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considers Modality as the speaker’s attitude betwe en “yes” and “no”. Based on this, we discuss the Chinese modality system. First, we review what has been done on Chinese modals by the previous researchers. Then, we introduce Halliday’s modality system in English to establish a Chinese modality system and analyze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the typical modal verbs to point out the negotiation of Chinese modality.
        4,600원
        2.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신속하고간편한 해충의 종 동정법 개발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지만 실제 검역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심식나방 유충과 형태적으로 유사한 해충을 구분할 수 있 는 면역학적 방법을 활용한 간이진단킷트 개발의 일환으로 유충의 혈림프에서 발 견되는 단백질을 대상으로 단일클론항체를 제작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혈림프 단백질에 대한 재조합단백질은 대장균 발현시스템을 활용하여 확보하였고 확보된 재조합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hybridoma cell을 확보하였다. 이 렇게 얻어진 hybridoma cell 중에서 ELISA 방법을 통하여 복숭아심식나방 유충 항 원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hybridoma cell을 선별하였고 선별된 hybridoma cell에서 항원 특이적 단일클론항체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단일클론세 포에서 생산된 항체를 이용하여 ELISA test를 한 결과 복숭아순나방 유충 항원에 서는 반응이 없고 복숭아심식나방 유충 항원에서만 특이적으로 반응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복숭아심식나방 유충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 아심식나방에 대한 종 특이적 판단을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할 경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종 판단을 할 수 있는 진단킷트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reat Chinese ancient novel, The Great Mansion, is a story of the daughters who were regarded as water and of the boy who was the guy regarded them as water. It is also a story implicated the pure beginning alike water of life and the clean ending alike snow of it. As a central concept in Chinese ancient literature, Water becomes an imago which represents the features of beauty and meanings of life.
        4,900원
        4.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 생물지리학에서 평형설(equilibrium theory)은 섬의 면적과 본토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이입율과 절멸율의 작용에 의해 섬에 분포하고 있는 종 수가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한반도 부속도서에서 여러 생태학적인 요인들인 섬의 면적, 격리정도, 위도 및 섬의 최고 고도로 표시한 서식지 다양성과 나비의 종 수에 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71개의 섬에서 기록된 나비의 종 수와 이들 요인들 사이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4,000원
        6.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several plant resources (three varieties of Asimina triloba L., Momordica charantia L., Psidium guajava L. and Alium ampeloprasum L.) Methods and Results :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ssayed by five methods based o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cavenging of DPPH, ABTS and reducing power analysis. Total polyphenol contents was the highest in Psidium guajava and Mango, the varieties of Asimina triloba as the contents of 95.85, 95.81 ㎎/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Psidium guajava (54.3 ㎎/g).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 of all extracts was ranged from 10.5 - 85.8%, and significantry great activities was found at Psidium guajava leaf. Methanol extracts of Psidium guajava and Asimina triloba showed showed greater ABTS scavening activities compared to others. Reducing power of all extracts wa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Especially, the extracts of Psidium guajava and three varieties of Asimina triloba showed greater reducing power than that of other resource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were tested by paper disc assay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Antimicrobial activity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was shown relatively high activity against all investigated strain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be a new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with antioxidant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y.
        8.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남 순천지역 들판에서 채취한 수종의 국화과 식물의 항산화 능력을살펴보았다. Rancimat와 TBA 방법을 이용하여 국화과 식물 중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난 서양민들레, 조뱅이, 쑥을 선발하였다. 유지 산화안정도에 대한 실험에서 BHT와 ascorbic acid가 각각 3.86과 2.43 AI(Antioxidative Index)를 나타냈고 한련초 잎이 1.51 AI를 나타냈다. 이것은 서양민들레 잎이 유지산화안정도에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한편 건조된 분쇄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장기간의 산화 억제에 대한 TBA실험에서 저장 4주 째에 BHT, ascorbic acid가 각각 0.05와 0.09 TBARS치를 나타낸 반면, 서양민들레 잎은 0.12의 수치를 나타내 대조구 1.01 TBARS치 보다 월등히 낮은 수치를 보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서양민들레, 조뱅이, 쑥 등의 국화과 식물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 식물체들은 기존의 인공 항산화제에 대한 하나의 대체수단으로서 식물유래 천연 항산화제로의 개발 가능성 을 시사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