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회선사위가 존재할 때, 분리 프리즘이 수평사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 전신질환, 이전의 안구 수술 및 약물 복용이 없는 평균 연령 22.70±2.37세의 30명을 대상으로 자각적 굴절검사와 Double maddox rod 검사로 회선사위의 유무, 회선의 방향을 확인하였다. 좌안에 6, 8, 10 △ BU을 무작위 순서로 가입하여 Howell phoria card 검사를 각각 3회 실시하였다. 결과: 회선사위의 유무만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Howell phoria card 검사의 근거리에서 BU 분리 프리즘에 따른 수평사위량은 회선사위가 있는 그룹이 없는 그룹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p=0.031), 원거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회선사위의 유형(외회선사위, 내회 선사위)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에서 좌안 외회선사위(우안 내회선사위) 그룹이 우안 외회선사위(좌안 내회선사위) 그룹보다 평균 수평사위량이 더 적었다(원거리 p<0.001, 근거리 p=0.004). 결론: 좌안 외회선사위 그룹이 내회선사위 그룹보다 평균 수평사위량(외사위)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Howell phoria card 검사에서 회선사위가 있는 경우 분리 프리즘이 수평사위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분리 프리즘의 위치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3.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프리즘 분리법으로 사위검사를 시행할 때 수평사위에 대한 분리 프리즘(dissociating prism)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35명을 대상(평균 22.23±2.22세)으로 자각적 굴절검사와 von Graefe법으로 사위검사를 하였다. 우안에 12 △ base-in (BI)의 측정 프리즘을 가입하고, 좌안에 4, 6, 8, 10 △ base-up (BU)의 분리 프리즘을 하나씩 무작위 순서로 가입하여 수평사위를 반복 측정 하여 수평사위에 미치는 분리 프리즘의 영향을 분석했다. 각 세팅 방법에 따른 사위검사의 신뢰도는 두 방법 간의 상관관계와 Bland-Altman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분리 프리즘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체적인 외사위량은 점차 감소하였다. 특히 원거리 외사위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근거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측정 방법 간의 비교에서 평균차이가 적고, 95% 일치도 범위가 가장 좁은 것을 기준하여 각 세팅별 신뢰도를 비교하면 원거리 및 근거리 수평사위 검사에서는 8△과 10△의 분리 프리 즘이 신뢰도가 높았다. 결론: 분리 프리즘이 8△과 10△일 때 두 측정법 간의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10△의 분리 프리즘은 분리 정도가 너무 커서 피검자가 반응이 불명료하였고, 6△의 분리 프리즘은 표준 편차가 커 변동성이 컸다. 따라서 von Graefe법에 의한 사위도 측정 시 8△의 분리 프 리즘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본다.
        4.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회선사위에 따른 수직사위와 수평사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35명을 대상(평균 22.23±2.22세)으로 자각적 굴절검사와 von Graefe법으로 수직사위, 수평사위를 측정하고, 이중 마독스봉(double Maddox rod)검사로 회선사위의 유무를 측정하여 수평사위, 수직사위, 회선사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회선사위가 원거리나 근거리 둘 다 없거나, 둘 중 하나에만 존재하는 경우, 수직사위에 따른 수평사위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회선사위가 있는 경우, 특히 근거리에서 수직사위에 따른 수평사위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원거리와 근거리에 모두 회선사위가 있는 그룹에서 수직사위와 수평사위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원거리와 근거리에 회선사위가 있는 경우 수직사위와 수평사위를 평가할 때 이 두 사위 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5.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마독스로드의 색상에 의해 수평사위도과 조절성폭주의 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기능에 이상이 없는 대학생 45명(22.40±2.3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동굴절검사 (KR-7100P, Topcon Co, Japan)와 포롭터(Huvitz HRT-7000, korea), 시력표투영기(Huvitz HDC-7000PF, Korea)를 이용하여 원거리 굴절이상도를 교정한 후 적색 마독스로드와 백색 마 독스로드 그리고 Imbalance Measure card를 사용하여 원∙근거리사위도와 조절성폭주의 비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원거리 사위도는 적색 마독스로드(2.19±3.62△ exo)와 백색 마독스로드(1.79±3.72△ exo) 중 적색 마독스로드로 측정한 외사위도가 더 높았다(0.40±1.14△ exo, t=2.35, p=0.023). 근거리 사위도는 적색 마독스로드(4.94±5.21△ exo)와 백색 마독스로드(3.66±5.66 △ exo) 중 적색 마독스로드로 측정한 외사위도가 더 높았다(1.29±2.80△ exo, t=3.09, p=0.003). 원∙근거리 사위도 모두 적색 마독스로드로 측정한 외사위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경사 조절성폭주의 비와 계산 조절성폭주의 비는 각각 적색 마독스로드(2.46±2.13△/D, 5.23±1.54△/D)와 백색 마독스로드(2.68±2.46△/D, 5.57±1.75△/D) 중 백색 마독스로드로 측정한 조절성폭주의 비가 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0.22±1.67△ /D, t=-0.89, p=0.376), (-0.36±1.26△/D, t=-1.89, p=0.065)). 결론: 마독스로드의 색상에 따라 검사결과가 약간 차이가 있었으며, 적색 마독스로드로 측정했 을 때 외사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누진다초점렌즈 구매자의 근거리 수평사위 종류를 파악하고 누진다초점렌즈 착용 전·후의 근거리 수평사위의 변화량을 조사하여 근거리 수평사위 종류에 따른 알맞은 누진다초점 렌즈 처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40세에서 80세 사이의 누진다초점렌즈 구매고객을 외사위 20명, 내사위 20명 두 그룹으로 나눴다. 두 그룹을 가입도에 따라 +0.75~+1.25 D는 Group 1, +1.50~+2.00 D는 Group 2, +2.25~+2.75 D는 Group 3으로 나눈 뒤 누진다초점렌즈 착용 시 근거리 수평사위의 변화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과: 외사위 그룹의 가입도 처방 전 근거리 수평사위 평균값이 4.4±1.23 BI, 가입도 처방 후 근거리 수평사위 평균값이 6.7±1.26 BI이며, 그 차이값의 평균이 2.3±0.47 BI로 유의(p
        4,000원
        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초등학생의 수평사위 검사를 실시하여 연령증가에 따른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경남 소재 초등학교 4곳의 166명을 대상으로 나안시력과 굴절검사 및 안위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연령별 원거리 사위 분포는 전체 대상자 중 외사위 92명(55.4%), 내사위 39명(23.5%), 정위 35명(21.1%)이었다(f=32.259, p=0.000). 외사위와 내사위 및 정위의 연령별 분포는 각각 8세는 14명(41.2%), 11명(32.4%), 9명(26.5%)(f=13.857, p=0.000), 9세는 21명(55.3%), 8명(21.1%), 9명(23.7%)(f=16.955, p=0.000), 12세는 36명(62.1%), 13명(22.4%), 9명(1.7%)(f=8.924 p=0.000), 13세는 21명(58.3%), 7명 (19.4%), 8명(22.2%)(f=8.371, p=0.001)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근거리 사위 분포는 전체 대상자 중 외사위 107명(64.5%), 내사위 38명(22.9%), 정위 21명(12.7%) 이었다(f=33.138, p=0.000). 외사위와 내사위 및 정위의 연령별 분포는 각각 8세는 21명(61.8%), 9명 (26.5%), 4명(11.76%), 9세는 24명(63.2%), 8명(21.1%), 6명(15.8%), 12세는 36명(62.1%), 17명(29.3%), 5명 (8.6%), 13세는 26명(72.2%), 4명(11.1%), 6명(16.7%)으로 나타났다. 연령증가에 따른 상관성에서는 원거리에서는 8세와 9세간에는 r=0.303, p=0.081, 9세와 12세간에는 r=0.217, p=0.190, 12세와 13세간에는 r=-0.304, p=0.0844로 유의성이 없었으며, 근거리에서는 8세와 9세간에는 r=0.710, p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