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북부의 남북 접경지 3개소(서부-철원, 영서-양구, 영동-고성)에서 2023년 5월 11일부터 10월 12일까지 주요 천공성 해충 분류군인 나무좀아과를 대상으로 시기별 발생 양상 및 4가지 유인제(Ipsenol, Ipsedienol, Alpha-pinene, Monochamol)별 유인되는 종과 개체수를 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총 26속 45종 7,743개체를 확인하였다. 확인한 종 중, 15종이 모든 조사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2종(암브로시아나무 좀, 왕녹나무좀)이 모든 조사지에서의 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4종(오리나무좀, 붉은목나무좀, 여름나무좀, 암브로시아나무좀)이 조사기간(5 월~10월) 중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적으로는 가장 다양한 식물종들로 혼합림을 구성하고 있는 양구지역에서 총 36종 2,840개체가 확인되어 다른 두 조사지에서보다 다양하고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각 조사지에서 유인제별 확인한 종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으며 개체수면에서 철원에서는 Monochamol, 양구에서는 Ipsedienol, 고성에서는 Ipsenol 유인제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 δ ] Scuti형 변광성 HR 2707에 대해 한국교원대학교 청람천문대의 40 cm 카세그레인식 반사 망원경과 1K CCD(AP8p)를 사용하여 2001년 11월 13일부터 2002년 2월 20일까지 45일간 시계열 관측을 수행하였다. B, V필터를 이용한 측광 관측으로부터 3,011장의 V필터 영상과 6,562장의 B 필터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들 자료 중 2002년 1월의 7일간 V 필터 관측 자료는 국제공동 관측에 사용되었다(Lopez de Coca et al., 2003). 변광성의 맥동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DFT)과 선형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8개의 맥동 주파수를 찾았으며, 이전 관측 자료에서 얻어진 주파수와 비교하여 HR 2707의 진짜 맥동 주기는 Lopez de Coca et at.(2003)의 연구에서 얻은 f1, f2, f3, f4, f5의 5개의 주기와 우리의 연구로부터 얻은 f4까지 6개로 결정하였다.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SSNHL) is an emergent disease in otologic field. Audiometric follow-up in patients with ISSNHL is important to assess the benefit of treatment and guide initiation of salvage treatment.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 to guide the timing of follow-u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covery duration of patients who diagnosed as ISSNHL in each age group. A total of 150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reviewed the medical and audiological records. According to age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0-19, 20-39, 40-59 years old and more than 60 years old. The period of time to final hearing levels was compared based on Siegel’s criteria. The period of time to final hearing level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patients with complete recovery based on Siegel’s criteria. 20-39 group (10.3 days) showed faster recovery than 0-19 (18 days), 40-59 (15 days) and ≥60 groups (23.4 days). The period of time to final hearing leve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patients with partial and slight recovery. Young adults with ISSNHL appear to recover faster than other age groups with ISSNHL. The result suggests that children and the elderly with ISSNHL need longer follow-up for hearing and young adults with refractory ISSNHL need earlier initiation of salvage treatment.
본 연구에서는 상백피의 소화효소 저해활성과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 억제능을 기반으로 항비만 효능소재로 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상백피의 에탄올 추출물 (MRE)은 α-amylase와 α-glucosidase, pancreatic lipase를 활 용한 소화효소 저해활성 평가 실험에서 각각 7.86±0.36, 0.12±0.03, 7.93±0.11 mg/mL 의 IC50 값을 보이며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3T3-L1 전지방세포를 활용한 세포분화억제효능실험에서 MRE 처리군의 세포내 지방 축 적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상백피의 항비만 작 용 기전을 구명하기 위하여 adipogenesis 및 lipogenesis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상백피 추출물 처 리군에서는 생체내 지방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AS와 ACC 뿐 아니라 adipogenesis와 lipogenesis와 관련된 주요 전사요소인 PPARγ와 C/EBPα, SREBP-1c의 유전자 발현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qRT-PCR 분석 결과, 상백피 추출물의 anti-adipogenesis 효능은 전사단계에서의 관련 유 전자 발현억제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본 실험결과 상 백피 추출물은 전지방세포의 분화와 세포내 지질합성을 저해하고 비만과 관련 된 소화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 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백피의 비만 예방 소재 로서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 대한 운영 전, 운영 중 및 폐쇄 후 단계에서의 부지환경자료의 지속적 수집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와 전산분석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에 의하여 부지환경종합관리시스템(SITES: Site Information and Total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부지환경 자료관리 및 안전성 재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시스템으로서 부지환경데이터관리시스템(SECURE), 통합안전성평가시스템(SAINT), 부지환경감시시스템(SUDAL), 그리고 SITES지리정보시스템(SITES-GIS)의 4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각 모듈은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자료의 검색, 저장 및 보고서 작성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부지환경자료를 통합안전성평가시스템에서 직접이용 가능토록 되어 있다. 통합안전성평가시스템은 다수의 평가자가 동시에 이용가능하며, 대상 부지별 안전성평가 결과의 품질보증 체제가 확보되어 있다. 부지환경감시시스템은 평가 예측자료와 환경감시 자료와의 비교분석 및 시각화가 가능하며, 또한 일반인을 위한 주기적 환경감시 자료를 인터넷 홈페이지와 연계하여 공개 가능토록 되어 있다. 부지환경종합관리시스템은 현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에 적용되고 있으며, 원자력관계시설 및 기타 유해환경산업시설에 대한 부지 및 환경 감시기능의 수준을 고도화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