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기상대 데이터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포장의 깊이별 온도를 예측하는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열평형 방정식 기반 모델은 특정 지역의 기상 데이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NN을 활용하여 기상대 데이터를 기반으로 범용적 인 온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지역 및 환경 조건에서도 적용 가능한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의 1시간 단위 기상 및 온도 데이터를 활용하며, 0.05m, 0.15m, 0.25m, 0.35m, 0.45m 깊이별 온도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사용한다. 입력 변수로는 기온, 풍속, 강수량, 습도, 일 조량, 일사량, 적설량, 적운량, 지면온도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하고, 기 존 방식보다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는 것이 연구의 핵심 목표이다. 기존 ANN 구조인 O = WI + B에서 확장된 O = W(I + (WI + B)) + B 형태의 비선형 구조를 적용하여 기존 모델이 가지는 비선형 관계 반영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선형 다중 은닉층 모델과 비선형 다중 은닉층 모델을 각각 개발하여 성능을 비교하고, 비선형 모델의 필요성과 일반화 능력을 평가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 두 모델의 성능을 평균 제곱 오차 및 평균 절대 오차 등과 같은 평가 지표들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가장 적합한 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공항은 다른 어떤 기반시설보다 복잡하고 사고시 매우 치명적이기 때문에 공항 계획/설계시 운영적인 측면을 고려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공항 건설이후 실제 항공기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시뮬레이션하고 문제점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항공기 운항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도로/공항의 경우 디지털 트윈 기반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설계, 분석하는 사례가 많다. 이러한 기조에 맞춰 공항에서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AviPLAN을 활용하여 에어사이드 배치 설계를 수행하고 있으며,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에서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내외 공항에 AviPLA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였고 산출된 포장물량 절감사례를 바탕으로 에어사이드 시설 배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Fishing losses require a practical rather than an academic theoretical approach. As of the end of 2023,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plan for the Gadeokdo New Airport, we are in a situation where we must realistically deal with losses not only to land and other obstacles in the area, but also to the fishing industry. However, in order for such compensation to be properly made, the legal realization procedures, ranging from the Land Compensation Act a general law, to the Fisheries Act, a special law, and even the Gadeokdo New Airport Special Act, must be identified and practically implemented. We will look into special cases in a special way and ultimately make efforts to resolve social conflicts in advance, and then, if unavoidable, take care to ensure that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losses is provided in spite of ex-ante and ex-post rights relief. We would like to present a feasible plan. Going further from the concept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compensation so far, shares of so-called 'post-asset' are distributed to fishermen so that other benefits can be provided to fishermen for the development of nearby areas at the same time as the construction of Gadeokdo New Airport. Effective plans will also have to be devised. In order to execute above targets, research and implementation concerning the compensation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1) Resident and Status survey, 2) Reviewing measures for preparing a resettlement area and land for their livelihoods, 3) Selecting the candidate site for the resettlement area and land, 4) Establishment of Basic concept, and 5) Feasibility review.
The main problem of airport noise is the impact of aircraft noise on the residents around the airpor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oise situation of a certain airport in South Korea, this article selects Muan Airport as the research project, selects five measurement points near the airport, takes aircraft takeoff as an example, measures the maximum noise level of each measurement point during each take off, and uses the American Airport Noise Prediction Software (AEDT 3C) to predict the noise of a single aircraft during take off, Calculate the contour area and sound exposure level data for four aircraft model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verage maximum noise level error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s and the simulation results is within 2dB, and the maximum noise level ranges from 65.1 to 88.1 decibels with the measurement range.
본 연구는 중국의 사천성과 중경시의 공항을 대상으로 공항의 이용효율성을 분석 하고 있다. 본 연구의 투입변수는 터미널 면적, 게이트 수 그리고 개통 노선 수를 이 용하였다. 그리고 산출변수는 여객운송량, 화물운송량 그리고 운항 횟수를 이용하였 다. 분석방법은 Malmquist지수를 이용하고 분석대상은 자료의 일치성을 고려하여 사 천성과 중경시의 14개 공항을 설정하였다. 분석기간은 코로나19 기간을 포함하여 20 13-2022년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아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2013 -2022년 분석기간 중 사천성과 중경시의 14개 공항의 이용효율성은 전반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둘째는 여객중심의 공항의 이용효율성이 화물중심 보다는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는 분석대상 공항들을 등급별로 구분하면 4F급 공항의 이용 효율성이 4D급이나 4C급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4F급 공항은 인프라 적인 측면에서 4D급이나 4C급 보다 상대적으로 양호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항의 이용효율성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성을 가진다. 따라서 4F 급 공항의 이용효율성의 개선은 향후 과제이기도 하다.
Noise is a sound that humans do not want. In this study, noise is measured for C172, the most frequently used general aviation trainer in Korea and abroad. In addition, in this study, noise measurement points are selected for Muan Airport, where most of the domestic training aircraft fly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ased on this, the measured data is scaled and analyzed. In addition, we intend to analyze what characteristics C172 aircraft have unique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noise of C172.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what type of noise training aircraft affect in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중국의 11개 4F급 공항을 대상으로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공항의 경쟁 력을 비교한다. 분석기간은 2001년-2021년으로 설정하고 2001년-2007년, 2008년-201 8년 그리고 2019년-2021년 세 구간을 설정하고 있다. 변이효과를 권역별로 보면 화 북지역의 공항 경쟁력은 감소하고 있으며, 화동지역, 화남지역과 화중지역의 공항 경 쟁력은 모두 상승하고 있다. 반대로 서북지역과 서남지역은 공항 경쟁력이 감소하고 있다. 할당효과를 보면 북경수도국제공항과 상해포동국제공항, 광주백운국제공항, 그 리고 심천보안국제공항의 할당효과가 가장 크다. 그리고 권역별로 절대적 성장치와 할당효과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화동지역, 화남지역 그리고 화중지역의 공항 경 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화북지역과 서북지역 그리고 서남지역의 공항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이후 동아시아 국제공항들의 국제항공 연결성과 계층성의 차별적인 변화를 실증적으로 탐색하 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체 공항 그룹으로부터 상위 공항 그룹을 구분하고, 네트워크 분석의 연결, 매개, 근접 중심성 지표를 이용하여 팬데믹 전후 두 공항 그룹의 중심성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이용하여 세 중섬성 지표의 값과 순위 측면에서 두 공항 그룹의 변화에 대한 통계검정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19~2021년에 걸쳐 두 공항 그룹은 전반적인 중심성 값의 감소 경향이 나타나는 가운데, 상위 공항 그룹의 근접 중심성은 역외 네트워크의 복구에 따라 2021년에는 2020년 대비 회복 양상을 보였다. 다음으로 세 중심성 지표의 순위 측면에서 상위 공항 그룹은 팬데믹 이후에도 귀무가설을 기각시킬 정도의 큰 변동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팬데믹으로 인한 항공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도 상위 공항들의 중심성 우위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 주요 공항들의 중심성 변화 분석을 통해 주로 관광지 혹은 지역의 이차 공항을 중심으로 순위 하락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팬데믹 이후 전 세계 국제공항 네트워크에서 나타나고 있는 차별적인 변화가 동아시아 공항들의 국제항공 연결성과 계층 구조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S : In this study, a method to use magnesium phosphate ceramic (MPC) concrete for the surface maintenance of airport pavements with jointed concrete is developed.
METHODS :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a material incorporated with MPC for the surface maintenance of airport pavements with jointed concrete, structures with various cross-sections and thicknesses were constructed. The cross-section of the structure was modeled for the surface maintenance of four types of pavements and typical pavement construction processes, such as cutting, cleaning, production and casting, finishing, hardening, and joint reinstallation. Subsequently, the hours required for each process was determined.
RESULTS : The MPC concrete used for the surface maintenance of airport pavements with jointed concrete demonstrate excellent performance. The MPC concrete indicates a compressive strength exceeding 25 MPa for 2 h, and its hydration heat is 52.9 ℃~61.2 ℃. Meanwhile, the crushing and cleaning performed during the production and casting of the MPC require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Specifically, for a partial repair process, a total of 6 h is sufficient under traffic control, although this duration is inadequate for a complete repair process.
CONCLUSIONS : MPC concrete is advantageous for the surface maintenance of airport pavements with jointed concrete. In fact, MPC concrete can be sufficiently constructed using existing concrete maintenance equipment, and partial repair works spanning a cross-sectional area of 11 m2 can be completed in 1 d. In addition, if the crushing and cleaning are performed separately from production and construction, then repair work using MPC concrete can be performed at a larger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