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ditional quality control for manufacturing or service sector is not suitable for the quality control of a project as the project is one-time task constrained by time, cost, and quality. To meet the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s’ requirements, quality
        4,000원
        3.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생활에 기반이 되는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유아와 교사에게 주는 의미를 분석하여 과학교육의 실천적 방향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자와 교사가 협력하여 D시에 위치한 공립단설유치원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수업녹화영상, 수업일지, 연구일지, 교사 저널을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이 유아에게 주는 의미는 ‘공동의 관심사 탄생’,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과학적 탐구’, ‘지켜주고 싶은 자연’으로 범주화 되었다.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이 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생활과 교육과정의 통합’, ‘지속적 탐구와 몰입을 이끄는 과학적 탐구과정’,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확장된 과학적 탐구’로 범주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생활을 기반으로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와 지역 자연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교사는 의미 있는 과학교육의 실천을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4.
        2017.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벽화」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북 J유치원 만5세 유아 24명을 실험집단으로, H유치원 만5세 유아 24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2016년 4월 25일부터 6월 24일까지 9주간 연구자와 교사가 함께 관련문헌과 유아특성 및 상황을 고려하여 계획한「벽화」프로젝트의 각 단계 별 활동을 매주 3-4회를 기준으로, 유아의 흥미와 몰입 정도 및 유치원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하였다. 비교 집단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생활주제 중심 미술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그리기표상능력 검사」(지성애, 김희정, 김치곤, 2011)와 「친사회적 행동 검사」(이원영, 박찬옥, 노영희, 1993) 결과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치원에서의「벽화」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적용한「벽화」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5.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돈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성취와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으로, 20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총 5주 동안 ‘돈’을 주제로 프로젝트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돈 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수학성취와 구매행동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적 접근 방법인 돈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성취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