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게임을 구현하는 동안 주기성을 보장해야될 필요성이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많은 경우에 캐릭 터의 충돌은 주기적으로 처리되어야 될 필요성이 있는데 주기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 게임에서 충돌 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슈팅 게임에서는 많은 경우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특 정 버튼을 누르면 무기를 자동적으로 발사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주기적으로 무기를 발사해야될 필요 성이 있다. 한편 유니티를 사용하여 게임을 구현할 때 이러한 주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WaitForSeconds로 지연을 발생시킨 코루틴, InvokeRepeating, FixedUpdate, .NET의 Timers.Timer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방법들로 인하여 방법의 선택에 어려움이 있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분 동안 6000번 메서드를 주기적으로 실행하고 주기성과 횟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험을 위하여 추가의 모델 렌더링이 없는 경우와 렌더링을 추가한 경우, 다양한 해상도에서 주기성과 메서드 호출 횟수를 모두 측정했다. 실험 결과, 부하가 적은 환경에서는 InvokeRepeating이 가장 6000회에 가까웠으며 부하가 큰 환경 에서는 Timers.Timer가 가장 6000회에 가까웠으며 실행 주기의 편차가 가장 적었다. 이러한 실험들을 통하여 유니티를 통하여 게임을 구현할 때 일정 시간 내에 실행되는 횟수가 중요한 게임에서 성능 부하가 크지 않 은 경우 InvokeRepeating을, 성능 부하가 크다면 .NET의 Timer를 쓰는 것이 적합함을 알아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자는 유니티에서 제공되는 주기성 제공 방법들 중에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4,000원
        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al-life time series characteristic data has significant amount of non-stationary components, especially periodic components in nature. Extracting such components has required many ad-hoc techniques with external parameters set by users in case-by-case m
        4,000원
        3.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최근에야 비로소 조금씩 비밀이 풀려가는 생체 주기성에 대하여 고대인들은 그 원인과 기전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지만, 경험적으로 그 존재에 대하여는 東西를 막론하고 이해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의학에서는 十二經脈의 시간에 따른 유주 특성을 통해 인체 생리의 일주기 특성을 이해하였으며, 이에 따라 疾病의 치료와 양생에 적극적으로 응용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에서 十二經脈의 시간적 유주 특성과 현대 서양의학에서의 호르몬 분비 변화 주기가 생체시계, 즉 인체 생리의 일주기 특성이라는 동일한 면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는 합리적인 방법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체 생리 활동에 큰 영향을 끼치며, 일정한 분비 주기특성을 지니는 멜라토닌, 성장호르몬, 인슐린, 코티솔의 일주기 특성과 생리적 작용을 분석하고, 각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한 시간대에 盛하게 流注하는 經脈의 특성과 비교하여, 十二經脈의 시간적 유주 특성이 생체시계를 이해하는 동양의학의 합리적인 방법인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대인들은 원리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었지만, 인체 내 생리시계의 존재를 경험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를 十二經脈의 시간적 유주 특성으로 표현하여 합리적으로 활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700원
        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earch about spherical shells been applying most usually is achieved by many investigators already and generalized equation has been derived. But, existent research is limited in case that spherical shell's roof rigidity is isotropy or orthotropy, and research that consider periodicity of rigidity-distribution that can happen by doing spherical shell's roof system by lattice system is not gone entire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pplying Galerkin method to spherical shell that model periodicity of roof rigidity distribution that appear by roof lattice form of large space structure and develop structural analysis program that formularize. Rigidity-model of this research selects that of spherical shell which has 2-way grid. In this paper, buckling-strength and deformation distribution of isotopic spherical shell and 2-way grid spherical shell obtained by developed program could confirm the reliability by comparison with result of existent research.
        4,000원
        6.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의 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PDSI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를 선정하였고, 기상청 산하의 59개 기상관측소의 1980~2009년까지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월평균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지수별 경향성 분석, 주기성 분석 및 가뭄기간(Drought Spell) 조사를 통하여 과거 한반도 가뭄의 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반도 가뭄의 유역별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SPI3와 SPI6는 봄과 겨울에는 모든 유역에서 가뭄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여름철에는 가뭄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SPI12와 PDSI의 경우 짧은 지속기간의 가뭄지수와는 다소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유역별 가뭄의 주기성을 분석한 결과 1~2년 또는 6년 내외의 주기 성분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PI3의 분석결과 유역 전반에서 1~2년의 주기성을 보였고, SPI6와 SPI12는 유역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기는 했으나 4~6년에서 강한 주기성을 나타냈다. 또한 PDSI도 마찬가지로 6년 내외의 주기성을 보였다. 가뭄기간 조사에서도 금강, 영산강, 낙동강 유역에 위치하는 관측소를 중심으로 극심한 가뭄이 많이 나타났던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한반도의 중부지방 보다 남부지방이 극심한 가뭄에 취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7.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관측소 중 관측년수가 30년 이상인 관측소 63개 지점에 대한 5개의 수문기상수문인자 즉, 연강수량, 연강수일수, 연평균기온, 연평균상대습도, 연일조시간 자료를 각 지점별로 수집하고, 통계학적 기법인 Wald-Wolfowitz 검정, Mann-Whitney 검정을 이용하여 변동성 분석과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여 주기성을 분석하였다. 변동성 분석결과 연평균상대습도, 연평균기온에서 공통적으로 변동성이 나타났으며,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