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목섬유 튜브 설계는 토목섬유와 충진재 간의 수리학적 양립성으로 충진압과 토질특성 및 토목섬유 특성, 설치되는 지반의 기초 특성 등과 같은 많은 요소에 의해 성능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하이브리드 토목섬유 튜브는 원주를 다양하게 토목섬유재질로 구성하여 배수성능과 충진능력을 최적화 할 수 있었다. 실험적으로 확인하고자 제작된 복합재질의 토목섬유백에 준설토를 충진시키는 스케일모델시험을 실시하였다. 제작된 4개의 토목섬유백을 활용한 실험을 통하여 보유성능과 충진시간 및 간극수압 등이 평가되었다. 최종적으로 토목섬유의 상호간 재질의 구성방법의 변화 및 원주면 길이의 변화 등으로 토목섬유의 성능을 최적화한 연구결과가 제시되었다.
      4,000원
      5.
      201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drainage-regulated type geotextile tube structure was proposed.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high permeability polypropylene(PP) and low permeability (PET) fabric in which the lengths of the fabric depend on the circumference ratio of the cross section.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pressure inside the geotextile tube structure during filling as much as possible.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textile tub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ermeability of the geotextile was also carried out. Experimental results of 4 small scaled geotextile tube structures showed that the bottom section formed as drainage type can reduce the filling pressure as well as increase the sedimentation height which confirms as the optimum cross section of the tube.
      3,000원
      6.
      2017.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otextile tubes are excellent design strategies for both shoreline protection and dewatering of fine materials. A difficulty with regard to designing geotextile tubes is the matching of the appropriate fabric with the site-specific infilled material and the unavailability of a test to determine the soil-geotextile consolidation properties. Existing methods simulate and predict the final tube shape based on the initial and final unit weights of the infill but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final shape or the compatibility of the infill are not being considered. This study proposes an improved hanging bag test to evaluate the compatibility of an infill with the geotextile fabric, and at the same time, to obtain the soil-geotextile consolidation properties. With the obtained consolidation properties, a big prototype simulation was possible, explaining the deformation behavior of the tube in the field. An analytical procedure used in modeling the tube was coupled with the large strain consolidation theory to simulate the filling and dewatering process.
      3,000원
      7.
      201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xperiment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dredged fills on flexible containers (scale model geotextile tubes).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geotextile strain. The model geotextile tube is made of woven geotextile material. Results showed that during the dewatering stage, the tube height decreases and the tube width increases. This increases the density of the confined fill material and the tensile reaction of the tube. The compaction effect on top of the geotextile tube decreases as the tube height reduces. On the other hand, the confinement effect at the sides of the geotextile tube increases as the tensile reaction intensifies. As a result, The geotextile strain increases as the value of the coefficient of lateral pressure is increased.
      3,000원
      8.
      201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2.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스팔트포장층내에 보강용 토목섬유를 설치하여 포장층의 응력-거동특성을 연구한 예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지오그리드와 유리섬유로 보강한 층의 응력-변형 특성을 연구하였다. 유리섬유와 지오그리드의 강성이 다른 두가지 종류를 사용하고 설치위치, 포장단면층의 두께 변화를 주어 아스팔트포장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포장층내에 발생하는 수직응력, 수직변위, 최대전단응력을 분석한 결과 수직응력, 수직변위 보다 최대전단응력을 크게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최대전단응력 감소효과가 약 15$\sim$20% 정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강재의 탄성계수가 큰 유리섬유가 가장 효과가 좋으며 깊이 3cm$\sim$5cm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13.
      200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스팔트포장층내에 보강용 토목섬유를 설치하여 포장층의 응력-거동특성을 연구한 예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지오그리드와 유리섬유로 보강한 층의 응력-변형 특성을 연구하였다. 유리섬유와 지오그리드의 강성이 다른 두가지 종류를 사용하고 설치위치, 포장단면층의 두께 변화를 주어 아스팔트포장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포장층내에 발생하는 수직응력, 수직변위, 최대전단응력을 분석한 결과 수직응력, 수직변위 보다 최대전단응력을 크게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최대전단응력 감소효과가 약 15~20% 정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강재의 탄성계수가 큰 유리섬유가 가장 효과가 좋으며 깊이 3cm~5cm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1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s tensile strength and percentage extension of the four kinds reinforcement type for the development of continuous pavement technology road joints using geosynthetic reinforcement was to choose the best geosynthetic reinforcement to satisfied the target reference value.
      1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osynthetics have been widely applied in waste landfill site for reinforcement, filtration, drainage, protection, and separation. Geosynthetics inevitably contact soil particle directly, composing a geosynthetic-soil interface corresponding to external conditions. In this study, particularly, the effects of chemical aggressors on the geosynthetic-soil interface were investigated under cyclic shear loading, based on the experimental approach. The Multi-purpose Interface Apparatus (M-PIA) was newly manufactured and modified for better performance. The Disturbed State Concept (DSC) and disturbance function were introduced and employed to estimate shear stress degradat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study, quantitatively. New disturbance functions and parameters were mathematically evaluated. Microscopic observation by Focused Ion Beam (FIB) was utilized to clarify the reason of the variation of interface damage subjected to the chemical conditions. As a result, the variation of the cyclic shear behavior at the geosynthetic-soil interface was due to the different damage patterns of the soil particle surface. Furthermore, the numerical back-prediction based on the DSC parametric study of the cyclic shear stress-strain behavior was performed and verified the accuracy and applicability of the DSC parameters. Consequently, a general methodology to estimate the cyclic shear stress degradation of geosynthetic-soil interface considering chemical effects has been established and verified.
      18.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의파고별, 지오 튜브의 채움비, 지오 튜브 천단고의 변화에 따라 지오 튜브의 안정 및 소파성능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축척은 1/50로 하여 조파 수로내에 모형을 설치하였다. 안정성 시험은 유의파고를 재현하여 지오 튜브의 변위를 계측하여 검토하였다. 지오 튜브의 각 부분의 변위량을 관찰하기 위하여 바닥에 메쉬를 설치하여 계측하였으며 지오 튜브 상부에 기준선을 표시하고 10cm 간격으로 초기 위치점을 설정하여 계측하였다. 소파성능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