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quality of general Chinese in university by developing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based on student's needs. In an effort to develop an effective general Chinese program of a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examined curricular and learner needs for general Chinese courses of universities. The curricular of general Chinese programs collected from a total of 46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to examine class teaching hours, credits, courses, diffentiated-level classes, special courses, and a waiving policy of credits based on student proficiency. Also the survey and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 students studying in one university (N=387) to find out their needs on general Chinese courses. The curricular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s: 1) When analyzing the general Chinese courses curriculum of 46 universities surveyed, most of universities preferred 2~3 hours/2~3 credits Chinese courses,; 2) The results of survey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ve strong needs for improving differentiated-level education. 3) It seems to be necessary to accommodate learners, teachers demand and realistic constraints on learning Chinese language learners.
        5,200원
        4.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 toward the irradiated foods and environmental hormon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adults living in Daegu and Busan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by SPS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consumers' awareness regarding the irradiated foods and environmental hormones were low, while consumers' concerns for them were high, (2) the orders of the information needs for the irradiated foods are safety of irradiated foods, dose permitted for food irradiation, benefits of irradiated foods, kinds of permitted irradiated foods, and legislations of food irradiation, and (3) the orders of the information needs for the environmental hormones are harmfulness of environmental hormones, standards for contamination by environmental hormones, materials releasing environmental hormones, methods to prevent environmental hormones, and kinds of environmental hormones.
        4,300원
        6.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능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다독 프로그램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이 가지는 의식과 다독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소재 국·공립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09명과 동일 학교에서 근무 중인 영어교사 32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진행하였다. 교사와 학생에게 주어진 설문 문항은 기초 설문 항목, 학교 수업 실태 조사 항목과 다독 실태 조사 항목 및 영어 다독 수업 모형에 대한 요구도 조사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교사의 요구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교사들은 교과서를 제외한 영어 읽기 텍스트 부족과 읽기 교육 내용의 체계적 구성 결핍을 현재 영어 읽기 교육의 주된 문제점으로 인식했다. 다독을 통해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교사들은 교육 여건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다독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여주었다. 학생 설문 분석의 경우, 지나치게 난해한 표현들이 수능 영어 지문과 EBS 교재에 다수 포함되어 학생들은 영어 읽기 문제 해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현재 다루고 있는 수능 지문과 EBS 교재 이외에도 읽기 능력 향상과 수능 영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 기 위해 추가적인 읽기 자료를 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와 학생의 의식 조사를 통해 수능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다독 프로그램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7.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의 언어교사 연수체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언어교사 연수체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의 교원 연수체제 및 연수의 법적 근거와 종류, 언어교사 연수의 정의 및 필요성 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연수체제 운영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 언어교사들의 요구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향후 언어교사 연수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결과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된 불균형의 해소, 변화된 시대에 맞는 다양하고 현장 친화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연구·개발, 연수내용이나 주제 선정, 연수과정 개설 및 운영에 있어 해당 지역의 특성과 교사들의 요구 적극 반영, 해외 유수 교사연수 기관과의 MOU 체결을 통한 다양하고 실질적인 프로그램 운영, 언어교사들의 시·공간적 제약이 없는 실질적인 소통의 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연수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강사진의 지속적인 질 관리 등, 향후 언어교사 연수체제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할 때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가 어떠하며, 어떤 지원 방안들이 요구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였다. 조사는 3단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최종 3단계의 결과에서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와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지원으로는 한국어교육 자격 연수를 통한 전문가 양성, 한국어교육 전문가 및 다문화 전문가 활용, 멘토링 제도 운영, 한국어 학습 도우미 제도 운영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물적 지원으로는 교재/자료 개발 및 보급, 다문화(한국어) 교육 센터 등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물적 지원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었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연구 결과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프로그램 제작 보급보다는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KSL 강의실에 치중되어 있어, 내용보다는 형식적인 지원이 앞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심리적 지원으로는 다문화 인식에 대한 제고와 다문화 가정 학생을 일반학생과 동일하게 취급하고 그들의 자신감, 정체성 의식 향상과 공동체 의식 향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매우 미흡한 수준이지만 비슷한 순위로 실천되고 있었다. 끝으로, 행·재정적 지원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은 교사(한국어/이중언어)의 대우, 저소득층 자녀 대상 교육비 지원,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비로 나타났으나, 이 역시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특히, KSL 교사의 지위 보장과 교재 및 교수·학습자료비 지원은 요구에 비해 행·재정적 지원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