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추출물은 작물 해충에 대해 기피, 섭식저해, 해충 효소활성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해충 방제제로 활용되고 있다. 응애는 원예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고, 실제 포장에서 방제 방법도 화학적 살비제를 이용하고 있지만 효과적이지 않다. 포장에서 응애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짧은 세대수, 많은 산란수와 번식력 등으로 인해 약제저항성 개체가 증가하는 것이 원인이다. 친환경자재로 님, 멀구슬, 제충국, 고삼 추출물을 함 유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포장에서 살비제로 활용되고 있다. 이들 추출물은 천적에 대한 낮은 독성으로 식물추출물과 천적을 동시에 사용하여 응 애의 종합 방제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많은 이들 식물추출물의 해충 방제에 대한 리뷰가 있지만, 포장에서 효율적인 이들 추출물의 종합 적인 측면에서 활용이나, 응애별 살충 스펙트럼, 반수 치사농도와 치사시간, 살충기작별로 응애 생활사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리뷰는 제한적 이다. 본 리뷰는 이들 식물추출물을 포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식물추출물별 사용 가능 시기, 방법, 응애 생활사, 천적 활용 등의 종합적인 응애 방제를 목표로 하였다.
        4,500원
        2.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suppressive effect of loess-sulfur complex and neem oil on the development of leaf mold and fungus gnat in no-pesticide tomato farming system. Since tomato leaf mold occurred 15%, neem oil, loess-sulfur mixture and boscalid(47%, water soluble chemicals) 2,000 times, 1,000 times and 2000 times diluted was treated three times, respectively. When disease incidence of tomato leaf mold was investigated 20 days after final treatment, it was recorded 17% in neem oil treatment(control efficacy 40%) and 12.3% in loess-sulfur mixture treatment(control efficacy 59%). Among three control agents used, Boscalid(47%, water soluble chemicals) showed the best control effect against tomato leaf mold. When neem oil was diluted 250 times, 330 times and 500 times and treated in coir bag infected with fungus gnat, its control values was 69, 59, and 55%,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treatments. As a result, 500-fold diluted neem oil treatment is considered a good measure to control fungus gnat in the field condition.
        4,000원
        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님(Azadirachta indica) 추출물은 곤충의 식욕, 발달 및 산란 억제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접촉보다 주로 섭식에 의해서 높게 나타난다. 주요 원예해충인 담배가루이에 대하여 님제제(5,000 ppm azadirachtin)의 경구독성을 분석하였다. Double-parafilm chamber에 0, 5, 10, 50 ppm의 azadirachtin을 함유한 20% 설탕액을 72시간 섭식시켜본 결과 살충율이 12.5, 77.5, 97.5, 100%로 나타났다. 담배가루이 약충이 붙어있는 오이잎을 이용한 single leaf assay 결과 우화율이 87.0, 16.6, 16.1, 6.6%로 감소하였다. 또한, 토마토 시설재배지에 azadirachtin 50ppm 농도로 관주처리를 해 본 결과 잎당 약충 수가 평균 60.3% 감소하였다. 그리고 약 2개월간 육안조사에서 작물의 성장에는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결과, 님액상제제를 관주처리함으로서 가루이 뿐만 아니라 시설재배지의 다른 흡즙성 해충의 경구독성을 유발함으로서 친환경적 해충방제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ang, Younghee. 2014. A Proposal of a Resolution Method on the Confusion of Word Spacing in the Current Korean Orthography.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 to minimize the confusions regarding spacing address and reference forms such as ‘씨’, ‘님’, ‘양’, ‘군’ and ‘가’ among Korean language speakers.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reason for this confusion starts from the fact that Korean language speakers usually interpret the principals for spacing arbitrarily. As another reason for the confusion for spacing address and reference forms, this study examines perceptional changes among Korean language speakers. ‘님’, for example, was attached only to kinship terms at first. It’s usage, however, has been expanded by combining with common nouns or terms for relationships and positions and by being attached to family names or given names such. Through this procedure, the native speakers of Korean language seem like not only perceive the term as an honorific term but also consider it as a term which constructs its own meaning. In this study, they are classified as bound nouns based on intuition of native speakers, independence rate, existence of practice before those words. Through this procedure, this paper tries to arrange the words as a united grammatical unit, and hence to minimize the confusion.
        5,400원
        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주로 잎에 굴을 만들어 피해를 주는 귤굴나방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Lepidoptera: Phyllocnisitidae)은 노지 감귤인 경우 7월 하순이후 여름순과 가을순 에 피해를 주고, 피해 부위로 감귤 궤양병 병원균이 침입하여 과원에 궤양병의 발생 을 촉진하므로 농가에 방제비용의 부담을 주고 있다. 본 실험은 친환경 농가에 귤굴 나방 방제방안을 제시하고자 기계유제 150배 처리, 고삼(상표명 : 경농 보검) 및 님 (상표명 : 동방아그로 푸른꿈) 기반의 제형화된 약제를 감귤포장에서 처리하였다. 님과 고삼약제는 1000배에 기계유 150배를 혼용 처리하였으며, 모든 처리는 7일 간격으로 3번 살포하고, 5개 신초를 채취하여 피해 잎 수와 기생봉의 기생여부를 조사 하였다. 처리결과 기계유제 단용처리는 귤굴나방에 대한 효과가 없었고, 님 또는 고삼 약제를 기계유유제와 혼용하여 처리하였을 때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무처리구와 기계유제 단용 처리구에서 귤굴나방 천적 기생봉들이 발생되 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귤굴나방 발생을 억제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6.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지 담배가루이 친환경 방제기술을 개발하고자, 난황유 등 7종의 천연물질을 가지 정식 후 7일 간격으로 살포하면서 생육을 조사한 결과 관행(디노테퓨란입상 수화제 1,000배), 님제 등이 양호하였고, 님제, 은행잎제, 난황유에서는 약해가 발 생되었다. 담배가루이 발생은 관행과 님제 처리에서 적었다. 수량은 관행에서 가 장 많았고, 친환경 자재에서는 님제, 고추씨유 등이 많았으며, 고삼제 은행과육 등 에서 적었다. 님제 처리의 경우 관행대비 51.5%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담배가루이 방제에 효과가 우수한 님제의 적정 처리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100~2,000배까지 5처리를 두어 가지 생육과 수량, 담배가루이 발생을 조사한 결 과, 정식 48일후 생육조사에서 500배가 초장 등 생육이 양호하였고, 배수가 낮을 수록 약해가 발생과 생육이 저조하였고 배수가 증가 할수록 담배가루이 발생이 많 아져 생육이 저조하였다. 담배가루이 발생은 처리 배액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전체적으로 님제 500배액 처리가 과중, 과수 등이 양호하고 수량이 많아, 가지 담 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적정 님제 처리농도는 500배였다. 또한 님제 처리간격을 구명하고자, 500배 농도로 처리간격(일)을 3~15까지 5처 리를 두어 담배가루이 발생과 가지 생육과 수량 등을 조사한 결과, 처리간격이 넓 은 처리가 담배가루이 발생이 많았고, 생육 또한 처리간격이 넓은 10일과 15일 나 빠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님추출물 7일 간격 처리가 과중, 과수, 상품률 등이 높아 수량이 많았다. 이는 처리간격이 짧을수록 님제의 영향을 받았고, 길어질수록 담 배가루이의 피해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8.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9.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