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북부의 남북 접경지 3개소(서부-철원, 영서-양구, 영동-고성)에서 2023년 5월 11일부터 10월 12일까지 주요 천공성 해충 분류군인 나무좀아과를 대상으로 시기별 발생 양상 및 4가지 유인제(Ipsenol, Ipsedienol, Alpha-pinene, Monochamol)별 유인되는 종과 개체수를 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총 26속 45종 7,743개체를 확인하였다. 확인한 종 중, 15종이 모든 조사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2종(암브로시아나무 좀, 왕녹나무좀)이 모든 조사지에서의 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4종(오리나무좀, 붉은목나무좀, 여름나무좀, 암브로시아나무좀)이 조사기간(5 월~10월) 중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적으로는 가장 다양한 식물종들로 혼합림을 구성하고 있는 양구지역에서 총 36종 2,840개체가 확인되어 다른 두 조사지에서보다 다양하고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각 조사지에서 유인제별 확인한 종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으며 개체수면에서 철원에서는 Monochamol, 양구에서는 Ipsedienol, 고성에서는 Ipsenol 유인제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4,3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cysolobini족에 속하는 Sternuchopsis (Sternuchopsis) waltoni (Boheman, 1844) (메꽃통바구미; 신칭) 암컷 1개체를 한반도의 남단인 부 산의 가덕도 야산에서 떨어잡기를 통해 채집하였다. 이 바구미가 국내 식물방역법상 검역해충으로 지정되어 있어 침입종 또는 자생종 인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 작물에 대한 피해가 확인되지 않고 있고, 그 밖의 채집정보도 없어 그 판단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이 바구 미에 관한 국내 발생정보를 더 확보하기 위한 정확한 진단정보 및 생태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4,000원
        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 Wood products are sometimes infested with cossonid weevils. A cossonid weevil, Hexarthrum brevicome Wollaston has been found on wood boards used for printing books in the Jeonju Confucian temple and school (2004), a wood cabinet in the Museum of Milyang (2007), a wood wardrobe in the Museum of Seoul (2008) and on wood boards used for printing Buddhist scriptures in the temple of Suncheon (2008). Wood utensils for living in the Museum of Seoul were found to be infested with another cossonid weevil, Rhyncolus sculpturatus (Walt!) in 2008. To protect the cultural property from insect pests in the field of conservation science, more comprehensive insect pest management (IPM) programs are required.
        4,000원
        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 The family Brachyceridae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is represented by Desmodophorus hebes(Fabricius, 1781). A revised description, morphological photographs of adults, illustrations of genitalia, a key to the families of Korean Curculionoidea, and a key to the East Asian species of Desmidophorus are provided.
        4,000원
        5.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otal, 7 species of two genera under the tribe Trachodini Gistel are recognized from Korea. Among them, four species, Trachodes ovipennis Morimoto et Miyakawa, Acicnemis azumai Morimoto et Miyakawa, A. palliata Pascoe, and A. shibatai Vos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 key to the tribe Trachodini, brief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e adults are provided.
        4,000원
        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logy of indian meal moth and maize weevil on the trehalose gene introduced rice (var "Nakdong") (T-Nakdong) was compared to that on the rice without gene introduction (Nakdong) at 28±1.0℃. Development of the both two insects was significantly delayed, on T-Nakdong,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female moth (±SE) and weevil were 38.46±0.42 and 36.38±0.28 days, respectively. Whereas those on Nakdong were 36.38±0.28 and 34.33±0.18, respectively. Net reproduction rate of Indian meal moth on T-Nakdong (3.0±0.1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n Nakdong (9.25±0.13), due to the lower emergence rate (21.08±0.04% vs 48.30±0.06%). The life table statistics of maize weevil on T-Nakdong was estimated to be similar to those on Nakdong. The delayed development of T-Nakdong suggested that the factor for development of the insects could be changed by the introduction of trehalose gene into the rice variety.
        4,000원
        9.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창주둥이바구미과 갑충의 구기가 부드러운 식물조직을 섭식하는 바구미과 갑충과 거의 같은 구조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나타내고 있다. 창주둥이바구미과 갑충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구기를 본래의 위치에서 관찰하고, 여기에 해부에 의한 연구도 병행하여 얻은 구기구조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주둥이바구미아과의 바구미는 두순 가장자리가 꾸불꾸불한 모양이고, 큰턱은 수축시 전후로 만나며 안쪽으로 약간 굽어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4,000원
        10.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바구미과의 좁쌀바구미아과에 속하는 Coeliodina아족, Ceutorhynchina아족, Hypurina아족, Mecysmoderina아족 및 Orobitini족을 정리한 결과 20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세모발좁쌀바구미(신칭), Cyphosenus moholeei sp. novo와 뾰족가슴좁쌀바구미 (신칭), Mecysmoderes nigrinus sp. novo 2종을 신종으로, 갈색좁쌀바구미 (신칭), Coeliodes brunneus Hustache; 띠갈색좁쌀바구미 (신칭), Coeliodes nakanoensis H Hustache; 혹좁쌀바구미 (신칭), Phytobiomorphus bifasciatus Voss; 가슴골좁쌀바구미 (신칭), Cardipennis s sulcithorax Hustache; 초록좁쌀바구미 (신칭), Ceutorhynchus diffusus (Hustache); 콘초록좁쌀바구미 (신칭), C Ceutorhynchus sulcicollis (Paykull), 쇠비름좁쌀바구미 (신칭), Hypurus bertrandi (Perris); 알좁쌀바구미 (신칭), O Orobitis apicalis Kono 8種을 韓國未記錄種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을 제공하였다.
        8,000원
        11.
        199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바구미과에 속하는 좁쌀바구미아과의 연구사를 정리하고, Rhinoncina아족, Scleropterina아족 및 Amalina아족을 정리한 결과 16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육절애좁쌀바구미(신칭), Phytobius quadricornis(Gyllenhal); 둥근어깨좁쌀바구미(신칭), Rutidosoma weisei Faust; 나무딸기좁쌀바구미(신칭), Scleropteroides hypocrita(Hustache); 날개가시좁쌀바구미(신칭), Zacladus radula Hochhuth; 홀수볼록좁쌀바구미(신칭), Wagnerinus costatus(Hustache); 큰좁쌀바구미(신칭), Tapinotus sellatus(Fabricius)6종을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을 제공하였다.
        6,900원
        12.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일도(Degree day)를 시간단위로한 쌀바구미의 행렬모형을 작성하였다. 기본행렬모형에서 측정된 계차증가율은 2.155/100DD였으며, 성충밀도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종내경쟁을 도입한 행렬모형에서 성충밀도는 수렴진동의 형태를 보였으며 69.300일도경에서 530으로 안정되었다. 주어진 실험조건에서 실험개체군의 밀도변동 모형에서 예측되는 것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초기최고밀도와 밀도변동추이에서 양자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는 주로 실험 개체군의 경우 자원의 일정성이 유지되지 않았던 데에서 유기된 결과로 생각된다.
        4,000원
        13.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바구미좀벌은 쌀바구미의 3영유충과 4영유충에 생난, 기생하였으며, 4영유충에 대해 현저한 선호성을 보였다. 기주가 4영유충일 때의 성비가 3영유충일 때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서 생난시 암컷에 의해 인식되는 기주의 크기에 따라 좀벌의 성비가 조걸됨을 암시하였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