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Joo-kwan. 2015. “Ethnophysiographic Understanding of Landscape: A Comparative Study of a Mountain and a Plain Area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3). 77~8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how people perceive their surrounding landscape in terms of ethnosemantic perspective. The research area is named as ethnophysiography, which is coined recently. The paper is based on the ethnographic data collected in two different areas: mountain and plain area. Speakers in two areas perceive and categorize their landscape very similarly. The similarity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cognitive saliency.’ which means that people perceive their environments with respect to the cognitively and perceptually salient features. However, this study is a pilot one, which should be refined with more empirical data collected with the ethnographic method in various areas.
        4,500원
        2.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도권매립지에서는 황량하고 척박한 폐기물매립장을 세계 최대의 환경명소로 탄생시키기 위하여 매립이 완 료된 지역을 중심으로 나무심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 진 중에 있다. 그간 추진된 수목식재 현황을 바탕으로 방문객의 인식을 통해 생태경관 개선효과를 조사하여 수도권매립지의 독창적인 경관 조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추진되었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 교목 239,203주, 묘목 2,125,408주, 관목 2,930,294주로 총 5,294,905주를 수 도권매립지에 식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년도별로는 사 업초기년도인 2002∼2003년과 2009∼2010년에 각각 2,028,451주(38%), 1,574,172주(30%)로 식재가 집중되 었다. 위치별 식재량은 제1매립장 1,943,713주(37%), 제 2매립장 1,659,743주(31%), 외곽경계지역 1,067,455주 (20%), 녹색바이오단지 623,994주(12%) 순이며, 수목의 성상별로는 관목 2,930,294주(55%), 묘목 2,125,408주 (40%), 교목 239,203주(5%)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 재지반이 얕고 환경이 척박한 매립지임을 고려, 관목과 묘목이 주로 식재되었음을 보여준다. 수도권매립지 조경수림대(제 1,2매립장 사면, 차폐수림 대, 도로변, 구 시설지 등)에 식재된 수목을 2013년 기준 전수조사 한 결과 교목 302,481주(104종), 묘목 108,051주 (55종), 관목 143,447㎡(25종)으로 집계되었다. 성상별 주 요 수종으로 교목은 곰솔(21.4%), 상수리나무(11.4%), 이 팝나무(8.7%), 산벚나무(6.5%), 측백나무(6.5%) 순이며, 묘 목은 소나무(42.8%), 곰솔(15.6%), 왕벚나무(6.9%), 대왕 참나무(5.9%), 산벚나무(5.6%) 순, 관목은 개나리(37.9%), 철쭉(17.5%), 수수꽃다리(6.5%), 박태기나무(5.5%), 무궁 화(3.8%) 순으로 나타났다. 위치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제1매립장 사면에 식재된 교목은 곰솔, 산벚나무, 상수리 순, 관목은 개나리, 철쭉 순이며, 제2매립장 사면에 식재된 교목은 소나무, 곰솔, 상수리 순, 관목은 개나리, 땅비싸리 순이다. 차폐수림대에 식재된 교목은 느티나무, 곰솔, 산벚 나무 순, 관목은 철쭉, 수수꽃다리 순이며, 도로변에 식재된 교목은 소나무, 느티나무, 리기다소나무 순, 관목은 박태기, 무궁화 순이다. 이를 통해 그간 식재한 묘목이 교목으로 성장하였으며, 수도권매립지에 위치별로 다양한 수종의 수 목이 도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도권매립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22일부터 10월 12일까지 3주간 수도권매립지 환경개선 인식조사와 조경수림대 가치추정을 실시하였다. 방문객, 직원, 경력자 등을 대상으로 매립지 문답식 조사지에 의해 진행하였으며 일대일 면접조사와 인터넷(SNS) 설문을 병행하였다. 조사 결과 수도권매립지 주변 환경여건 중 경관생태, 쾌적도, 소 음은 양호하나 토양, 수질, 대기, 악취는 보통 수준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최근에 방문할수록 매립지 환경이 양호한 것 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목 선호기능은 환경개선, 생태적합, 녹음제공, 유지관리용이, 관상기능 순이었으며, 선호수종은 소나무, 느티나무, 벚나무, 참나무류, 단풍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2002년부터 식재된 수목의 누적식재량과 설문조사로 나 타난 환경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누적식재량과 경 관생태는 식재량이 누적될수록 방문객의 인식이 심각(2.0) 에서 보통(3.5)으로 개선되어, 현재는 양호한 상태로 파악되 고 있다. 또한 식재량 누적에 따라 경관생태 인식이 단계적 으로 상승되고 있는데, 1단계 상승기인 2003년에서 2008년 은 누적식재량 200만~300만주 구간이며, 2단계 상승기인 2011년에서 2014년은 누적식재량 500만~530만주 구간으 로 파악되었다. 경관생태 인식이 개선되는 시기는 공사가 대대적인 식재사업을 추진한 시기인 2002년에서 2003년, 2009년에서 2010년과 유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누적 식재량과 전반적인 쾌적도는 경관생태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식재량이 누적될수록 방문객 쾌적도 인식이 심각(1.5) 에서 보통(3.5)으로 상향되고 있으며, 현재 양호한 상태로 파악된다. 쾌적도도 식재량 누적에 방문객 쾌적도가 단계적 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2차에 걸쳐 인식이 개선되었다. 매립지 수목 식재 필요성과 관련해 필요하다(81%), 필요 없다(9%)로 나타났으며, 식재가 필요한 지역으로 매립지 전체 외곽경계(36%), 외부 주거지 인근(24%), 각 매립장 외곽경계(17%), 각 매립장 토양윗층(11%), 기타(12%) 순 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매립지 조경수림대 가치추정을 위해 조건부가치 측정법(CVM)을 실시하였으며, 지불의사유도를 위해 이중 양분석택법(초기제시금액 : 1,000원, 2,000원, 3,000원)을 사용하였다. 응답한 236명의 설문조사 결과 매립지 조경수 림대의 주된 생태계서비스는 조절서비스(43%), 서식지서 비스(25%), 문화서비스(21%), 공급서비스(11%) 순으로 나 타났으며, 조경수림대 보전을 위한 가구당 지불의사는 평균 2,377원/월, 지불사유는 유산가치(41%), 존재가치(27%), 사용가치(20%), 선택가치(12%)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 가구수(1,011만)과 소득 200만원 이상 가구비중 (0.838)을 반영하여 산출한 결과 수도권매립지 조경수림대 의 가치는 연간 2,418억원으로 추산된다.
        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경관향상을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산시를 대상으로 시민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 다. 설문 구성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경산시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성별, 연령, 거주기간 등에 관한 3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경관 인식에 관한 설문으로는 경관이 과거보다 좋아진 이유 또는 나빠진 이유, 경관의 개선방안에 관한 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경산시의 경관이 좋아진 이유로는 ‘하천이 정비되어서’가 24.3%로 가장 높 았고, ‘도심가로가 정비되어서’가 22%로 다음으로 빈도가 높았다. 경산시의 경관이 나빠진 이유로는 ‘도심가로가 복잡 하게 되어서’가 25.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고층건물 및 아파트 건설’ 17.3%의 빈도로 나타났다. 시민들은 경관 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하천 등을 정비(26.8%)’하고, ‘가로수 및 간판 정비 등 가로경관 개선(21.8%)’을 우선적 개 선 방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 행정중심의 하천 및 도심가로 정비가 도시경관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공원녹지 조성, 기존 공원 및 광장 정비, 산림보호 강화 등과 같이 도시의 녹지가 도시경관향상과 깊은 관계성을 가지고 있음을 이 연구결과에서 시사하고 있다.
        4,000원
        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대적인 흐름에 따른 경관인식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과거 신문에 나타난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1920년대부터 1999년까지의 동아일보,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겨레신문 등의 기사를 연구 대상으로 경관관련 기사를 검색하였으며 이를 시대별로 흐름을 살펴보는 방식을 취하였다.1920년부터 1945년까지 경관이라는 용어는 주로 아름다운 자연경치라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당시 동경의대상이었던 외국의 근대적인 도시 모습을 지칭하는 개념으로도 사용되었다. 1946년부터 1960년까지는 독립과 한국전쟁을경험한 시기로 국가재건과 같은 이슈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떨어졌던 시기였다. 1960년대에는새로운 국토건설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성장하는 도시, 국토의 발전 등의 의미로 경관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었으며 동시에 개발에 따른 자연 훼손을 우려하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1970년대에는 고속도로건설과 새마을운동이라는 개발위주의 정책과 함께 다양한 대상에 대한 경관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80년대에는 아시안게임과 서울올림픽준비로 대대적인 경관정비가 진행되어 이를 계기로 경관관련 계획과 제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1990년대에는 경제수준향상으로 각종 경관관련 제도가 본격적인 틀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경관심의가 강화되고 각종 경관계획이 수립되었다.
        4,200원
        5.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응답자의 사회ㆍ경제적 상황에 따 른 산림경관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차이를 구명함에 있다. 이를 위해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사회ㆍ경제적 상황에 따른 지불의사금액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산림 을 접할 때 가장 높은 금액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높은 지불 의사금액이 나타났으며, 전문직, 자영업 등 경제적 여 유가 있는 직업보다는 생산직, 공무원 등과 같이 시간 적 여유가 있는 직업에서 높은 지불의사금액이 나타났 다. 그리고 연령에서는 은퇴 후인 60대에서 산림경관에 대해 지불할 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소 득에 있어서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지불의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1,000만 원 이상 고소득층에서는 오히려 지불의사가 가장 낮게 나타난 점이 흥미롭다.
        4,000원
        6.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치악산 국립공원의 이용자특성은 남자가 64.7%, 20대 (20~29세) 72.5%. 고졸이상의 학력소지자가 95%이었다. 탐방의 특성을 보면 치악산이 갖고 있는 좋은점을 계곡의 물, 자연경관, 나무 및 숲 등으로 나타내고 있는 자연공원적인 성격과 체류기간에 있이 일일 방문객이 75.5%로 근린공원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또한 탐방목적에 있어서는 피크닉행태와 유원지적 위락행태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활동장소의 특성은 계곡의 물가를 찾거나 등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구룡사 계곡의 경우 오전 10시에 입장객이, 오후 5시에 하산객이 최고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악산 국립공원은 자연공원적 성격의 등산행태와 근린공원성격의 행락행태, 도시근교의 유원지적 행태를 고려하여, 주변 자연경관과의 기능적인 상충성을 충분히 고려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5,500원
        7.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oullo7017, an elevated linear park, was created to redevelop obsolete road infrastructure as public space, which provides unique landscape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and suggest proper planting design for improving psychological benefits in Seoullo7017. Field survey and simulation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ser’s perception on the landscapes. Many users had negative feelings of the present landscapes in Seoullo7017, due to concrete pavement and simple planting design using big concrete pots. Landscape simulation experiment showed this perception could change depending on planting design. In especial, herb spec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andscape in a linear park and providing positive feelings such as refreshment, warmth and naturalness. This study suggested that planting design in a linear space needs to be focused rather on the planting style and species than the volume of greens.
        8.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ural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in Geumsan. The projects were conducted in three villages of Geumsan in 2018 and total 96 residents had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they usually have interests in community activities and actively particip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ticipation, not demographic factors. It is interesting that active interaction among residents during the projects and satisfaction on process are important factor for overall project satisfaction. For successful rural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nd suppor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mong residents. In addition, more various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foster residents’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9.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ople are making efforts multilaterally to create agricultural landscape beautifully. Still in farming villages, however, large-scale facilities or houses are disharmonized with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outer colors, mostly primary colors, not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The main study is done on experts’ color perception. Investigation about perception of color experts ' view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energy business based on the color to set the direction of the rural landscape in the futur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image of the rural area is not reflected well, and the symbolic color of the rural landscape is the reverse image according to the energy business. The rural village’s image in the future, “Harmonious”, “Natural”, “Rural” were higher Figure. There were the most important and harmony with nature. Based on such future harmony with nature in the color planning The colors match and is expected to be the color within the scope. Lack of awareness in the current farming town scenery is unsatisfactory. Awareness about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was higher. Therefore, color according to a harmony with nature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farming model should be planned.
        1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increasing public concer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ecological aspect of landscape management is of growing importance.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elphi survey of 31 experts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the preference of landscape elements. Landscape components of organic farmland were classified into 2 landscape fields, 5 landscape types, 14 landscape units, and 37 landscape elements. Overall relevance score for the proposed landscape components were about 5.5 on the seven point scale. While the relative importance weight of cropland landscape field was 0.71, the weight of intra-structure landscape field was 0.29. Among the cropland landscape, relatively higher weight was assigned to farming system (0.47) and margins (0.31), as compared with hydrological system (0.22). In the farming system, crop (0.40) and farm land (0.39) were the most important landscape units. In the margins, higher weight was given to Buffer zone (0.44) and Trees (0.42). Biological habitat (0.43) ranked the highest score in the hydrological system. Preferable landscape elements were glass house, companion plants, rice paddy field, diverse crop species, small pond, and small river, which are representing ecological advantage of organic farming system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landscape elements identified in the study would be suitable to evaluate ecological aspect of rural landscape in organic farmland.
        11.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existing method, research for landscape resource is driven by professional (or with th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at Tokenism level), and usually hinder local residents from reflecting their appreciations on the landscape resources in their own ways and eventually ends up with indistinguishable landscape planning. To avoid this, a profound understanding of what landscape the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fe and how they perceive it should be empirically analysed care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walking behavior as a method to examine local residents’ subjective perceptions and consider its usability. The researcher walked the site(Sucheongri) with the residents, carrying a GPS device, taking photographs of the landscape objects they described, and recording the relevant explanations. After gathering photographs and explanations which represent the research participants’ individual subjective perception, the researcher analysed the explanation using open coding, based on grounded theory. By the analysis, 117 landscape objectives are identified and 18 reason factors for landscape perception were deduced from the explanation. Those factors could be classified as ‘positive feeling inducing’ and ‘negative feeling inducing’, and also as ‘personal emotion based’ and ‘community based emotion’. By comparison between feeling map by conventional method and feeing map by new method, usability of new method was empirically reveled. Walking behavior makes it easier for researcher to get more abundant data in quantitative aspect and profound understanding with affection of respondent by allowing them to ‘go beyond’ the perceptions they remember. Finally new method with walking gives professionals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a place and more resident-oriented plans and management on sites.
        12.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람들의 간섭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도시 경관의 지속가능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애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도시경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그 경관의 어떠한 특질에 호의적인가와 그 특질들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근래들어 급증하고 있는 이전 산업화 부지를 공원화한 오픈스페이스들은 전통적인 미학적 기준으로 판단하기에는 많이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렇게 새로 등장하고 있는 도시경관에서 심미성과 자연성이라는 대표적인 두 가지 경관의 미학적 특질 간의 상관관계를 탐구하고, 이 두 가지 특질이 경관의 지속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사람들이 이러한 경관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하기 위해서 서울의 선유도공원과 하늘공원이 선정되었으며, 200명의 사람들에게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등이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심미성과 자연성 사이에는 일관적인 강한 양적선형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적합성과 중요성 사이에는 강한 양적선형관계가 보였다. 셋째, 응답자는 전체 경관의 중요성을 결정함에 있어서 자연성보다 심미성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로 추론될 수 있는 사실은 경관, 특히 생태적인 경관을 설계함에 있어서 생태적 기능뿐만이 아니라 그 경관의 외형적인 매력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13.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nd development policy in Korea, characterized by its supply-oriented policy, has driven rapid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it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across the country. Especially, as the introduction of quashi-farmland system with the deregulation of agricultural land development in the late 1990s, numerous unfavorable landscape features such as road, motels and apartment have emerged in the rural area. As those interfered irreversible rural landscapes have been expanded, the demand for well preserved rural landscapes have been increas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us, is to suggest the mitigations between the land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natural landscape. As such, this study examines the recognition of current rural landscape management status through 118 students with two groups of landscape architecture majored (50 people) and non-landscape majored (68). Both group express the negative impression of current rur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 in general and they pointed out the major landscape problems are caused from inappropriate land use. However, in detail those two groups respond differently, for example, the first group selected the damaged landscape is the second cause of the landscape problem, while the other group selected the poorly maintained settlem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this study suggests 3 recommend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sustainable rural landscape as establishing the proper rural land use planning system, building local governments' capac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ural landscape management, and preparing the landscape management plans considering area distinctive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