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ilure to comply with the performance test requirements for the centrifugal pumps at power plants often results in performance dissatisfaction as a result of field test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reducing the uncertainty of the field test results by evaluating the systematic error in the measurement system caused by failure to follow the test requirements using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systematic error and reflecting it in the performance test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error occurred at a constant rate with respect to the flowrate and that the pump, which showed a difference in performance actually had the same performance.
최근 현대 무기체계는 국방예산 절감과 보다 빠르게 전략화하기 위해 시험평가에 소요 되는 기간을 줄이고자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무기체계 시험평가 프로세스 에서 다루는 시스템 설계에 대한 단계별 안전 활동 강화의 필요성 역시 강조되고 있 다. 본 논문에서는 무기체계 획득 프로세스에서 위험 완화의 구성 요소로 확인 (Verification), 검증(Validation) 및 인정(Accreditation) 활동을 고려한 시험평가 프로세 스의 개선사항 도출과 모델링을 통해 무기체계 시스템인 함정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적용 및 조정 구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험평가 의 위험요소, 위험평가 데이터의 관리 및 추적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향후 M&S기반 획득 시험평가 시 체계 개발 및 운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ecent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weapon systems acquisition, the systems development is becoming more susceptible to a variety of risks. To cope with this situation, US DoD has be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nstantly applying the test and evaluation (T&E) process throughout the whole life cycle of the weapon systems. In particular, the safety requirements are called for attention while dealing with system risks. To this end, the present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T&E process which incorporates the systems safety in weapon systems development. Analyzing and modeling the relevant processes has made it possible to achieve the objective. As a case study, the model results wer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s.
최근 현대 무기체계는 최첨단 기술로 인한 무기체계 개발 속도 증가와 획득환경의 다변화와 더불어 이에 대한 위험도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방부는 무기체계의 수명주기를 고려하여 시험평가를 지속 적용토록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무기체계 시험평가 프로세스에서 다루는 시스템 설계에 대한 단계별 안전 활동의 강화의 필요성 역시 강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무기체계 개발의 핵심 활동에 해당하는 체계개발 단계는 양산에 들어가기 전의 최종 활동으로서 제대로 수행되어야만 초기에 의도한 무기체계 개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안전성 요소를 고려한 시험평가 프로세스의 개선사항 도출과 모델링을 통해 무기체계 시스템인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적용 및 조정 구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험평가 기간의 단축 및 비용 절감과 데이터의 관리 및 추적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무기체계 개발 후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소형선박 국제표준규격(ISO-12215)이 제정되면서 소형선박-선체구조 및 치수-제5장 부속서 B에 의하여 길이 2.5미터 이상 6미터 미만 소형선박의 낙하시험에 의한 강도시험 기준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육안검사로 실시되는 현재의 방법으로는 선체 강도 평가의 객관적인 평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저선박의 낙하시험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평가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레저선박의 낙하시험에 대한 국내 외 규정을 기반으로 한 낙하시험 평가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5미터급 알루미늄선박의 낙하시험을 통하여 시스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 낙하 시 선박의 상태 및 낙하자세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domestic railway industry have turned out to deliver a profound impact on the forefront of other industries as well.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the high-speed railway systems has made it possible to travel around our country in a day, thereby changing our life styles a lot. However, it has been well recognized that many factors can cause unanticipated accidents during the operation. One of the causes is known to be the human errors made by the train operators in locomotive cabs. The problem is getting more serious as the trains run at high speed. As such,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on how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the locomotive cabs. Our approach is based on the systems engineering methodology. Specifically, we first identify the context and scope of the problem to be solved. We then continue our effort in deriving the requirements set to accomplish the improvement. These results are utilized in constructing a computer-aided management system for test and evaluation intended for the improvement. The approach taken an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on the route to keeping our nation's technologies on the competitive edges in the high-speed railway systems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차량장착시험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형 풍력발전기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차량장착시험 시스템은 풍속센서, 전력, 배터리관련 모니터링 장치와 독립식 배터리 뱅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차량장착시험 시스템을 통해 극한 풍속 상태에서 소형 풍력발전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정평가를 1, 2주내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제시되어 있는 상용 소형 풍력발전기 성능평가의 비교검증은 인증된 상용모델의 제작사에서 제시한 성능곡선과 차량시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비교하여 검증되었으며,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We have tes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to-model of Space Infrared Cryogenic System (PSICS), which is a small infrared camera, developed b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BSI),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KIMM), and i3system co., as a cooperation project. The purpose of PSICS is to ensure a technology of small infrared cryogenic system for future development of space infrared (IR) cameras. PSICS consists of cryogenic part, IR sensor and electronics part, and optical part. The performance test of each part and the integrated system has been completed successfully. PSICS will be used as a guiding camera for ground-based IR telescopes and a test system for developing a space-borne instrument.
IMO에서는 선박온실가스 규제를 위해 2013년부터 현존선의 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인 SEEMP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의 시행을 강제화하고 있다. SEEMP에서 권고하는 에너지절감기술 가이드라인은 크게 하드웨어적인 장비의 탑재 및 개조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기술을 통한 연료유 절감효과로 구분된다. 신조선의 경우 하드웨어적인 기술구현이 용이하지만 현존선의 경우 운항상 제약으로 인해 소프트웨어적인 에너지 절감기술 구현이 적용되고 있다. IT기반의 선박에너지절감 시스템 성능평가를 위해 해상시험을 수행 하였고, 시스템 적용 전후의 항차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료유 절감효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SEEMP에서 자발적인 사용을 권고하고 있는 선박 경제운항 지표 (EEOI, Ship Energy Efficiency Operation Indicator) 분석을 통한 성능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선박온실가스 규제를 위한 SEEMP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기술 중 선박에너지절감을 위한 조치는 하드웨어 적인 장비를 선박에 탑재하여 구현하거나, 인적교육 및 운항패턴 개선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선체저항개선을 위 한 기술 중 하드웨어적인 장비 개조를 통해 구현되는 기술은 현존선에 적용하는데 장비의 규모 등에 의한 제약이 발생한다. 반면 소프트웨어 적인 에너지절감기술의 구현은 저렴한 도입비용과 하드웨어적인 방식에 비해 높은 에너지 절감효과를 보이며, 선종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적 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IT 기술을 이용한 선박에너지절감기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 기반의 선박에너지절감 기술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3개 선종에 대한 실선 모델링 기반의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육상시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성능검증 방법은 6개의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에너지절감기술 적용 전후의 운항결과로부터 에너지절감효과를 비교·분석하고, 해상상태 에 따른 구간별 비교결과를 통해 IT기반 에너지절감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벌크, 컨테이너, VLCC 선종을 이용한 육상시험 결과 컨테이너선의 연료절감률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육상시험 대상선박 모두 선박에너지절감시스템 사용전과 비교하여 연료절감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면진장치의 시험규격에 대한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국제규격에서 요구하는 수준에 부합하는 면진장치 시험평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면진장치의 경우 건축, 토목구조물, 정보통신시설 및 원자력시설에 적용되어 지진재해 발생시 요구되는 성능을 정확히 만족하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며, 현재까지는 면진장치 제작업체의 자체 품질검사를 위해 구축한 시험기에서 직접 이루어지는 입회시험으로 제품성능을 평가해 왔다. 그러나 면진장치의 국내 판매 뿐 아니라 국내 제품의 해외 판매 시 국제적으로 공인될 수 있는 시험기관에서 성능을 평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인증서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ISO 22762 등 국제규격에서 요구하고 있는 면진장치의 성능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따른 국내 면진장치 시험평가 시스템의 장단점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 면진장치 시험평가에 최적화된 새로운 면진장치 평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면진장치 시험평가시스템의 개발에서부터 면진장치 시험평가시스템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한 성능실험 등 장비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새로 개발된 면진장치 시험평가시스템 장비를 활용한다면,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an automated cable non-destructive test (NDT) system was proposed to monitor the steel cable. Magnetic Flux Leakage (MFL) method was applied for the cable inspection. A multi-channel MFL sensor head was fabricated using Hall sensors and permanent magnets. A wheel based Cable climbing robot was use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cable. In addition, remote data transmission and robot control were possible by applying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Finally, developed element techniques were integrated to MFL based Cable Climbing NDT system, and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integrated cable NDT system was verified through a field test.
본 연구에서는 사장교의 케이블 장력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실시간 동적 데이터에서 일정 대상시간 동안의 가속도 데이터를 선정하고, 이를 고속 푸리에 변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주파수 분석한 결과를 평균하여 일반화시키는 신호해석이론이 적용되었다. 제안된 케이블 장력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공용중인 사장교에 대한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계측을 통한 수동으로 계산된 장력과 모니터링 시스템의 강제저장 기능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수계산하여 반자동으로 계산된 장력을 비교한 결과, 장력차이가 1% 이내로 발생하였고, 제안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계산된 장력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약 5% 범위의 무시할만한 차이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사장교 케이블 장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