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7

        161.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는 어떠하며,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가 어떠 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1-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1-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1.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전반적인 관계는 어떠한가? 3-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사고양식은 군주적, 외부지향적, 행정적, 자유주의적인 순으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 전체와의 관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162.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자치제 이론에 근거하여 Sternberg(1994)가 제안한 사고양식과 목표성향이 대학운동선수의 내․외적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대학 운동부 소속 277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사고양식, 스포츠 목표성향, 스포츠 참여동기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기술통계, 적률상관 및 정준상관분석, 단계적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수들은 자유적, 입법적, 군주제, 외부적, 행정적 사고양식이, 자아성향보다 과제성향이, 외적동기보다는 내적동기 수준이 더 높고 개인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2) 사고양식은 무동기를 제외한 내외적동기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목표성향은 내외적동기와 정적/부적으로 매우 높은 관계를 보였다. (3) 선수들의 내외적 동기에 대한 개인변인과 사고양식의 효과는 Type I과 운동경력이, 개인변인과 목표성향의 효과는 과제성향만이 각각 전체 변량의 24%, 19%를 설명하였으며, 내외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예측변인군의 주효과는 과제성향과 Type III가 전체 변량의 27%를 설명하였다. (4) 운동경력에 따른 사고양식과 목표성향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결과는 과제성향추구와 Type III 선호경향성이 대학운동선수의 동기 수준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163.
        200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무용학습이 중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78명의 중학생을 실험집단(n=39명)과 통제집단(n=39명)으로 구성하고 총 8주(주 2회, 회당 45분)동안 무용수업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 검사지가 이용되었고 자료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t-검증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8주간의 문제중심무용학습은 실험집단의 비판적 사고성향 중의 진실추구, 편견없음, 분석 및 호기심 성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문제중심무용학습은 실험집단의 문제해결능력 중의 문제해결 자신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문제중심무용학습이 중학생들에게 끼친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증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한 후에 창의적/비판적 사고와 관련변인, 교사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력 강화 및 문제중심 학습원리를 적용한 무용수업의 실천적 문제와 관련된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164.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Thinking Science(TS)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모둠 내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그들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내는 논의의 특성과 교사들의 도움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각 모둠에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은 매우 활발했지만, 메타인지적 질문이나 정교화 제안과 같은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보다 단순 응답, 과제진행 관련 제안 등과 같은 비교적 낮은 수준의 상호작용이 많았다. 학생들의 모둠 내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탐구 과정에서 과제 해결을 위한 가설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논의가 진행될수록 점차 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이 논의 과정을 독점하는 현상 등이 관찰되었다. 또한, 논의 과정에서 교사의 질문이나 상대 학생의 의견에 민감하고 신중한 반응을 보이지 않음으로써 논의가 피상적으로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다. 일부 학생들은 과제 해결과정에서 사전 지식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둠 활동에 주는 교사들의 도움 특성을 분석한 결과, 논의 과정에서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경향이나 학생들에게 생각할 기회나 시간을 주는 정도는 교사들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에게 과제를 제시하는 방식에서 교사들은 비교적 개방적 접근을 취했고, 학생 지향적 교사에 비하여 교사 지배적 교사는 학생들의 사고에 바탕을 두고 논의를 이끌어 가려는 노력이나 전략이 부족하여 학생들 간에 수준 높은 상호작용이 지속되게 하는데 성공적이지 못했다.
        165.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thinking basis and aspect of adapting reality represented by Nan-myeong(南冥) and Gal-cheon(葛川). I found next tendencies in each of their thinking basis by looking into the gener of 'bu(賦)' written by them, provisionally. 1. Nam-myeong regarded a fundamental problem as important; Gal-cheon considered a practical use in reality as important. 2. Nam-myeong pursued internal perfection of morality ; Gal-cheon pursued external enlightenment of morality. 3. Nam-myeong made an effort to cultivate his mind through practicing the virtue of self-development ; 'jon-yang(存養)', 'seong-chal(省察)', 'geuk-gi(克己)' ; Gal-cheon wished to make 'the reign of peace(太平聖代)' entering to the world with his frugal virtue. 4. Nam-myeong placed more importance on 'su-gi(修己)' than 'chi-in(治人)' ; Gal-cheon placed more importance on 'chi-in(治人)' than 'su-gi(修己)'. And I deduced next characters in the aspect of the adaption in reality considering their 'memorial to the Throne(上疏文)'. About the time when 'eul-myo-sa-jik-so(乙卯辭職宵)' was offered by Nam-myeong in 1555, he criticized severely the tumultuous national situation, and suggested its essential relief measures to King Myeong-jong(明宗). On the other hand, at that time, Gal-cheon pursued 'the contentment with poverty and delight in the Way(安貧樂道)' after retiring from the official position of 'cham-bong(參奉)', and did not show any criticism for political or social condition in particular. When the government engaged both of them as a Nester at the throne changing era between Myeong-jong(明宗) and Seon-jo(宣祖) about 10 years later from 1555, Gal-cheon served in the government with 'hyeon-gam(縣監)' and 'mok-sa(牧使)'(names of county governor) responding to the recommendation, but Nam-myeong never entered into the official position after all. However, they cried for the reform of politic sphere each other. Nam-myeong pointed out the fundamental problems & principles with memorial to the Throne demanding sovereign must practice 'the rule of virtue(王道)' showing his own initiative, but Gal-cheon emphasized the relief measure concerning public welfare indicating the realistic problems. In addition, the Nam-myeong and Gal-cheon's principles on official position showed different aspect. Nam-myeong was eager to the actualization of 'the rule of virtue' regarding himself as an executer for 'King Yao and Shun's Tao(堯舜之道)', and did not want to get the position by departing from his principle at not proper time. Thus, he made himself as a man of virtue keeping the dominant principle. Differ from Nam-myeong, however, Gal-cheon pursued the life of 'the contentment with poverty and delight in the Way' after retiring from the official position of 'cham-bong' in 1555, and it was derived from his avoid-make-trouble tendency with peripheral environments. Although it was a fact, Gal-cheon never gave up the will of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經世濟民)', so he entered into the official position consequently. This is the Gal-cheon's right view of 'haeng-youg-sa-jung「用行舍藏 : If recommended, practicing Tao with taking up position. And if discarded, possessing his own Tao lonelily」'.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