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agnostic evaluation tool that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academic performance level i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he diagnostic evaluation diagnoses the academic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foreign undergraduates, and provides the diagnosis results to foreign undergraduates, professors, and university institutions so that teaching activities can be conducted efficiently.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he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tic Test for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as suitable as a test tool for diagnosing to diagnose the academic achievment of foreign undergraduates. This diagnostic test is a diagnostic tool designed for Korean students in Korea, and it not only continuously verifies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but also includes background knowledge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re basically acquiring. To prove that the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tic Test' is suitable as a diagnostic evaluation tool for foreign undergraduates, the correlation with th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evaluation wa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diagnostic evaluation and other item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hen the diagnostic evaluation score was good,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TOPIC level was also high. This result proves that the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tic test tool is very suitable as a diagnostic evaluation tool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lso,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s and the TOPIK test showed a very significant and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t-test, and the higher the TOPIK grade, the higher the score of the pre‐test.
        6,400원
        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군사관후보생(ROTC)의 신체활동 참여습관, 체력수준, 학업성취능력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J 대학교에 재학중인 71명의 학군사관후보생을 선발하였 다. 신체활동 참여습관은 국제신체활동설문지(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를 이용하 여 조사하였고, 체력수준은 건강관련 체력평가로 측정하였다. 학업성취능력은 해당 학군단 장의 승인을 받은 대학성적자료(GPA)를 참가자 동의하에 수집하여 각각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신체활동 참여습관, 체력수준, 대학학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체력수준별 학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체 활동 참여습관과 학업성취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주요 과목과 총체력점수, 심폐체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 가 나타났다. 체력 수준별로는 체력이 높은 그룹의 ROTC가 낮은 체력 그룹의 ROTC보다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능력을 보였다. 또한 낮은 체력수준의 ROTC 그룹은 높은 체력수준의 ROTC에 비해 학업성취능력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력수준이 높은 ROTC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자율적이지만 체계적 인 체력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ROTC의 체력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미래 장교를 양성할 것을 제 안한다.
        4,300원
        3.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ports a survey done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Facebook, WhatsApp, Twitter and Youtube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n Osun State secondary schools. The study adopted the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population of the study comprised all 7,767 teachers in Osun State secondary schools. The sample of 385 teachers was randomly selected. Two self-designed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Pearson Product Movement Correlation Statistics (PPMCS) at 0.05 level of significant.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use of Facebook (r = 0.692, df = 2071 & p<0.05), WhatsApp (r = 0.615, df = 2071 & p<0.05), Twitter (r = 0.542, df = 2071 & p<0.05), and Youtube (r = 0.461, df = 2071 & p<0.05)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of Osun State secondary schools. The study concluded that that the use of Facebook, WhatsApp, Twitter and Youtube among teachers and students had positive contributions to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of Osun State secondary schools. The findings implicate that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Osun State secondary schools and Nigeria at large should admire the use of social medial such as Facebook WhatsApp, Twitter and Youtube as an interactive forum fo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4,000원
        4.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ingle parenthood on adolescents’ academic performance in secondary schools in Owode Local Government Area of Mowe, Ogun State, Nigeria. In this study, relevant and extensive literatures were reviewed under relevant sub-headings. The descriptive research survey was used to assess the respondents’ opinions using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130 (one hundred and thirty) respondents were selected through simple random technique and used as samples to represent the population of the study. A total of three (3) null hypotheses were formulated and tested in this study. Also, the independent t-test statistical tool was used to test and analyse the null hypotheses at 0.05 level of significance. The three hypotheses were tested and accepted to have significant importance on adolescents’ academic performance.
        4,9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problem-base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efficacy,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a group of nursing students using the pretest-posttest test design. Second year pediatric nursing students studying the practical subject Integrated Simulation at S University in K region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using a problem-base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o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 = -5.795, p < .001)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t = -3.835, p = <.001) than befo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efficacy score(t=-.217, p=.829).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lessons with various methods and content should be developed to –evaluate both theoretical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tandard evaluation.
        4,200원
        6.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size and students’ participation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Nigeria.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mprised all the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Mainland Local Government Area, Lagos State. The study adopted descriptive survey design and random sampling technique was used in arriving at the selection of two hundred and seventy (270) students and thirty (30) teachers among the population of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Mainland Local Government Area in Lagos State, which formed the sample of this study. Specifically, students and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ix Senior Secondary schools in Mainland Local Government in Lagos State. Forty five (45)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five (5) teachers were randomly sampled from each school. Two self- developed, structured and validated questionnaires (students’ questionnaire and teachers’ questionnaire) of 15 items for teachers’ questionnaire and 18 items for students’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information from the students and teachers after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determin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simple percentage whil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statistical tool was used for hypothesis testing at 0.05 levels of significance.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lass size and academic performanc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their academics performance in secondary schools. There is no significanc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ption of class size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There is no significanc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class size and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4,800원
        7.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prove motivat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education as a way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cause to apply a improve Scoring system to determin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seeing that purpose. To this end, the third year of
        4,300원
        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subsequent outputs of the research activity. Usually, there is som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roduction of research outputs, such as academic papers and application or registration of pate
        4,000원
        9.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학업능력, 사회적 유능감과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적응,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기 변인이 취학 이후 학교적응과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와 8차 자료를 토대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학업능력, 사회적 유능감과 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동의 학교적응, 학업수행능력은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주요 변인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에는 유아의 학교준비도가 가장 큰 영향을 주며 학업능력, 사회적 유능감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에는 유아의 학업능력이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사회적 유능감, 학교준비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과 학업수행능력 향상 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초등학교 준비, 유·초 연계 교육과정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검증하고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의 전형요소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016~2017학년도 대구 지역 A 특성화고 입학생을 대상으로 입학전형별(취업희망자 특별전형, 일반전형, 기타특별전형)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의 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간의 상관 관계를 비교·분석하고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의 전형요소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차기년도 입학전형에서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의 전형요소를 보완하거나 새롭게 개발할 때,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 결과,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일반전 형, 취업희망자 특별전형-기타특별전형, 일반전형-기타특별전형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다. 게다가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일반전형과 기타특별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의 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는 입학년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2016학년도 입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출결성적과 직업기초능력평가에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과성적과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2017학년도 입학생의 학업성취도는 교과성적과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업기초능력 평가와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의 전형요소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2016~2017학년도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의 전형요소들은 학업성취도에 대해 각각 26.4%, 22.3%의 설명력을 보였다. 전형요소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 보니, 2016 학년도에는 교과성적(β =.338)이 제일 크고, 그 다음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β =.180), 출결성적(β =.154) 순이었다. 2017학년도에는 직업기초능력평가(β =.338)가 교과성적(β =.257) 보다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1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 국가의 다문화사회 친화적 교육과정 정책의 제도화가 민족․언어적 소수자 학생에게 실제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TIMSS 2011의 8학년 수학 자료를 분석하였고, 31개 국가 154,169명의 학생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각 국가 내 위계선형모형과 국가 간 회귀모형을 결합한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다문화사회 친화적 교육과정 정책의 제도화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민족·언어적 소수자 학생의 학업흥미 및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경향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전 세계적인 교육개혁의 흐름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다문화사회 친화적 교육과정이 실제로 민족·언어적 소수자 학생의 학교생활에 일정부분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2.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운동선수의 학업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적용과 그 효과를 탐색하고,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운영방안과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고려대학교 1학년 운동부 선수 60명(남자 55명, 여자 5명)이 참여하여 스포츠 학습환경과 운동선수 만족, 수업참여 의도 검사지와 개방형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대응표본 t-검증, 귀납적 내용분석이 이용되었다. 측정변인별 두 측정시점 간의 평균 차이를 검증한 결과, 스포츠 학습환경에서는 자기관여와 실수, 코치-선수의 의사소통, 노력/규칙 및 관계 요인, 운동선수의 만족에서는 예산과 학업적 지원, 그리고 수업참여 의도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혜택은 지식과 사고, 대인관계 및 진로탐색 기회 제공, 수업참여 방행요인은 피로, 수업분위기, 연습과 경기출전, 효과적인 학사운영을 위한 개선사항은 수업환경, 교육과정 확대, 수업내용과 과제, 수업시간과 관리, 그리고 학업적 지원 시스템은 전담교수제 도입, 학업/진로 상담실 및 수업불참자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