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가열 닭고기 분쇄육의 제조 시 향신료의 첨가에 의한 세균의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닭가슴살 분 쇄육의 일반성분은 수분 72.98±0.15%, 조단백질 23.37±0.46%, 조지방 1.00±0.03%, 조회분 1.90±0.03%였다. 향신료 첨가 에 의한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는 로즈마리 > 마늘 > 겨 자 순이었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억제 효과가 커졌다. 닭고기 분쇄육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 증식 억제를 나타내 는 향신료의 최적 첨가 농도는 로즈마리 2%, 마늘 4%, 겨 자 1.2%였다. 일반세균 및 대장균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는 단독 및 혼합 첨가 시 저장기간 동안 기간별로 차이가 있었고, 저장 9일째 억제 효과는 MixA(97.4%) > 로즈마 리(96.9%) > MixB(96.3%) > 마늘(53.7%) > 겨자(33.3%) 순이었다. 닭고기 분쇄육에 살균마늘과 비살균마늘을 첨가 하여 비교했을 때 일반세균 수는 살균마늘 처리구가 비살 균마늘 처리구에 비해 초기 2.6-3.0 log CFU/g, 9일째 2.4- 3.2 log CFU/g 정도 낮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그 수 가 감소하였다. 비살균마늘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높은 일 반세균 수를 나타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대장균 수의 경우 살균마늘 처리구가 비 살균마늘 처리구에 비해 저장 0일째 0.4-1.0 log CFU/g, 9 일째 0.5-1.5 log CFU/g 정도 낮았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는 일반세균 수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적으로 로즈마리, 마늘, 겨자의 다양한 혼합적용에 의해 닭 고기 분쇄육 제품의 미생물적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4,000원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diverse group of plant-growth promoting bacteria were isolated in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media to investigate the plant-growth promoting traits of compounds including indole acetic acid (IAA), ammonia, 1-aminocyclopropane-1- carboxylic acid deaminase, siderophore, and hydrogen cyanide. Twenty-one bacterial strains showing positive effects for all the test trait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to confirm bacterial diversity in the media habitat. Plant-growth promoting traits of the isolates were also assessed. All strains produced IAA ranging from 20 μg/mL to 250 μg/mL. Most of the isolates produced more than 80% siderophore. Four strains (Pantoea sp., PSB-08, Bacillus sp., PSB-13, Pseudomonas sp., PSB-17, and Enterobacter sp., PSB-21) showed outstanding performances for all the tested traits. In a bioassay of these four strains using mung bean plant, the best growth performances (23.16 cm, 22.98 cm, 2.27 g/plant, and 1.83 g/plant for shoot length, root length, shoot dry weight, and root dry weight, respectively) were obtained from the plants co-inoculated with Bacillus sp., PSB-13. The resultant data indicate that button mushroom media have got a diverse group of bacteria with plant growth promoting abilities. Thus, the media could be a good recycling resource for using to an effective bio-fertilizer.
        4,000원
        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국 임의의 산양삼 재배지를 선정하여 재배 지 내의 토양 특성 및 토양세균군집을 분석하고, 토양이 화학적 특성, 토양세균군집 및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토양세균군집 분석은 pyrosequencing analysis (Illumina platform)를 이용하였고, 토양세균군집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는 Spearman’s rank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8개 산양삼 재배 지로부터 분리한 토양세균군집은 2개의 군집으로 군집화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든 토양샘플에서 Proteobacteria와 Alphaproteobacteria가 각각 35.4%, 24.4%로 가장 높은 상대적 빈도수를 보였다. 산양삼의 생육은 토양 pH가 낮고 Acidobacteria의 상대적 빈도수가 높은 토양에서 증가 하였으며, Acidobacteriia (class)와 Koribacteraceae (family)의 상대적 빈도수는 산양삼의 생육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토양세균군 집과 산양삼 생육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고, 나아가 산양삼 재배 이전에 산양삼의 생육에 유용한 토양세균군집을 확인할 수 있다면 산양삼 재배적지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양이화학성과 더불어 임상 및 주변식생에 따른 토양 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를 추 가로 수행한다면 보다 명확한 정보를 대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싹은 영양분이 풍부한 식품이다. 하지만 생산 과정에서 종피에 있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실험의 목적은 음이온 처리가 새싹의 생장과 살균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다. 음이온 처리는 4종류의 새싹의 생장과 살균효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대조구에 비해 음이온 처리한 적양배추와 케일 새싹의 배축길이는 약 1.26배 증가하였으며, 상추, 적양배추, 케일 유근의 길이는 1.4~1.6배 증가하였다. 모든 새싹의 생체중은 음이온 처리했을 때 대조구에 비해 16.0~38.5%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근의 활력 또한 음이온 처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음이온 처리된 상추, 적양배추, 다채 새싹의 일반 세균 수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41%, 66%, 19% 감소하였으며, 배수되는 물의 세균 수 또한 감소되었다. 결국 음이온처리는 새싹의 생장을 향상시켰으며, 동시에 살균하는데도 효과적이었다.
        4,000원
        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recombinant DNA technology, the vector system containing minimal fragment of a bacterial hemoglobin gene (vgb) was constructed. When this vector was inserted into Escherichia coli, the growth of the host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viable cell counts and absorbance measurement, compared to that of the wild type strain.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size of bacterial hemoglobin in the vector, the ability of vgb in growth improvement was augmented, due to the reduction of metabolic burden from the maintenance and replication of the plasmid. By using this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can be improved even in the hypoxic condition.
        4,000원
        8.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gh Voltage Pulsed Current Stimulation(HVPCS) and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ion(MENS) have been used to promote the healing of decubitus ulcer and surgical wounds. The benefits of HVPCS and MENS are thought to include an inhibitive effect on bacterial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nhibitive effect of two different electrical stimulation techniques growth in vitro. Using agarose-based media, the two bacterial species Staphylococcus aureus, Esherichia coli - which are commonly isolated from open wounds were incubated in an incubator for 24 hours following exposure to HVPCS(400 V, 120 pps, ) and MENS(, 0.3 Hz). We then measured the zone of inhibition around each electrode. Both HVPCS and MENS produced an inhibitive effect on bacterial growth in this vitro study. However MENS was more effective than HVPCS.
        4,300원
        9.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its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and estragole from Agastache rugosa O. Kuntze were tested to find the inhibiting effect on the growth of several microorganisms. The organisms used were: Escherichia coli ATCC 1129, Staphylococcus aureus 1AM 1011, Vibrio parahaemolyticus WP, Bacillus aubtilis ATCC 6633, Aspergillus oryzae KFCC 890, Aspergidlus niger KCCM 11240. Water and methanol extracts at the concentration of 0.5%, and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at the concentration of 0.05%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1/5 to 2/3 of the control group. Eatregole identified from the hexane fraction as a major component, its authentic compound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Vibrio parahaemolyticus completely at the concentration of 0.03%, and the other bacteria were at 0.05% .
        4,000원
        10.
        197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합성하고 이에다 를 작용시켜 cadmium pentachlorphenolxanthate(Cd-PCP-xanthate)를 항성 하였다. 2. 시료 I, II, III, IV 및 V를 합성하여 화학분석 한 결과 시료 V가 가장 순도가 높았으며, 이의 분석치는 Cd-PCP-xanthate와 Cd-PCP가 약 씩 함유된 것과 동일하다. 3. 시료 V를 가지고 수화제, 및 분제를 조제하였다. 4. 살균효과시험은 수도의 깨씨무늬병균과 도열병균에 대하여 분생포자 발아 억제시험 및 균사신장억제 시험을 한 결과 포자발아억제효과는 10∼20ppm에서 유효하였고 균사억제효과는 분제 30초 부착구에서 Ceresan 석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5. 수도에 대한 약해 시험결과는 약해를 볼 수없었다.
        4,000원
        11.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bacteria and Microcystis isolated from a hypertrophic reservoir(Seo-Nakdong River), the response of five bacteria in relation to the different treatment of Microcystis and microcystin production by addition of dominant bacteria Staphylococcus sciuri were examined. Five bacteria (S. sciuri, S. capitis, S. epidermis, Pseudomonas aeruginosa and Aeromonas almonicida) were identified from the reservoir. In the experiment of bacterial response, two types of bacterial growth pattern were observed. All bacteria showed active growth in heated Microcystis-added media. Especially, three species of bacteria (S. sciuri, S. capitis and P. aeruginosa) among them showed active growth in live Microcystis-added media. In Microcystis response, increase of microcystin production showed when dominant bacteria, S. sciuri was ad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