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pionate precursor (malate or fumarate)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produc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methane (CH₄) by rumen microbes when incubated with linoleic acid (C18:2) as a CLA precursor. Total CH₄ production for 12h incubation, however, was greatly reduced (P<0.0001) by all the supplement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and its production from M-LA or F-LA treatment was smaller than that from LA treatment. Supplementation of M-LA or F-LA also increased concentrations of cis9, trans11-CLA (P<0.039 - P<0.001) for all incubation times and trans10,cis 12-CLA at 1h (P<0.013), 3h(P<0.036) and 12h (P<0.025) incubation times compared to LA sup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unctional and valuable dairy product with high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 through a fermentation method utilizing vegetable oil and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Bifidobacterium breve KCTC 3419 was selected as a standard strain for high efficiency conversion of the CLA c9,t11. This standard strain was mixed in a definite ratio of 4:3:3 with Lactobacillus sakei LJ011 isolated from kimchi a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YF-L812 culture to generate a high-efficiency CLA conversion starter stock for use in fermented milk production. CLA conversion by safflower seed oil fermentation by the starter stock yielded the highest CLA containing fermented milk. The pH level, titratable acidity, and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fermented milk were altered to suitable levels during the fermented milk production process. The CLA content of CLA-fermented milk was maintained at 0.1% of the total CLA cont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2 weeks.
본 연구는 지방산 함량 및 배합사료와 조사료 비율을 기초로 한 유기농 사료 급여가 홀 스타인 착유우에서 생산된 원유의 CLA 및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연구를 조사하기 위한 목 적으로 실시하였다. 총 290두의 홀스타인 착유우를 산차 및 유량에 따라 3개 group으로 나 누었다. 대조구는 C16:00, C18:2 그리고 SFA를 높게 설계하였고, 처리구 1은 C18:1, C18:2 그리고 UFA 함량을 높게 설계하였으며 처리구 2는 MUFA, C18:3 그리고 PUFA 함량을 높 게 설계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농 원유 내 C16:0 함량은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 이유는 반추위 내 미생물의 de novo 생합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처리구 2의 C18:0 함량은 7.92%로 대조구(11.39%)와 처리구 1(10.88%)보 다 높았다(p<0.05). CLA 함량도 처리구 2가 처리구 1이나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p<0.05). 원유 내에서 검출된 대부분의 CLA는 착유우 유선조직내의 △9-desaturase에 의하여 합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n-3/n-6 비율도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착유우에게 혼합 목건초 등을 급여하면 CLA, n-3 농 도는 증가하며 C18:0 농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유기농 인증된 조사 료 및 농후사료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유기농 사료를 사용할 경우에만 원 유 내 CLA 및 n-3 농도는 증가한다고 볼 수 없다. 원유 내 고농도의 CLA 및 n-3 지방산 생 산을 위해서는 반추위 미생물 및 유선세포의 지방 대사를 통한 CLA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급여 사료 내 지방산 구성 등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