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were lots of changes of the wooden structure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It was the time of replacement from Jusimpo (simple bracket system) to Ikgong (wing-like bracket system) and each bracket had shown mutual variation as well as itself. The aspects of change were discovered that the decorative elements of Ikgong and Dapo (multi-bracket system) had accepted from each other. It was clearly shown that not only the Ungung (carved cloud-shape) and Chotgaji (shape of the acuminate leaf) of Ikgong had affected to Dapo, but also Gaang (pseudo-pointing cantilever) of Dapo had affected to Ikgong. It was mostly found in the Buddhist architecture because there was the conservatization of ruling hierarchy as well as the active growth of Buddhist society.
        4,000원
        8.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egrated-Salmi can be suggested as a character of Da-po type Kong-po in Korea’s traditional architecture. However, only few studies are made on this subject ye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gration process of Salmi through cases of certain Kong-po which have the same number of inner and outer Chul-mok and are also known to precede in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like below. First, Integrated-Salmi is more dominant in inner and outer 3 Chul-mok Kong-po than in inner and outer 2 Chul-mok Kong-po. Second, While inner and outer 2 Chul-mok prevail in Yeong-nam region, inner and outer 3 Chul-mok prevail in Ho-nam region. Third, integrated Salmi of Inner and outer 3 Chul-mok, first appeared in internal Jusangpo to be carried over to internal Juganpo then eventually to outer Salmi. Fourth, the reason why integrated form precede in internal salmi of inner and outer 3 Chul-mok Kong-po is due to 2 main factors. First of which is the impact of integrated Boaji that developed in Da-po type since the early 16th century. The second factor is downward expansion of Cho-gak’s Boaji which was adopted to cope with disorders made in structure of Chum-Cha, due to inner and outer 3 Chul-mok type buddhist temples’ wide reconstruction throughout Jeolla region follow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regularity of development process of Salmi’s Cho-gak(草 刻)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Korea’s Da-po type Kong-po.
        4,300원
        1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느타리버섯(Pleurotus spp.)은 온대지방의 활엽수 고사목 에서 자생하는 식용버섯으로, 교배형(mating type)은 4극성 을 가진다. 육종방법으로는 도입 육종, 순계분리 육종, 영양 균사체 분리 육종, 교잡육종법, 유전공학적 육종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교잡육종법은 다른 계통의 모균주의 단핵균간 에 교배를 통하여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게 되는데, 단포자 및 단핵균 분리, 교배 형태(mating type) 결정, 단핵균주간 교 배 및 현미경검경을 통한 이핵균주 확인의 과정을 거치게 된 다. 이러한 과정만으로도 90일정도의 기간이 소요된다. 다포 자임의교배법은 2006년에 농촌진흥청 공원식 박사가 발표 하였으며, 중간과정을 생략하여 적은 시간과 작업량으로 품 종을 육종할수 있는 방법이다. 페트리디쉬배지에 포자희석 액을 혼합도말하는 경우, 배지가 작아서 대치선이 명확히 보 이지 않거나 중첩되었고, 분리·계대한 균사에서 대치선이 형성되면 다시 1-2번의 추가분리·계대가 필요하였다. 종 균병에 희석액을 혼합접종하는 경우, 대치선이 비교적 구분 이 잘 되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균 분리를 하였다. 다포자임의 교배시 하나의 모균주(자가교배) 또는 여러개 모균주(교잡) 를 사용하였으며, 자가교배를 통한 임의교배시 일부 이핵균 (STS035, 236)은 모균주와 대치선 형성이 되지 않았으나, 교잡균주의 임의교배시에는 모균주들과 대치선이 모두 형성 되었다. STS035, 236은 자실체의 특성에서 모균주와 차이 를 보였다. 선발시험재배에서 SKA234는 하나의 병에서 두 개의 다른 특징을 갖는 자실체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SKA234는 병배양중에 대치선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1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13.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전통 목조 건축물의 경우 구조적 성능은 재료 특성, 접합부의 형태, 치목의 정밀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기존 사례 연구에서도 보와 기둥 접합부 형태는 변형 및 간격의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이는 단층 건물뿐만 아니라 대규모 다층 건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합부 형태에 대해 분석하고 모형을 제작하고 구조적 성능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주먹장맞춤의 실험체에서 최대 하중을 나타냈다. 각각의 형태의 접합부에 의한 구조적 성능을 종합하면, 도래걷이 주먹장 맞춤이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도래걷이 장부맞춤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물의 구조적 성능은 관통하는 보의 치목 형태와 기둥 내부의 접합부 형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층 건물의 신축 또는 복원을 위해 고려되어야하며 이후 계속 연구되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14.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ructural damage patterns of the Korean Traditional Wood Structures classified as the Jushim-po and Da-po Type are investigated. The investigations are based on the reports of repairing or actual measurements for the Jushim-po and Da-po structures. Lastly, the vulnerable parts according ot structural systems are analyzed statis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