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9

        161.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우의 바이러스 이병율과 매개진딧물 비래밀도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전주지방에 무(Raphanus sativus L. var. Chungsu gungjung)를 파종하고 1982년 4월부터 11월 사이에 실시하였다. 진딧물 비래밀도는 황색수반으로 채집하고, 바이러스 이병율은 병징을 육안으로 조사하였다. 전주지방의 진딧물 비래밀도는 5월 하순과 10월 중순에 최성기를 나타냈으며 매개진딧물의 비래분포도 같은 경향이었다. 무우의 바이러스병 매개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ticae), 무우테두리 진딧물(Lipaphis erysimi), 목화진딘들(Aphis gossypii),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이 채집되었고, 전체진딧물 대 매개진딧물의 비율은 이었다. 매개진딧물중 복숭아혹진딧물이 로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춘계의 바이러스 이병율은 급상승하며 높은데 비하여 추계의 바이러스 이병율은 완만하면서 낮았다. 매개진딧물의 밀도상승과 바이러스 이병율간의 상관관계는 춘계는 , 추계는 로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 매개진딧물의 비래와 바이러스 병징발현간에는 약 15일의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병의 이병주 보존구가 이병주 제거구보다 발병율이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62.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카시아진딧물의 생물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83년 4월부러 9월까지 계룡산 지역과 대전근교에서 아카시아 진딧물에 기생하는 기생봉들의 종류와 이에 따른 기생활동 상황(mummy형성)과 이들 제1차 기생봉에 기생하는 중기생봉과의 기생선택관계 및 주요기생봉들의 mummy형성율, 장난수, 생존기간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카시아 진딧물이 기생하는 진디벌은 모두 8종이 채집되었으며 이중 Binodoxys nearctaphidius Mackauer, Lipolexis scutellaris Mackauer, Lysiphlebus salicaphis(Fitch), Trioxys hokkaidensis Takada 등 4종은 한국미기록종이었다.2. 야외에서 채집된 509개의 기생당한 mummy중 진디벌이 , 중기생봉은 를 차지하고 있었다. 3. 아카시아 진디물에 기생하는 주요기생봉으로는 Lysiphlebus ambiguus, Lysiphlebus salicaphis, Lysiphlebia japonica, Lipolexis scutellaris 등이 였으며 이들의 비율은 각각 였다(성비에 있어서는 기생봉들이 높은 편이었으며 특히 L. ambiguus의 경우는 0.72로서 가장 높았다) 4. 중기생봉은 Lygocerus testacemonus Kieffer, Protaphelinus nikolskajae (Jasnosh), Eucoila sp. Gastrancistrus sp., Ardilea convexa(Waler), Asaphes vulgaris Walker 등 6종이 채집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한국산미기록이었으며, 이들중 Eucoila sp., A. vulgaris, A. convexa등 3종은 진디벌레 대한 기생율이 각각 로서 이들은 아카시아 진디벌의 활동에 제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5. 진디벌중 Lipolexis scutellaris는 6종의 중기생봉중 3종에 의해서만 공격을 받고 있었으며 나머지 종들은 거의 모든 중기생봉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6. 주요 진디벌인 Lysiphlebus ambiguus, Lysiphlebia japonica에 대한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이 컸었다. 7. 장난수 조사결과, Lysiphlebus ambiguus와 Lysiphlebia japonica는 각각 272개, 279개로서 차이는 없었으나 mummy형성율에 있어서는 각각 182개, 120개로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8. 진디벌 성충과 중기생봉 성충의 생존기간을 꿀을 먹이로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진디벌의 평균수명은 일인데 비하여 중기생봉은 일로서 중기생봉들이 훨씬 길었다.
        4,000원
        164.
        197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을 무궁화와 오이의 잎에서 개체사육하면서 생활사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월동란은 4월중순하순에 부화하며, 부화율은 였다. 2. 5월하순6월상순에 유시충이 여름숙주로 이주하고 10월상순중순에 다시 겨울숙주로 이주하여 10월중순하순에 월동란을 낳았다. 3. 1년간 빠른 개체군은 22세대, 늦은 개체군은 6세대를 영위하였다. 4. 한세대의 성숙기간은 약 8일, 생식기간은 약 19일, 수명은 약 29일이었다. 5. 암컷한마리당 총산자수는 약 70마리, 최다산자수는 117마리 이었으며, 1일평균산자수는 3.7마리이고, 1일최다산자수는 17마리 이었다.
        3,000원
        165.
        197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혹진딧물의 생활사를 야외에서 조사한 결과 1. 월동란은 3월하순-4월 상순에 부화하며, 부화율은 였다. 2. 5월상, 중순에 겨울숙주로 이동하여 11월 상, 중순 사이에 월동란을 낳았다. 3. 1년간 빠른 개체군은 23세대, 늦은 개체군은 9세대를 영위하였다. 4. 성숙기간은 약 10.8일, 생식기간은 약 15.8일, 수명은 28.5일이었으며 모두 봄, 가을에는 그 기간이고 여름에는 짧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암컷 한 마리당 총산자수는 약 50마리, 최다산자수는 118마리 이었으며, 1일 평균산자수는 3.2마리 이었으며 1일 최다산자수는 13마리었다.
        4,000원
        166.
        197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turnip mosaic 대한 성질과 이의 충매전염에 대하여 몇가지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집된 TuMV의 물리적성질은 기존성적과 일치하였고, 시무대근의 이병율이 가장 높았다. 2) TuMV의 매개곤충은 Myzus persicae, Lipaphis erysimi, Aphis gossypii, Aphis craccivora의 4종이었다. 3) TuMV의 진딧물에 의한 전염에서 가장 적당한 처리시간은 Myzus persicae는 1시간절식, 3분흡즙, 1분접종이었으며, Lipaphis erysimi는 2시간절식, 5분흡즙, 3분접종이었고, Aphis gossypii는 1시간절식 3분흡즙, 3분접종이었다. 4) 진딧물의 Probing 횟수는 2시간 절식시킨 진딧물과 절식시키지 않는 것에 큰 차이가 없었고, 절식시킨 진딧물의 전매체가 4분경과시부터 섭식하기 시작하였다. 5) 복숭아 혹 진딧물을 1-2분 간격으로 인위적으로 옮겨주었을 때, 2시간 절식시킨 진딧물의 Probing 휫수가 절식시키지 않은 것의 Probing횟수보다 훨씬 많았고, 2시간 절식시킨 진딧물이 주로 3분이내의 획득흡즙시간후 4분이내에 Virus를 매개하였다.
        4,000원
        167.
        197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북지방의 고랭지인 무주에서 진딧물의 밀도조사를 실시한 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진딧물의 종류는 감자바이러스 매개진딧물 4종을 포함하여 37종이었다. 2. 진딧물의 밀도는 평야부보다 훨씬 낮다. 3. 감자바이러스 매개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mi), 무테두리진딧물(Lipahis erysimi),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이다. 4. 본 조사지역의 우세종은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누리장진딧물(Aphis clerodendri), 무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이다. 5. 진딧물의 발생소장은 평야부보다 늦게 출현하고 2순쯤 빠르게 동기주로 이동한다.
        3,000원
        168.
        197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예작물을 종합적으로 재배하는 원예시험장에서 원예작물에 직접, 간접으로 많은 피해를 주고있는 진딧물을 Yellow Water Trap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치하여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시험장시는 24종의 매개진딧물을 포함하여 120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2. 본 시험장에 분포된 120여종 중에 이상을 차지하는 우세종 10종은 다음과 같다. * 조급나무진딧물(Aphis spiraecola ) *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 *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 자바못털진딧물(Capitophorus hippophaes javanicus H.R. ) 층층나무진딧물(Anoecia fulviabdominalis ) *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 * 보리수염진딧물(Macrosiphum avenae ) 가시 진딧물(Cervaphis quercus ) * 무우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 ) 쑥못털진딧물식물(Pleotrichophorus chrysanthemi )(* : 바이러스매개진딧물) 3.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하는 24종의 진딧물은 전체 진딧물수의 를 차지한다. 4. 본시험장의 진딧물 발생소장을 수원의 4개년(1967-'70) 것과 비교한 바 작물이 자라는 봄. 여름에는 살충제를 뿌리기 때문에 수원의 밀도보다 낮으나 작물의 수확이 끝난 10월에는 살충제살포를 중지하고 또 이 시기는 진딧물이 월동숙주로 이주하기 때문에 10월 중순에 밀도가 갑자기 상승하여 년중 최고곡선을 이룬다. 5. 진딧물 방제를 위해서 작물에만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으로 그치는데 주위의 잡초나 숙주식물에도 아울러 살포해야한다. 그리고 작물의 수확이 끝난 10월중에도 원동숙주에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의 월동량을 감소시키므로써 다음해 봄에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예비책을 써야한 것이다. 진딧물은 원예작물에는 어느 해충보다도 피해가 크다는 것은 주지의 사식이나 이것의 발생은 해에 따라, 기상조건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므로 한번의 조사로는 만족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앞으로 영구적인 사업으로 매년 발생상황을 계속적으로 조사해야 될 줄로 믿는다.
        4,000원
        169.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70.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거의 모든 국가에서 생산된 씨감자는 감자바이러스 이병율을 검사해서 합격품만을 농민에 분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딴 씨감자 생산국과는 사정이 달라 고령지에서 씨감자를 생산하고 있는 관계로 감자밭의 필수는 전국적으로 막대한 수에 달한다. 우리나라에서의 감자바이러스 김정은 원원종에 한하고 있으나 농민에 분배되는 씨감자도 바이러스 검정을해서 합격품만을 나누어주어야 국가의 체면이 서겠다. 그러나 현재의 시설로는 이를 감당 할 수 없어 이에 대치 될 만한 실제적 방법의 하나로 매개진딧물 밀도와 감자바이러스 이병율간의 상관관계를 밝혀 번잡한 바이러스 검정법 대신 매개진딧물의 공중밀도를 조사하여 해지점의 감자바이러스 이병율을 추산 할 목적으로 본 시험에 착수하였다. 본 보고에서는 진딧물조사 결과만을 발표하고 18개소에서 행한 포장시험결과는 1970년에 행할 바이러스 검정을 마치면 종합결과를 발표 할 예정이다. 표 1에서와 같이 서해안, 내륙, 및 대관령에서의 매개진딧물과 일반진딧물의 수는 각각 8/31, 179/680 및 50/237이었으며 필자가 행한 1967, 1968년의 조사성적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필자는 씨감자 부족량 약 60,000톤의 조속한 충족을 위해 씨감자의 증식 단계에서는 서해안 일모작 답을 환용 할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바이다.
        3,000원
        17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xglove aphid, Aulacorthum solani (Kaltenbach), is a Hemipteran insect that infected a wide variety of plants worldwide and caused serious yield losses in crop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utative QTL for foxglove aphid resistance in wild soybean, PI 366121, (Glycine soja Sieb. and Zucc.). One hundred and forty one F2-derived F8 recombinant inbred lines developed from a cross of susceptible Williams 82 and resistant PI 366121, were used. The phenotyping of antibiosis and antixenosis was done through choice and no-choice assays with total plant damage (TPD) and primary infestation leaf damage (PLD); a genome-wide molecular linkage map was constructed with 504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utilizing a GoldenGate assay. Using inclusive composite interval mapping analysis for foxglove aphid resistance, one major candidate QTL on chromosome 7 and 3 minor QTL regions on chromosome 3, 6 and 18 were identified. The major QTL on chromosome 7 showed both antixenosis and antibiosis resistance responses. However, the minor QTLs showed only antixenosis resistance response. The major QTL mapped to a different chromosome than the previously identified foxglove aphid resistance QTL, Raso1, from the cultivar Adams. Also, the responses to the Korea biotype foxglove aphid were different for Raso1, and the gene from PI 366121 against the Korea biotype foxglove aphid were different. Thus the foxglove aphid resistance gene from PI 366121 was determined to be an independent gene to Raso1 and designated to Raso2. This result could be useful in breeding for new foxglove aphid resistant soybean cultivars.
        17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xglove aphid, Aulacorthum solani (Kaltenbach), is a Hemipteran insect that infected a wide variety of plants worldwide and caused serious yield losses in crops. The foxglove aphid resistance gene, Raso2 was previously mapped from PI 366121 (Glycine soja Sieb. and Zucc.) to a 26cM marker interval on soybean chromosome 7. The development of additional genetic markers, which are mapped closer to Raso2 were required to accurately position the gen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arker assisted sele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narrow down the putative QTL region, which is responsible to foxglove aphid resistance in PI366121 using recently developed high-density 180K Axiom SoyaSNP genotyping array. One hundred and forty one F8-derived F12 recombinant inbred lines developed from a cross of susceptible Williams 82 and resistant PI 366121, were used to generate a fine map of Raso2 interval. The phenotyping of antibiosis and antixenosis was done through choice and no-choice assays with total plant damage (TPD) and primary infestation leaf damage (PLD). The composite interval mapping analysis showed that the physical interval between two flanking makers, which was corresponding to Raso2, was narrowed down to 500kb on the Williams 82 genome assembly (Glyma2.0), instead of 4Mb in the previous report using Goldengate assay. In the Raso2 interval, there are about 60 candidate genes, including 4 of NBS-containing putative R genes. This result could be useful in breeding for new foxglove aphid resistant soybean cultivars.
        17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ative of soybean aphid (Aphis glycines Matsumura) is an Asia and aphid is one of the dangerous pests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High density aphid populations can reduce crop production by causing severe dam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evaluation of resistance to the soybean aphid in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A total of fifty five soybean cultivars or germplasms, including two susceptible and two resistant check varieties, were infested to evaluate their resistance in the field cage and greenhouse test by aphid colonies which derived from wild collected one soybean aphid biotype in Korea. The average number of reproduced soybean aphid was evaluated with 62.7 aphids in the resistant check variety PI 567598B and also estimated with 1,807 aphids for susceptible check variety Williams 82. In soybean varieties and germplasms, the average reproduced soybean aphid populations ranged from the lowest 497 aphids for Junjeori to the highest 3,862 aphids for Mansu. About seventy six percent of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were shown high density soybean aphid populations when compared with another susceptible check variety PI 567543C in the field cage test. From the greenhouse test to evaluate aphid index, 87.3% of soybean cultivars or germplasms presented aphid index with 9.0. No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were observed with soybean resistant phenotype when regarded a aphid resistant level as less than 10% aphid reproductions compared with susceptible check Williams 82. Although no Korean soybean cultivars were identified with resistant trait to the soybean aphid, we found one great resistant genetic resource PI 567598B in this study. This result will be helpful to further study for providing useful genetic information for soybean researchers.
        174.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4개 육성 F1을 이용하여 진딧물과 응애 가해에 의한 옥수수의 수량감소율과 저항성 자식계통을 선발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진딧물 가해에 의한 수량감소율은 종실중(18.4%), 이삭장(10.9%), 이삭직경(1.7%), 100립중(5.4%), 종실 길이(2.3%), 종실 폭(1.5%), 종실 두께(-0.2%)이었다. 조사항목에 대한 수량감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딧물은 종실중과 이삭직경이 높은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r=0.
        176.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phids are generally considered as a major pest of corn. Thus, yield losses due to aphid infection can be considerable. Rhopalosiphum padi - the birdcherry oct aphid seems to be prevalent aphid species on maize in Korea. Aphid resistance of 91 Fls was assessed at two locations in Korea. In studies of combining ability for aphid resistance to different locations, GCA mean square was 4.48 times grater than that of SCA mean square. Thus, additive gene action wa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non-additive gene action to aphid resistance. In two locations, inbreds 2, 4, 5 and 10 had negative GCA effects for aphid resistance.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