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독일, 영국, 호주의 선진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의 스포츠를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복합적 자료 수집을 기반으로 각국의 관련 정책과 주요 프 로그램에 대해 질적 문헌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국은 중장기정책 및 프 레임워크를 통해 스포츠를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방향과 세부 과제를 제 시하고 UN의 SDGs 이행과 국익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 한, 상이한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공여국, 파트너 조직 및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력 속에서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국은 외교부와 KOICA를 중심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 계를 구축하고 SDGs 달성을 위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 원국과 그 지역사회의 관심사에 초점을 맞추고 현지화를 고려한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을 발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400원
        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피드백 기술은 인간의 신체적인 신호들로부터 나온 신호들을 통하여 신체의 신호를 제어하고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최근 자율신경계의 컨트롤도 훈련을 통하여 스스로 가능하다는 사실이 입증되면서 감성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반응이나 뇌파를 통하여 스스로 게임을 통한 스포츠 시뮬레이션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이오피드백 훈련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바이오피드백 게임 콘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뇌파, 심전도, 호흡, 맥파, 피부전기반사의 통합 생리지표를 분석하였다. 또한 보다 사실적인 훈련이 가능하도록 실제 양궁선수들의 신체적 감성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양궁선수들과 같은 상태의 생체 감성을 스스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였다.
        4,000원
        3.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고유의 속성을 유지하면서도 각종 디지털 장치 및 기능을 의복 내에 통합시키는 스마트 의류의 모듈형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의류와 디지털 기기를 접목할 수 있는 다학제적 기술을 개발하고, 음악 감상 기능, 생체 모니터링 및 외부환경 감지 기능 등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의복에 내장함으로써 엔터테인먼트 및 건강관리 기능을 중점 지원하는 총 4종의 스마트 스포츠웨어(트레킹복, 조깅복)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4,000원
        4.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선수들의 스포츠 도움추구태도에 대한 개념 정의 및 구성요인 탐색을 통해 스포츠 도움추구태도 검사지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연구Ⅰ,Ⅱ,Ⅲ으로 나누어 진행하 였다. 연구Ⅰ은 2021년 6월부터 7월까지 대학 선수 106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주 제를 분류하고 이를 연구주제에 적합하도록 범주화시켰다. 연구Ⅱ는 2021년 8월부터 10월까지 스포츠 도움추구태 도 검사지의 내적 타당도 검증을 위해 대학 선수 275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 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Ⅲ은 2021년 11월부터 12월까지 개발된 검사지의 요인구조를 추가적으로 검증하 고 외적 타당도 검증을 위해 대학 선수 151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 예측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Ⅰ에서 대학 선수의 스포츠 도움추구태도는 전문가 신뢰, 낙인 내인성, 도움 필요 성, 대인관계 개방성으로 4개의 요인이 탐색되었다. 연구Ⅱ에서는 예비문항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총 4요인 16문항의 스포츠 도움추구태도 검사지가 개발되었다. 연구Ⅲ에서는 개발된 스포츠 도움추구태도 검사지의 외적 타당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렴타당도에서 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변별타당 도, 예측타당도는 타당도가 확보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대학 선수들이 도움을 필요로 하지만 낙인 으로 인해 자유롭게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선수의 스포츠 도움추구태도 관련 프로그램 과 스포츠 도움추구태도 검사지를 활용한다면 향후 대학 선수들의 스포츠 도움추구태도 수준을 향상시키고 선수 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국내 학생선수를 위한 라이프스킬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세 단계를 거쳤다. 연구참여자는 우리나라 학생선수 494명 (연구 1=29; 연구 2=233; 연구 3=232)이었다. 결과: 연구 1에서는 귀납적 내용 분석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9개 범주에 90문항이 개발되었다. 연구 2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요인이 추출되었다. 7요인은 목표설정(4문항), 시간관리(3문항), 스트레스 대처(3문항), 긍정적 생각(5문항), 갈등해결(5문항), 의사소통(3문항), 그리고 감정조절(3문항)이다. 연구 3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좋은 모델 적합지수를 나타냈다(x2/df=1.508, CFI=.938, TLI=.931, RMSEA=.047, SRMR=.056). 마지막으로,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스포츠 라이프스킬 척도는 동시타당도와 수렴타당도 검사를 통해 타당성이 입증되었고, 학생선수용 라이프스킬 척도(Life Skills Scale for Student-Athletes; LSSSA)로 명명되었다. 결론: 새롭게 개발된 LSSSA는 우리나라 학생선수들의 라이프스킬 하위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이다.
        6.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웹에서의 e 스포츠 시청 행위 측정도구 개발과 시선추적 장치를 이용한 멀티태스 킹 시청 분석 도구 및 방법을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의 스크린 안에서도 멀티태 스킹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시청 행위를 시각적으로 기록하고 측정할 수 있는 개별 창 관심영역 (WOI)을 설계하였고, 실시간으로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의 시청행위 패턴을 관찰할 수 있도록 실 시간 스트리밍 및 녹화 소프트웨어인 OBS(Opensource Broadcaster Software) 플러그인 (Plug-In)을 직접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정 지화면과 같이 제한된 웹 인터페이스 측정이 아닌 동영상과 같은 다이내믹 신을 기록할 수 있 다. 둘째, 스크린에 여러 개의 창이 동시에 열려져 있어도 연구참여자가 어떠한 창을 주목하는 지 정확하게 좌표를 기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각화된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매우 자 연스러운 일상적 상황에서 실험을 수행할 수 있어서 인위적인 실험실적 환경이나 실험 처치물 이 아닌 이용자의 실제 콘텐츠 이용 패턴과 행태를 추적하는데 용이해 실험 자료의 객관적 타 당도를 높일 수 있다.
        7.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팀구축프로그램 개발 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팀구축프로그램의 모형과 활동을 구성하여 팀구축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스포츠 팀구축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요구조사 분석단계에서 중고등학교 여자축구선수 64명의 청소년 여자축구선수와 프로그램 개발의 타당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회의를 위해 축구전문가 3인과 스포츠심리학자 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6인이 참여하여, 총 7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절차는 팀구축프로그램 요구조사 및 분석과 프로그램 모형 개발 및 내용 구성의 2단계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구축프로그램에 요구되는 요인 탐색 결과 팀구축 강화요인은 의사소통, 팀내 대인관계, 팀목표로, 팀구축 저해요인은 팀내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구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팀구축프로그램의 목표는 팀내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팀구축프로그램의 모형 및 내용구성은 팀구축 목표설정, 대인관계 변화, 의사소통 변화의 3단계 10주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포츠 팀구축프로그램은 향후 팀구축프로그램 관련 연구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스포츠 현장에서 스포츠심리학자와 지도자에 의해 활용될 것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