf and bract, floret, shoot and total dry weights showed similar response to the above morphological characters although P fertilization more increased them than K fertilization. Florets were more formed with increased P and K levels but were not flowered due to the night-break treatment, meaning that P and K fertilization had little effect on anthesis of the florets formed.
        162.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카올리나이트 KGa-2 (표준 점토)의 인산염 흡착-탈착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벳치(batch) 흡착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흡착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ATR-FTIR (Attenuated Total Reflectance-Fourier Transform Infrared) 분광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의 함량은 UV-VIS-IR 분광분석 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 때 파장은 820 nm를 이용하였다. pH 4에서 pH 9 범위 내에서 카올리나이트 KGa-2의 인산염 흡착량은 pH가 증가하면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인산염 농도에 따라 매우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카올리나이트 KGa-2의 인산염 흡착 특성은 랑미어 흡착등온선, 템킨 흡착등온선, 프로인드리히 흡착등온선 순으로 잘 부합하며, 랑미어 최대 흡착능은 204.1~256.5 mg/kg, 평균간은 232.5 mg/kg으로서, 카올리나이트 KGa-1b에 비하여 높은 인산염 흡착능을 가진다. 카올리나이트에 흡착된 대부분의 인산염이 탈착되기보다, 광물 내에 고착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이에 대해서는 후속적인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TR~FTIR 스펙트럼에서 카올리나이트에 의한 흡수피크의 위치가 인 피크와 거의 중첩되고, 카올리나이트에 의한 흡수 피크의 강도가 인 피크에 비하여 월등히 크기 때문에 카올리나이트에 흡착된 인에 의한 피크를 카올리나이트 자체에 의한 피크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16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흰색, 노란색, 정제된 노란색 등 3 가지 종류의 영동 일라이트에 대하여 정량 X선 회절분석법에 의하여 광물조성을 구하였으며, 레이저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 및 입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영동 일라이트의 인산염 흡착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배치(batch) 흡착 실험을 실시하였다. 흰색 일라이트는 노란색 일라이트에 비하여 적은 양의 일라이트를 포함하고 있지만, 입자 크기는 더 작다. 정제된 노란색 일라이트는 정제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많은 일라이트를 포함하며, 입자 크기도 훨씬 미세하다. 일라이트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인산염의 흡착률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반하여, pH가 증가하면 인산염의 흡착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일라이트의 함량이 많고, 입자 크기가 미세할수록 인산염의 흡착량이 증가하지만, 일라이트의 함량이 적은 흰색일라이트가 노란색 일라이트보다 더 많은 인산염을 흡착하는 이유는 작은 입자 크기, 높은 층간 전하, 낮은 사면체 자리의 치환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흰색 일라이트는 랑미어 흡착등온선, 노란색 일라이트는 프로인드리히 흡착등온선에 더욱 잘 부합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164.
        200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ase transfer catalysis(PTC) reagent, ethyl tri-octyl ammonium bromide(ETABr), strongly catalyzes the reaction of p-nitrophenyl diphenyl phosphinate(p-NPDPIN) with benzimidazole(BI) and its anion(BI⊖). In ETABr solutions, the dephosphorylation reactions exhibit higher first order kinetics with respect to the nucleophile, BI, and ETABr, suggesting that reactions are occuring in small aggregates of the three species including the substrate(p-NPDPIN), whereas the reaction of p-NPDPIN with OH⊖ is not catalyzed by ETABr. This behavior for the drastic rate-enhancement of the dephosphorylation is referred as 'aggregation complex model' for reaction of hydrophobic organic phosphinates with benzimidazole(BI) in hydrophobic quarternary ammonium salt(ETABr) solutions.
        166.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인산염과 가스첨가제를 첨가한 된장 시료군과 첨가하지 않은 된장 시료군 간의 이화학적 분석 결과 및 관능적인 품질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조된 된장을 28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분석 및 색상 변화 측정, 관능평가 등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인산염과 가스첨가제를 첨가한 된장 시료 C의 경우가 된장에 인산염만 첨가했을 때의 된장 시료 B, 인산염과 가스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된장시료 A와 비교하여 색상에 있어서 좋은 품질을 유지하였
        167.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카올리나이트 KGa-1b (표준 점토)의 인산염 흡착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벳치(batch) 흡착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의 함량은 UV 분광분석기를 시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 때 파장은 820 nm를 이용하였다. 반응 시간을 달리하면서 실험한 결과 카올리나이트의 인산염 흡착 반응 중 매우 빠른 반응은 0~12시간 사이에서 발생하며, 12시간 이후에는 천천히 일어나는 반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산염 용액과 반응하는 카올리나이트의 양이 0.25 g에서 0.50 g을 거쳐 1.0 g으로 증가함에 따라 흡착률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회전하는 교반기를 사용하였을 경우, 회전하지 않는 교반기를 사용할 때에 비하여 흡착률이 약 11~15% 정도 증가하였다. 배경전해질 KCl의 농도가 0.01M~0.1M 사이에서는 농도 변화가 흡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인산염은 내부권 복합체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농도가 1.0 M로 증가할 때 흡착량이 감소하는데, 이것은 외부권 복합체로도 존재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pH가 증가하면 대체적으로 인산염의 흡착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카올리나이트 KGa-1b를 이용한 인산염 흡착은 랑미어 흡착등온선에 더욱 잘 부합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171.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aqueous solutions the dephosphorylations of isopropyl phenyl-4-nitrophenyl phosphinate(IPNPIN) mediated by hydroxide(OH⊖) and o-iodosobenzoate(IB⊖) ions are relatively slow, because of hydrophobicity of the substrate, and however it appears that OH⊖ is inherently better nucleophile than IB⊖, which is more soft ion. On the other hand, in cetyltrimetylammonium bromide(CTABr) solutions which contain cationic micelles, the dephosphorylations of IPNPIN mediated by OH⊖ or IB⊖ are very accelerated to 120 or 100,000 times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aqueous solutions. The values of pseudo first order rate constants reach a maximum with increasing. Such rate maxima are typical of micellar catalysed bimolecular reactions and the rise in rate constant followed by a gradual decrese is characteristic of reactions of hydrophobic substrates. In the cationic micellar solutions of CTABr, IB⊖ accelerates the reactions much more than that OH⊖ does. The reason seems that IB⊖ which is more hydrophobic and soft ion than OH⊖ is more easily moved into the Stern layer of the CTABr micelles than OH⊖. In the anionic micellar solutions of sodium dodecyl sulfate(SDS), the dephosphorylations of IPNPIN are slower than those in aqeous solutions. It means that OH⊖ or IB⊖ cannot easily move and approach to the Stern layer of the micelle in which almost all the hydrophobic substrate are located and which has a negative circumstance.
        180.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als with micellar effects on dephosphorylation of diphenyl-4- nitrophenylphosphate (DPNPPH), diphenyl-4-nitrophenylphosphinate (DPNPIN) and isopropylphenyl-4-nitrophenyl phosphinate (IPNPIN) mediated by OH⊖ or o-iodosobenzoate ion (IB⊖) in aqueous and CTAX solutions. Dephosphorylation of DPNPPH, DPNPIN and IPNPIN mediated by OH⊖ or o-iodosobenzoate ion (IB⊖) is relatively slow in aqueous solution. The reactions in CTAX micellar solutions are, however, much accelerated because CTAX micelles can accommodate both reactants in their Stern layer in which they can easily react, while hydrophilic OH⊖ (or IB⊖) and hydrophobic substrates are not mixed in water. Even though the concentrations (>10-3 M) of OH⊖ (or IB⊖) in CTAX solutions are much larger amounts than those (6×10-6 M) of substrates, the rate constants of the dephosphorylations are largely influenced by the change of concentration of the ions, which means that the reactions are not followed by the pseudo first order kinetics. In comparison to effect of the counter ions of CTAX in the reactions, CTACl is more effective on the dephosphorylation of substrates than CTABr due to easier expelling of Cl⊖ ion by OH⊖ (or IB⊖) ion from the micelle, because of easier solvation of Cl⊖ ion by water molecules. The reactivity of IPNPIN with OH⊖ (or IB⊖) is lower than that of DPNPIN. The reason seems that the 'bulky' isopropyl group of IPNPIN hinders the attack of the nucleoph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