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data derived from Selected Ion Flow Tube-Mass Spectrometers (SIFT-MS) measurements. In the previous study, the measurement reliability was validated using simultaneous measurements by SIFT-MS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S-MS), but in order to ensure more accuracy, and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diluting standard gases (2 ppm) consisting of 10 types of VOCs mainly measured in industrial complexes (concentrations ranged from 0 to 500 ppb). As a result of 2 experiments, the SIFT-MS showed linearity and produced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over 0.99 for all cases. SIFT-MS has secured high measurement reliability, and it is considered to be able to efficiently manage VOCs emitted in industrial complexes.
        4,000원
        2.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residual pesticide levels in agricultural products contained in Meal-kits, 27 Meal-kit products were collected from marts, Meal-kit shops, and online stores in Incheon City, South Korea. Seventy-six vegetable and thirty-seven mushroom products were analyzed for residual levels of 339 pesticides.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23 out of 76 vegetables and were not present in the 37 mushroom products. The residual pesticide detection rate was 20.4% (23/ 113 cases). The pesticides famoxadone 0.034 mg/kg (standard: 0.01 mg/kg or less, PLS) and fenpyroximate 0.302 mg/kg (standard: 0.01 mg/kg or less, PLS) exceeded their maximum residue levels (MRL). This survey revealed that various types of pesticides remain in agricultural products in Meal-kits. Due to the nature of Meal-kit products, there is no separate standard for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s necessary.
        4,000원
        3.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생활에 기반이 되는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유아와 교사에게 주는 의미를 분석하여 과학교육의 실천적 방향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자와 교사가 협력하여 D시에 위치한 공립단설유치원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수업녹화영상, 수업일지, 연구일지, 교사 저널을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이 유아에게 주는 의미는 ‘공동의 관심사 탄생’,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과학적 탐구’, ‘지켜주고 싶은 자연’으로 범주화 되었다.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이 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생활과 교육과정의 통합’, ‘지속적 탐구와 몰입을 이끄는 과학적 탐구과정’,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확장된 과학적 탐구’로 범주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생활을 기반으로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와 지역 자연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교사는 의미 있는 과학교육의 실천을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storytelling project for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rural tourism. So, in this study, the current Jeju Batdam and storytelling planning are examined and the storytelling project presented in planning is also examined. And this study propose the storytelling implementation through the case study related in jeju. Its findings are as follws: 1) Storytelling exhibits principles of narrative structure(exposition, complication, climax and falling action) in various fact, and has shown tendency to structuralize a story. 2) It can be said that storytelling is deeply related with people’s associations of their inner mind. 3) In order to convey a story in a more convincing way, storytelling a naming strategy based on a rhetorical technique, which has been shown to positively influence creating unique Jeju Batdam area.
        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재난관리적 측면에서 문화재 및 재난 유형을 체계화하고, 분석항목 및 위험도 평가의 기준을 설정, 경상북도 소재 국가지정문화재를 대상으로 개별 문화재의 재난관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검토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예방과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화재의 유형을 조성주체에 따라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으로 구분하고, 이를 이동성을 기준으로 부동산문화재와 동산문화재로 각각 구분함으로써 재난상황에 대한 긴급 대피의 용이성 및 도난 위험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분류하는 한편, 재난유형을 조사대상문화재에 미칠 수 있는 주요 재난상황을 고려하여 총 6가지(화재, 풍수해, 지진, 낙뢰, 병충해, 도난 및 훼손)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로 인해 문화재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인자를 크게 외부요인(위협요인)과 내부요인(취약요인)으로 나누어 각 재난단계(재난원인, 재난유형, 재난피해)에 따라 미칠 수 있는 강점(보완)요인과 약점(위험)요인에 대해 세부적으로 규정하고, 이를 기초로 현황점검 및 개선대책을 도출하였다.
        6.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재난관리시스템의 고도화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특히, 문화재는 상대적으로 희소적 가치를 가지고 있고 재난에 대한 취약성이 높은 자산으로서,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효과적인 문화재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문화재 재난관리 관련 기초정보가 요구되는데, 이에 대한 체계화가 미흡하고 정보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재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을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관련 연구 및 정책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주요 사례를 중심으로 시사점을 고찰하여 시스템 구축의 당위성을 검토하는 한편, 현황진단을 통해 시스템 구축의 기본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