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Korean landrace crops, including 4 rice and 3 legume varieties, before and after cooking. The study aimed to provide fundamental nutritional data for these traditional crops, valuable for dietary planning and product development in the food industry. The results showed that cooking significantly affected most nutrients, except some minerals and vitamins. the nutritional content of the landrace crops was generally similar to common varieties, with some notable differences. Jaepat had higher carbohydrate content than common red beans. Most landrace crops showed higher phosphorus levels compared to common varieties, except Seonbijabi-kong. Potassium content was notably higher in all landrace rice varieties. Regarding vitamins, beta-carotene was not detected in landrace rice, and vitamin B1 and B3 levels were lower in landrace crops. However, Geomeunkkae-ssal-byeo had the highest vitamin E content among landrace rice varietie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nutritional data on Korean landrace crops, which can be used to promote the consumption and preservation of these genetic resources.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obtained nutritional information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meal planning by consumers and food service facilities, as well as for product development in the food industry.
강화도, 울릉도 및 제주도 일원에서 2008년 11월 28일부터 동년 12월 31일까지 5회에 걸쳐 수집단이 작물 토종 유전자원을 탐색 수집한 결과 총 60작물 460점을 수집하였다. 강화도에서는 43작물 295점을 수집하였으며, 울릉도에서는 24작물 49점을 수집 하였고, 제주도에서는 42작물 116점을 수집하였다. 전체 수집한 작물 토종중 식량자원은 14작물 252점(54.8%)이었고, 원예작물이 117점(25.4%)이었으며, 특용작물은 91점(19.8%) 이였다. 식량작물 토종수집 결과는 3개도 공히 콩, 강낭콩 등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옥수수, 수수가 많았다. 강화도에서 수집한 분홍감자와 울릉도의 울릉감자는 소멸직전의 귀한 작물 토종이었다. 원예작물 토종 수집결과 호박, 시금치, 갓, 오이, 상추 순으로 많았다. 강화의 긴호박, 토종오이, 시금치와 울릉도의 오이, 호박 및 제주도의 무, 얼갈이 배추, 고추 등은 오래 재배하여 온 가치 높은 토종자원들 이었다. 특용작물 토종 수집결과 참깨, 들깨, 박, 피마자 등이 많이 수집되었으며 제주도와 강화도에서 수집한 댑싸리는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유용한 자원들이다. 수집된 작물 토종의 농가재배 년 수는 대체로 31-50년(작목별로 48.4~53.6%)이 가장 많았다. 대를 물려서 재배 하여 온 토종작물도 13.1~18.7%였다. 농가에서 작물토종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분양해준 농부들은 여자가 82.9%로 남자 17.1%에 비하여 훨씬 많았으며, 씨앗은 61~80세(74.3%)의 여성들의 손에 의하여 보존되어 왔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