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은 국내·외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자동차 및 연료 연구자들은 청정(친환경 대체연료) 연료와 연료품질 향상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엔진 설계, 혁신적인 후처리 시스템 등의 연구를 통하여 차량 배기가스 및 온실가스를 감소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차량기술이 적용된 휘발유, 경유,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7대의 차량을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법적시험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도심모드, 고속모드, 급가·감속, 에어컨사용 및 겨울철 특성을 반영한 저온모드에서 온실가스의 배출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용연료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온실가스는 저온인 Cold FTP-75 모드에서 가장 안 좋은 결과가 나타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각 차량별 온실가스 증가 요인으로는 가솔린 차량인 A차량(2.0 MPI)과 B차량(2.4 GDI)에서는 최고속 및 급가·감속 , 에어컨 사용 , 저온 조건의 순인데 비해 E차량(1.6 T-GDI)은 에어컨 사용, 최고속 및 급가·감속 , 저온 조건의 순이다. G차량 (LPLi)은 에어컨 사용 , 저온 , 최고속 및 급가·감속 조건의 순으로 가솔린 차량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경유 차량에 있어서는 A차량(2.0 w/o DPF)과 B차량(2.2 w/ DPF)은 최고속 및 급가·감속 , 에어컨 사용, 저온 조건의 순이었고, F차량(1.6 w/ DPF)은 저온, 에어컨 사용, 최고속 및 급가·감속 조건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각 연료별로 배출가스 저감 기술을 다르게 적용하여야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4,300원
        4.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50 % 이상이 산업체에서 배출되므로, 산업체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노력은 꼭 필요한 부분이다. 자원의 재활용과 친환경 공정 도입 등에 의한 방법으로 온실가스의 배출량 저감해야 한다. 광주광역시에는 광주첨단, 하남, 평동, 본촌, 소촌 산단 등 5개의 대형 산단이 조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남산업단지 내 사업체에서 발생되는 화학물질 관리에 의한 온실가스를 가장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남산단에 입주한 화학물질 배출량 공개사업장을 대상으로 각 업종별 폐기물 배출공정 조사, 업체별 배출화학물질 및 폐기물 이동량을 조사하고, 공생적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배출되는 폐기물을 재분류하여, 처리방법(폐유기용제의 재생・회수, 저순도 폐유기용제의 정제유, 폐합성수지의 에너지화, 폐촉매의 재활용)에 따른 처리량을 조사하였다. 국내 폐유기용제 처리 및 재활용 기술로는 유수 분리방법을 통한 사전처리와 액상 할로겐족 폐유기용제 재활용을 위한 고온 소각방식, 증발․농축 후 잔재물 고온 소각, 분리․증류․추출․여과 정제 후 잔재물 고운 소각, 종화・산화・환원・중합・축합 등으로 처리 후 잔재물 고온 소각이 있으며, 고상 폐유기용제 재활용을 위한 고온 소각 등이 있다. 유기용제 회수장치 및 VOC 농축연소 시스템, 다단증류 tower를 이용한 고순도 유기용제 정제기술, 폐유기용제 재생처리, 폐유기용제 재생 원료화 정제시설이 실용화 된 상태이다. 폐유기용제의 회수 및 재생관련 특허는 유기용매가 혼합된 제품공정에서 발생되는 혼합폐기물에서 유기용매를 증류 추출하여 회수하는 방법이 주를 이룬다. 발생되는 폐유기용제 중 다양한 액상 및 고상 폐기물이 혼합되어 회수가 어려운 폐유기용제 폐기물의 경우 일반적인 소각방식을 통해 소각의 보조연료로 사용하지만, 일부 폐기물의 경우 일정정도 순도가 유지되면 재생 연료유로 재활용할 경우 대체연료로서 가능하다.
        5.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PCC Guidelines have been updated after the first official announcement to get more precise estimation of GHG emission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lications of the IPCC Guidelines improvements including equations of country-specific parameter values for estimating GHG emissions for rice cultivation on the agricultural sector. In addition, we analyze the effects of emission factors associated with organic amendment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GHG emissions of rice cultivation based on 1996 IPCC GL are 28% lower than those estimated by 2006 IPCC GL with the same year data; (2) GHGs can be reduced up to 60% through the assumption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s; (3) Jeonnam and Chungnam are the worst regions for GHG emissions on rice cultivation and Chungbuk shows the highest reduction rate of GHG emissions, about 40%.
        6.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missions of air pollutants and greenhouse gases (GHGs) from aircraft activities at 11 small-scale airport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emissions and dispersion modeling system (EDMS) version 5.1.3 during the two year period of 2009~2010. The number of landing and take-off (LTO) at these airports was dominant for the aircraft type B737, accounting for more than 60% of the total LTOs. Out of the 11 small-scale airports, Gwangju (GJ, RKJJ) airport was the largest emitter of air pollutants and GHGs, whereas Yangyang (YY, RKNY) airport was the smallest emitter. The emissions of NOx and VOCs in 2010 at the 11 airports ranged from 1.9 to 83 ton/y and 0.1 to 17 ton/y, respectively. In 2010, the emissions of CO2 ranged from 394 to 21,217 ton/y. The emissions of most air pollutants (except for NOx and PM10) and GHGs were estimated to be the highest in taxi-out mode. The highest emissions of NOx and PM10 were emitted from climb-out and approach mod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otal LTOs at the 11 small-scale airports accounted for the range of 9.3~9.9% of those at four major international airports in Korea. The total emissions of air pollutants and GHGs at the 11 airports ranged from 4.8 to 12% of those at the four major airports.
        7.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ntifying greenhouse gas (GHG) emission is important for evaluating various reduction measures for greenhouse gas, which causes significant negative impacts on earth. To estimate GHG emission from waste sector over the period of between 2000 and 2009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2006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and Korean GHG Inventory for local government guidelines and methodologies were employed. Four different waste treatment methods (landfill, incineration, biological treatment, and Sewage wastewater treatment) were evaluated to estimate GHG emission by following the guidelines. The trends of GHG emission rate by direct emission increased between 2000 and 2009 as a result of increased incineration rate. The solid waste sector was directly responsible for 307,700 tonCO2eq/yr in 2009. Incineration contributed approximately 57% of the GHG emission, while landfill disposal was responsible for about 30% of the GHG. Approximately 464,400 tonCO2eq/yr in 2009 was emitted by indirect emission from the waste sector. Based on the results, a variety of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the GHG emission from waste sector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long with implementing effective waste source reduction and recycling policy. More specifically, this evaluation proposed that among the possible reduction options, further source separation of recyclables as well as improved diversion of recyclable materials at proposed Daejeon resource recycling complex in 2014 would have the greater benefits for reducing GHG emissio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s waste s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