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요리활동을 통한 작업기반 중재가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방법 : 대상자들은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1급 진단을 받은 여성 3인이었다. 중재프로그램인 요리활동은 주1회 회기 당 5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요리활동에 대한 작업치료는 대상자들이 좋아하는 요리를 직접 만드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은 자리이탈, 불필요한 말하기, 지시를 따르지 않기, 다른 것에 관심보이기의 총 4개 항목에 대해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측정하였고, 매 회기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측정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대상자 3인 모두 주의집중력 관련 항목들이 향상되었고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상호작용도 향상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결론 :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요리활동의 참여를 통한 작업기반 중재가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집중력 외에 긍정적 정서표현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여, 의미 있는 활동의 참여를 통한 중재가 지적장애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 및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요리활동을 통하여 재료의 물리적인 변화를 즐겁게 관찰하여 체험함으로써 얻어지는 다양한 개념 학습에 대한 내용을 연구하였다. 이는 요리가 단순히 먹기 위한 활동이 아닌 과정 자체를 유아들이 즐기는 시간이 되고, 결과를 예측하고 추론하는 과정을 통해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의 과정을 경험하는 시간이 되었다.
유아들의 선 경험이 활동 전 다양한 예측을 하게하고 자신의 생각이 다양한 요리활동을 통해 검증이 되었을 때 기쁨을 느끼고, 다른 결과로 보여 질 때 새로운 경험적 개념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and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 cooking activities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35 children of gene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from 3th to 6th grades and their 11 teachers were surveyed, and 75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underwent a cooking activity program.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ooking activities than other Korean childre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nted to be involved in cooking activity programs after school more than other Korean children. These children also showed a higher rate of wanting to cook Korean foods compared to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Regarding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cooking activities, ‘I think I’m glad to be served delicious food’ response was the most commo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ooking activities than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Regarding school life changes,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found to be less picky of foods in general as well as kimchi and vegetables. In conclusion, cooking activity program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showed beneficial effects on die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oking class on improvement of eating behaviors and satisfaction with cooking activities in children.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380 mothers during June to August, 2011. A total of 28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81.7%), and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χ2-test were completed using SPSS (version 14.0) software. The children with cooking experience (52.7%) showed more improvement of eating habits than children with no cooking experience (36.4%). Both types of children showed an ‘unbalanced diet’ with respect to eating habits.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as an average of 3.84±0.62. The effects after cooking activities varied for different aspects of improvement of eating habits: ‘Correcting unbalanced diet’ was 4.26±0.66, ‘nutrition knowledge’ was 4.06±0.70, ‘dining etiquette’ was 4.09±0.63, and ‘regular meals’ was 4.15±0.7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with regards to correcting unbalanced diet with vegetables (p<0.01). Ages from 10 to 12 were able to improve unbalanced diet with ‘grains’ (p<0.001), while ‘Kimchi’ (p<0.05) and ‘paste’ for ages from 10 to 12. In conclusion, cooking activities are regarded as effective in correcting unbalanced diet and eliciting positive changes in eating behavior.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요리 치료 활동이 학령기 뇌병변 장애 아동의 실행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 연구방법 : 본 프로그램은 학령기 뇌병변 남자 아동 6명을 대상으로아동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요리치료 활동(12회기)으로 구성되었다. 활동 중 실행 기능 증진을 위해 단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치료 전후 실행 기능의 비교를 위하여 운동 처리 기술 평가(AMPS)를 사용하였다. 처음과 마지막 회기를 제외한 10회기 동안 제공된 단서의 양과 수준을 분석하였고, 사회성숙도 검사, AMPS, 단서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 결과 : AMPS 평가 결과 모든 아동의 실행 기능이 증진되었으며, 3명의 아동에게서 유의미한 기능 증진이 나타났다. 제공된 단서의 양(21.33회에서 7.25회)과 수준(3.50에서 2.00)은 후반기로 진행될수록 감소되었다. 상관관계 조사 결과 사회성숙도는 AMPS 처리 기술(p<.05), 단서의 양(p<.01), 단서의 수준(p<.01)이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AMPS 처리 기술은 단서의 양(p<.05), 단서의 수준(p<0.5)과 음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결론 : 단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요리 치료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행 기능이 증진되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단서의 양과 수준도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추후 작업-지향적 활동으로서 요리 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실행 기능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요리활동의 적용이 감각방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연구방법: 감각력 평가(Sensory profile ; SP) 검사를 통하여 감각처리에 문제를 가진 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의 동의를 얻어 12주 동안 각 아동마다 10회에 걸친 요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마다 연구자 1명씩 개입하여 약 30분~60분씩 요리활동을 하였고, 치료 전후 평가는 감각력 평가(Sensory profile ; SP)와 문제행동체크리스트(Child Behavior Checklist ; CBCL)를 사용하였다.
◉ 결과: 각 아동마다 감각력 평가(Sensory profile ; SP)와 문제행동체크리스트(Child Be havior Checklist ; CBCL)평가 결과, 3명의 아동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A아동은 감각력 평가(Sensory profile ; SP) 검사결과 총점 235점에서 263점으로 점수가 변화하였고, 문제행동체크리스트(Child Behavior Checklist ; CBCL) 평가 결과 총점 127점에서 106점으로 감소하였다. B아동은 감각력 평가(Sensory profile ; SP) 검사결과 총점 298점에서 308점으로 증가하였고, 문제행동체크리스트(Child Behavior Checklist ; CBCL) 평가 결과 총점 107점에서 103점으로 점수가 변화하였다. C아동은 감각력 평가(Sensory profile ; SP) 검사결과 총점 287점에서 302점으로 점수가 변화하였고, 문제행동체크리스트(Child Behavior Checklist ; CBCL)평가 결과 총점 110점에서 96점으로 점수가 감소하였다.
◉ 결론: 감각방어를 가진 아동에게 요리활동을 적용하였을 때, 감각처리능력을 향상시키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대상자의수를 늘리고 장기간에 걸쳐 아동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요리활동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 the effective cooking activity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as well as the food intake and menu accept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oking activity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nsisted of 128 students of 3rd & 5th grader each. Both cooking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took the same 1-hour nutritional theory based class for 10 sessions. Only Cooking activity (CA) group took additional 10 sessions of 1-hour cooking class. Programs for cooking activity were developed and 10 cooking activity sessions were taken place for 4 months. The questionnair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cooking activities over the intake of food group, unbalanced dietary behavior, eating attitudes, menu acceptance befor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all the cooking activities. Cooking activities affect the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and the intake of food groups. Fish, cereals, milk products, fruits, potatoes, vegetables were more eaten by CA group than control group. Eating attitudes and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of CA group are also improved significantly than control group.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cooking activities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ver vegetables, cereals, fish, milk product and fruits as well as the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satisfaction towards, and effects of children's cooking activity programs held at children's cooking schools, which have recently been gaining interest as an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al method. Also,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good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can be appli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84.1%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aspects of the programs. People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were least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fees". The satisfaction scores for the children's cooking programs were higher when they were performed in a school class environment as compared to a cultural center environment, and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for more than 12 months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who had only participated 1 to 3 months. Quantitatively, of the 24 measured evaluation categories grouped into 6 fields that measure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 cooking programs, the greatest effects were found on the children's self-confidence and sense of achievement in the social emotion field, and the lowest effect was found on their writing ability in the language field. In addition, scores were higher when the cook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a private cooking school environment as compared to a cultural center environment. Scores were also higher when the educational program lasted 7 to 9 months as compared to only 1 to 3 months.
본 연구는 협동적 요리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 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충북 청주시에 소재한 S 단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 통제 집단 2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이경민(200)의 과학적 태도 검사와 김영옥(2003)이 개발 한 친사회적 행동평가 검사도구(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 하기 위하여 각 집단별 평균 증가 점수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 협동적 요리 활동을 실시한 실 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과학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협동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