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알리아(Dahlia pinnata Cav.)는 멕시코 아즈텍인들이 식용으로 재배하여 꽃잎은 샐러드로, 뿌 리는 식용이나 약재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 화훼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식용이나 약재로서 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알리아 꽃을 차로 제조하여 다양한 침출 조건과 제다법을 사 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성분 함량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al 소거 활성으로 평 가하였으며, 생리활성 성분은 총 폴리페놀 함량(TPC)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TFC)을 분석하였다. 건조된 다알리아 꽃차는 90℃에서 침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적절한 침출 시 간은 8분, 침출 횟수는 3회가 적합하였다. 다양한 제다 방법 중에서 증제법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 였으며, 그 다음으로 생화, 건조, 덖기 순으로 나타났다. 증제된 다알리아 꽃차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 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0.9 mg/g과 80.6 mg/g으로 건조된 녹차와 비교했을 때 폴리페놀 함량은 낮지만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3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알리아 꽃이 우수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 고 있으며, 항산화제로서 식품 및 의약품, 화장품 등에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4,200원
        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해삼속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용매분획의 수율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미 보고된 사례에서 50%에탄올 추출 용매분획은 해삼 항산화 물질의 높은 수율 결과로 확인되었다. 해삼의 항산화물질 추출량을 결정짓는 것은 추출에 적용된 추출용 매분획의 결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추출용매에 따라 해삼생리활성 항산화물질 추출함량이 크게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를 통해 용매분획추출에 관한 필요성의 결과를 얻었다. 50%에탄올 추출 용매분획의 해삼추 출물에 포함된 페놀물질의 높은 항산화성분 추출 결과가 증명되었다. 추출용매분획 연구사례에서 수율이 가장 저조한 아세트산에틸 용매분획은 다른 용매분획에 비해 높은 페놀함량을 수확하여 항산화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에, 추출 용매분획물의 적용에 따른 수율변화를 통해 항산화추출물의 높은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50%에탄올 용매의 최적화된 해삼생리활성물질 추출 용매분획으로 검증되었다.
        4,000원
        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astrodia elata Blume (G. elata) is important medicinal resource in korea. Gastrodin and 4-hydroxybenzyl alcohol (4-HBA) are major active compounds of G. elata, and ρ-cresol is major cause of off-odor like pig slurry from G. elata. The off-odor can decrease the quality of fresh G. elata as well as its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traction temperature on bio-active and odorous compounds of G. elata extract. Methods and Results : G. elata was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t 0, 30, 60, and 90℃ for 20, 40, 60, and 120 min. Gastrodin and 4-HBA contents were analyzed by using a HPLC-UVD, and ρ-cresol content was analyzed by using a SPME-GC-MS. Gastrodin content increased as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in extract at 90℃. 4-HBA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at 60℃, and increased as increasing extraction time. Total content of gastrodin and 4-HBA was higher in extract from G. elata at 60℃ for 120 min than other extracts. ρ-Cresol content was varied according to extraction temperature, and was lower in extract at 30 and 60℃ than 0 and 90℃.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traction temperature can affect the bio-active components and off-odor of G. elata extract, and 60℃ is appropriate to improve the qualities including bio-active component and off-odor of G. elata extract and its products.
        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al extraction process and HPLC analysis method for the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as a part of the materials standard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food materials from Astragali radix. Five extraction conditions including the shaking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andthe reflux extraction at 85℃ with 30%, 50% and 95% ethanol were evaluated. Reflux extraction with 50% ethanol showedthe highest extraction yield as 27.27±2.27%, while the extraction under reflux with 95% ethanol showed significantly thelowest yield of 10.55±0.24%.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methods of calycosin-7-O-β-D-glucoside and calycosin asmarker compounds of Astragali radix extracts were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a Thermo Hypersil column(4.6×250㎜, 5㎛) with the gradient elution of water and acetonitrile as the mobile phase at the flow rate of 0.8mL min-¹and a detection wavelength of 230㎚. The HPLC/UV method was applied successfully to the quantification of two markercompounds in Astragali radix extracts after validation of the method with the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con-tents of calycosin-7-O-β-D-glucoside and calycosin in 50% ethanol extracts by reflux extr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s1,700.3±30.4 and 443.6±8.4㎍ g-1, respectively, comparing with those in other extra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flux extraction with 50% ethanol at 85℃ is optimal for the extraction of Astragali radix, and the established HPLCmethod are very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marker compounds in Astragali radix extracts to develop the health functionalmaterial from Astragali ra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