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체원은 고려 후기 화엄교단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승려로 신라 의상 (義相)의 「백화도량발원문」이 그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통해 세상에 알려 졌다. 간략한 해석이라는 뜻의 『약해(略解)』는 「백화도량발원문」의 주석서로 체원의 해설을 통해 의상의 관음신앙을 살펴볼 수 있으며, 체원이 어떻게 이해 하고 풀어내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발원문에 대한 체원의 이해에도 접근할 수 있다. 『약해』는 총 20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서론과 본론으로 나눌 수 있다. 체원은 서론에서는 최치원의 「의상본전(義相本傳)」을 인용하여 의상 의 전기(傳記)를 소개하였고, 본론에서는 「백화도량발원문」이라는 제목과 본문 을 해설하였다. 이 글에서는 제목과 본문에서 귀의에 해당하는 발원문의 앞부 분을 살펴볼 것이다. 발원문에서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관세음보살의 주처 (住處)인 ‘백화도량’을 발원자가 귀의하는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의상(義相)은 관 음(觀音)의 대원경지와(大圓鏡智)와 제자의 성정본각(性靜本覺)을 먼저 관(觀) 함으로써 성인과 범부가 비록 의보(依報)와 정보(正報)는 같지 않지만 하나의 대원경(大圓鏡)을 벗어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때의 관(觀)은 관하는 주체의 지혜로서 망상과 집착을 여의고 허공과 같이 청정하여 걸림이 없는 경지로 ‘지 (止)’의 실천을 포함한 지혜이다. 이러한 진관(眞觀)으로 관(觀)하면 관음의 대 원경지와 제자의 성정본각은 성기법성(性起法性)이어서 서로 통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승[관음]과 제자[의상]는 각자의 자리를 움직이지 않고서도 융섭하여 하나가 되므로 귀의의 대상과 귀의의 주체라고 할 것도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체원이 바라본 관음은 백화도량에서 머물며 대비행 법문을 설해 중생을 구제하고 보살도를 행하는 분이 아니다. 발원을 하는 범부인 제자 또한 관음과 다르지 않은 것이다.
        7,8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관음의 눈을 중심으로 그 치유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자가 특히 관음의 눈에 주목한 이유는, 상담자가 지녀야 할 안목이 관음의 눈과 같아 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총 2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관음의 눈의 의미’에서는 『법 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의 게송을 중심으로 관음의 눈의 의미에 관하여 서술 하였다. 관음의 눈은 중생들의 모든 어려움을 소리로 듣고 ‘관’할 수 있는 지혜 와 자비의 눈이며 대중의 모든 소리를 관찰하고 그 마음을 어루만지는 ‘치유의’ 역할을 하는 눈임을 피력하였다. 3장에서는 상담자로서 관음의 눈에 대하여 이 야기하였다. 상담자가에게 필요한 눈은 내담자에 대한 공감의 눈과 상담을 잘 이끌어나갈 수 있는 지혜의 눈이라고 할 수 있다. 관음의 오관(五觀)에서 지혜 관은 상담자의 안목으로, 자관과 비관, 곧 자비관은 공감의 마음으로 이해하였 다. 이러한 관음의 눈을 갖추기 위한 방법으로는 자비명상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6,600원
        3.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능엄경』의 이근원통과 『법화경』의 보문시현의 수행체계 와 사상적 구조를 통하여 관음사상을 비교하는 것이다. 『능엄경』의 「관세음보 살 이근원통장」에서는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을 통하여 문성(聞性)을 관조(觀 照)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문성을 관조하는 것은 망심(妄心)을 유발하는 모든 경계를 해제하는 반문자성(反問自性)의 방법이다. 반문자성은 생멸심(生滅心)에 의지하지 않으며 육결(六結)의 단계를 거쳐 생사와 번뇌의 근본을 풀어가는 수 행의 원칙을 충실하게 따르는 것이다. 『능엄경』에서 요구하는 수행의 원칙은 수행의 시작과 목적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두 가지 결정의(決定義)로서 인지(因 地)와 과지(果地)를 일치시키되 문제의 근본에서 해탈의 열쇠를 찾는다. 『법화경』의 「관세음보살 보문품」에서는 세존이 무진의보살에게 관세음보살 의 보문시현과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묘용을 상세히 설하고 있다. 중생이 모두 고뇌에 빠졌을 때 관세음보살의 명성을 듣고 일심으로 그 명호를 부른다면 관 세음보살은 곧 그 소리를 관하고 모두를 해탈케 한다고 하였다. 관세음이라는 명호는 전생의 본원과 인지(因地)에서 자기극복을 수증하는 자리(自利)의 공부 로만 성립된 것은 아니다. 과지(果地)에서 전적으로 남을 이롭게 한 공덕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耳根圓通)의 반문문자성 (反聞聞自性)과 일심칭명(一心稱名)의 필경지(畢竟知), 자리(自利)와 이타(利他) 의 방편의 관점에서 『능엄경』과 『법화경』에서 드러나는 관음사상의 양상을 비 교하고자 하였다.
        7,000원
        4.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밀교의 신변사상과 관음신앙이 결합하여 어떻게 의례화되었 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동시에 관음이 신변사상(神變思想) 과 결합하여 진언문(眞言門)을 형성하게 된다는 역사적 연속성을 고찰한 것이다. 부파불교시대에 정립된 석가모니불의 전생 보살에 대한 관점은 대승불교의 성립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불교사의 전개는 대승 보 살의 서원을 실현하기 위한 수행을 구체화하는 쪽으로 큰 줄기를 형성함 을 보여준다. 대승 보살이 내생에 다시 사바세계에 태어나기 위해서는 상 당한 수행을 갖추어야 하는데 보살 수행의 단계를 결정한 보살지의 설정 은 제8지 보살에 이르러 비로소 보살의 원력 실현이 가능하다는 이론을 제시한다. 보살의 원력은 중생세간에 태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중생을 구 제하기 위한 높은 능력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바람은 법화경 「보문품」에서 보이듯 관세음보살의 33응신으로 나타난다. 나아가 천수 경에서는 대비주(大悲呪)의 시설과 함께 보살의 원력에 대해 성불하고 난 후 신변을 통해 중생을 구제하는 발원으로 구체화된다. 보살사상의 발 전은 대승불교의 불신론(佛身論)을 자극하여 열반법신을 성취한 불신은 열반의 경계에 머물지 않고 중생을 구제하는 응신(應身)을 구족하는 이신 론(二身論)이 등장하고 이어 정토불의 보신과 함께 법신・보신・화신의 삼신론으로 구체화된다. 대승불교사상의 발전은 사바세계에 태어나는 부 처의 존재에 대해 중생구제를 위해 의도적으로 왕자로 태어나 12두타행 을 선보이는 화신설을 가정하게 된다. 이어 중생계를 열반세계로 향수하 여 중생을 구제하는 부처의 신변사상이 등장하고 7세기 대일경(大日 經)의 성립을 계기로 법신 비로자나여래가 중생계를 전전하며 중생을 구 제하는 일체지지(一切智智)와 신변사상(神變思想)으로 구체화되며 석존시 대의 부정관(不淨觀)과 사념처(四念處) 수행에서 비롯된 관상(觀想)과 소 연(所然)을 활용한 진언문의 유가행으로 구체화된다.
        6,600원
        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묘법연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드러난 보살 사상 및 그 전개가 칼 융의 분석 심리학에 나타난 ‘자기’(the Self) 의 부분이자 상징이라 고 할 수 있는 개성화를 이룬 인간 및 개성화의 과정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가 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분석 심리학에서 인간은 자아에서 시작하 여 자기로의 여정을 거치는데, 이 자기(Self) 및 개성화를 이룬 인간의 특성을 살펴보면 이 특성은 대승 불교 경전의 여러 곳에서 등장하는 보살의 특징 및 행법과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는 그 중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나타난 관세음보살은 ‘자기(Self)’의 외현적 상징으로, 사바 세계를 노닐며 중 생을 돕는 과정은 자아의 개성화 과정과 유사하다는 관점에서 둘을 비교 고찰 하려 한다. 분석 심리학에서 개성화를 이룬 인물은 몇 가지 특징을 갖는데, 그 림자를 이해하고, 정신적 영역의 여성성과 남성성인 아니마 아니무스가 잘 분 화되어 통합을 이루고 있으며 집단 무의식에 열려있어 사람의 행동을 잘 이해 하고 깊은 연민을 느끼며 성격의 어느 한 측면이나 태도, 원형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황에 따라 페르조나를 잘 사용하지만 이는 사회적 편의 때문이 지 자신의 본성(Self)과 헷갈리지 않는다. 「관세음보살보문품」의 관음은 그 경 전의 이름과 같이 모든 중생의 소리를 듣고(觀音) 지혜로서 그곳에 나투며 (普 門) 그들을 도우나 도운 것에 집착하지 않는다. 근기 마다 그 근기에 맞게 나투 지만 그것은 방편일 뿐 본성에는 물듦이 없다. 열반 해탈과 중생의 경계선에 있어 중생을 향하여 돌아보나 돌아가지는 않는다. 이렇듯 관세음보살의 행법 은 분석심리학의 개성화된 인간이 가지는 특징과 깊은 유사성을 보이며, 분석 심리학자들은 관세음보살을 불성(佛聖)이라고 하는 ‘자기(Self)’ 의 외현 이며 높은 수준의 아니마로 바라보기도 한다. 더하여 본 논문은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나타난 개성화의 상징들을 고찰 하고자 한다. 보문품의 큰 흐름이 원형과 그림자의 만남, 페르조나의 상실, 아 니마 아니무스의 만남, 페르조나의 사용 및 자기(Self)로의 회귀와 다르지 않다 는 관점에서 둘을 비교하려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관세음보살을 신앙 적 가치를 넘어선 심리학적 가치를 가진 정신적 도착지로서 그 개념을 확장하 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7,000원
        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의 자비 심과 그 심리치유적 요인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관세음(觀世音)’은 세상 의 소리, 곧 중생의 소리를 관(觀)한다는 의미로서 ‘관한다’는 것은 단지 보는 것이 아니라 ‘보살핌’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관세음보살은 중생이 호소하 는 고통을 보고 듣고 보살피는 구원자로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중생의 다양한 재난을 상징하는 ‘칠난(七難)’을 실제적인 재 난이 아닌 심리적인 괴로움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심리적인 재난 상황에 처한 중생들이 관세음보살을 칭념하고 의지하면 관세음보살과 감응하게 되 고, 보살의 자비로운 원력의 작용으로 심리적인 안정을 얻게 된다고 보았다. 천태지의는 관세음의 관(觀)을 ‘관조(觀照)’의 의미로 이해하여, 관세음보 살이 단순히 중생들의 소리를 듣고 그 소리에 따라 감응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인 내가, 대상인 무엇을 관조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천태지의의 해석에 따라 관세음보살은 외재적 초월자가 아니라 내면을 관조 하는 수행자 자신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끝으로 자비의 개념을 심리치유에 적용하여 심리치료 프로그램으로 활용 되는 ‘자비명상’의 방법과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관세음보살의 자비가 심리치 료에 실천적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6,400원
        7.
        2019.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말선초 관음보살상 중에는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취하는 좌법으로 알려진 윤왕좌(輪 王坐, Maharaja-lila 또는 Rājalilāsana)를 취하고 있는 조각이 다수 확인된다. 기존의 불교조각사에서 제작된 바 없는 작례로서 활발한 대외교섭을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고려 시대 관음신앙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다. 윤왕좌를 취하고 있는 관음보살상의 도 상을 살펴보면 보타락가산(補陀洛迦山)에 상주하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는데, 중국 송대 제작된 수월관음보살의 모습에서 그 원류를 확인할 수 있다. 윤왕좌를 취하고 있는 관음보살상의 양식적 특징은 여말선초 불교조각의 양식사적 흐름위에서 크게 벗어 나지 않는다. 통일신라 양식을 기반으로 외래양식을 적절히 수용한 전통양식과 원․명대의 독특한 티베트계 양식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제작경향을 살펴보면 소형의 호지불상(護持 佛象)이나 경상(鏡像)과 같은 휴대용 불교용구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어 독특하다. 이들은 제난구제(諸難救濟)나 안산(安産) 등 현세이익적인 원(願)이나 정토로 향하고 싶은 내세에 관 한 염원을 담을 수 있는 대상으로서 이를 성취하고자 하는 강한 마음의 발로라고 볼 수 있다.
        5,500원
        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먼저 관세음보살 명칭에 내포된 의미와 그의 신격(神格)을 살펴본 뒤, 『서유기』에 나타난 관세음보살의 이미지를 고찰함으로써 그 특징을 도출하고, 작품 속에 나타난 그의 역할과 의미를 고찰한 논문이다. 관세음보살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그녀는 엄숙하고 원융한 莊嚴像을 한 불교의 신이 아니라 예술적 가공을 통하여 인간화, 세속화, 통속화된 형상으로 재창조되어 소설 작품에 활기와 생기를 불어넣는 인물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관세음보살의 역할과 그 의미를 보면, 그녀는 취경단을 구성하고, 취경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깨닫도록 취경단원을 시험하며, 그들이 위기에 빠졌을 때 고난을 해결해 주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하여 관세음보살이 의도하는 바는 취경단원들을 단련시키고 각성시켜 그들 모두를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함으로써 그들의 정신적 경지를 높이는데 있다. 즉 취경단원들 전원이 불교의 핵심교의 ‘空性’을 깨달아 그들 모두가 圓融無碍(원만한)한 覺者가 되어 영원한 자유를 얻게 하는 것이 바로 그의 역할이다. 이처럼 취경단원들을 각성시켜 대해방, 대자유의 길로 인도하는 관세음보살은『서유기』의 스토리를 이끌어 갈 뿐 아니라 주제 구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물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손오공 일행의 心路歷程이 우리 정신세계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관세음보살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칼 융(C.G. JUNG)의 분석심리학 이론을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조명해 보고자 했다.
        5,100원
        9.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관음신앙에 대한 천태의 선적 이해를 분석해 정리한 것이다. 동북아 불교신앙의 중요한 형태 중의 하나인 관음신앙은 중국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수용되었다. 외재적이며 초월적 존재로 대중적 지지를 받았으며, 중국에 토착화하여 낭랑신앙이나 해신신앙으로 자리잡기도 했다. 그러나 천 태지의는 이러한 종교적 관념에 동의하지 않았다. 관음을 수행적으로 이해 하고자 했다. 관음을 천태신앙의 독특한 수행방식인 관법으로 이해하고자 한 것은 법 화경에 대한 그의 주석인 법화문구이며, 이 책의 「석관세음보살보문품」 에서 십쌍과 오척으로 관음보살을 해석하면서 특유의 관법에 의거한 관음보 살의 해석이 등장한다. 이들 중에서 본 논문은 오척을 중심으로 관법에 의 거한 관음보살의 해석을 분석해 정리하고자 한다. 「석관세음보살보문품」의 오척에선 관세음이란 단어를 축자적으로 한 글자 씩 해석하고 있으며, 이 경우 관이란 글자를 관법에 의거해 이해하고자 한 다. 즉, 석관(析觀), 체관(體觀), 차제관(次第觀), 원관(圓觀)이란 의미로 해 석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법은 결국 천태의 일심삼관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본고는 일심삼관의 구체적인 고찰을 통해 관세음의 관을 관법으로 해석하고 자 한 천태의 의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관세음의 관이란 글자를 일심삼관이란 관법의 수행으로 이해하고 자 한 근본적인 이유는, 일심삼관이란 수행이 마음의 번뇌 망상을 제거하는 것에서 출발해서 중생을 제도하는 일로 확장된다는 점이다. 또한 일심삼관 의 수행을 통해 현실에 매몰되지 않고, 현실과 본질의 세계가 실상의 세계 임을 인식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내용은 바로 ‘다양한 세상의 근기를 관찰하고 적절하게 응병여약(應病與藥)’하는 관세음의 속성과 형식적으로 상통하는 점이 있다. 결국 관음은 종교적 수행의 완성이며, 자기의지의 절대 적 실현을 의미한다. 따라서 천태는 관음을 객관화하지 않고, 주체적이며 자 기실현의 완결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7,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