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reatment processes of drinking water, the use of disinfectants is essential for eliminating microorganisms and pathogenic viruses. Chlorine dioxide (ClO2)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disinfectants. To ensure its effective applic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and reactivity of ClO2 in drinking water treatment environments.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light type, fluorescence intensity, and water quality on its stability. We also examined its reactivity with activated carbon and other inorganic compounds such as coagulants and hypochlorous acid. Findings revealed that ClO2 stability was influenced by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Typically, ClO2 is highly volatile. However, the rate of its volatility is independent of its concentration. As temperature and fluorescent light intensity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ClO2 showed a rapid decline.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activated carbon significantly reduced ClO2 levels. In contrast, the reactivity of ClO2 with coagulants and hypochlorous acid was negligible. These findings provide essential insights for optimizing the use of ClO2 in drinking water treatment facilities.
        4,000원
        2.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different plasma agent species ( CF4, N2) over the conductivity of CFX cathode material were identified. Both plasma treatments have surface etching effect, while the CF4 plasma treatment has C–F bond modification effect and the N2 plasma treatment has defluorination effect. The changes of surface chemical species and porosity along the plasma agent were elucidated. Moreover,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lasma-treated CFX confirmed the effects of plasma treatments. The charge-transfer resistance of plasma-treated CFX was maximum 60.3% reduced than the pristine CFX. The effects of surface chemical modification coupled with etching along the plasma gas agents were compared and identified with their reaction mechanisms.
        4,000원
        3.
        202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manufactured a large angular contact ball bearing (LACBB) with low deformation using JIS-SUJ2 steel and analyzed changes in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upon heat treatment. The bearing was produced by hot forging and heat treatment including a quenching and tempering (Q/T) process, and its properties were analyzed using 4 mm thick specimens. A difference in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carbide in the outer and inner parts of the bearing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large and non-uniform carbide was distributed in the inner part of the bearing. After heat treatment, the hardness value of the outer part increased from 13.4 HRC to 61 HRC and the inner part increased from 8.0 HRC to 59.7 HRC. As a result of X-ray diffraction (XRD) measurements, the volume fraction of the retained austenite contained in the outer part was calculated to be 3.5~4.8 % and the inner part was calculated to be 3.6~5.0 %. The surfac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content of chemical bonds were quantified through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a decrease in C=C bonds and an increase in Fe-C bonds were confirmed.
        4,000원
        7.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재배지 고추를 가해하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를 대상으로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이용한 생물적 방 제가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대상 해충의 빠른 집단 성장은 화학 살충제의 투입이 때에 따라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화학 살충제와 천적의 이상적 종합 방제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성이 높은 살충제 선발 및 이들 살충제 처리 이후 미끌애꽃노린재의 안전한 재투입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첫째로 꽃노랑총채벌레에 방제 효과가 높은 상용 살충제가 선발되었다. 총 17종류의 상용 살충제 가운데 5종류(pyriproxyfen+ spinetoram, abamectin, spinosad, acetamiprid, chlorpyrifos) 주성분을 갖는 상용 살충제가 꽃노랑총채벌레에 우수한 방제효과를 주는 약제로 선발되었다. 이들 5종류의 살충제에 대해서 미끌애꽃노린재의 감수성 반응은 꽃노랑총채벌레와 상이하였다. 특별히 아바멕틴과 스피네토람이 유 기인계 또는 네오니코티노이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을 보였다. 이들 5종류의 살충제 처리 이후 잔류 독성을 미끌애꽃노린재를 이용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유기인계 및 네오니코티노이드 약제는 비교적 오랜 기간 독성을 유지하지만, 아바멕틴과 스피네토람 약제의 경우 3일 이후에는 대상 천적에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잔류독성결과는 LC-MS/MS를 이용한 농약 잔류량 화학분석을 통해 뒷받침되었다. 이상 의 결과는 높은 밀도로 증가한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이 해충에 살충성이 높은 아바멕틴 또는 스피네토람의 약제를 살포하고 이후 3일 지나 미 끌애꽃노린재의 투입을 통해 대상 해충의 평균 밀도를 경제적피해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는 종합방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4,000원
        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달래의 전처리 방법을 통해 미생물 저감과 품질 유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물리적인 처리로는 손 세척 1분, 버블 세척, Ultrasonication 처리를 50oC와 60oC의 온도에서 각각 1분, 3분, 5분 동안 세척하였고, 화학적 처리에서는 유기산인 푸마르산과 아세트산 용액 1.5%와 2% 농도에서 각각 1분, 3분, 5분 동안 침지 처리하였다. 미생물과 품질 분석 결과 물리적 처리에서는 버블 세척 3분이 곰팡이 저감에 효과적이었으나 일반세균 저감 효과는 적었고, Ultrasonication 60oC, 5분 처리에서 미생물 저감 효과가 가장 높았으나 색도의 a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녹색이 약해졌다. 화학적 처리에서는 acetic acid에 비해서 fumaric acid에서 일반세균과 곰팡이의 저감 효과가 높았으며, fumaric acid 1.5% 용액에서 3분 처리의 저감효과가 가장 높았다. 달래의 미생물 저감 효과가 좋은 버블세척 3분 (B3), fumaric acid 1.5%, 3분 처리(F153),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한 병합(BF) 처리를 실시하고 9일 동안 4oC에서 저장하며 품질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일반세균보다는 곰팡이 저감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일반세균은 BF가 곰팡이는 F153에서 미생물 감소 효과가 있었다. 색변화에 있어 BF 처리의 ΔE값이 가장 낮았으며, 유기산 처리에서 색변화를 보여 F153에서 녹색이 약해졌다. 최대응집력 변화 알뿌리 보다는 녹색 줄기에서 현격히 나타났는데 저장 9일 차에 F153처리에서 녹색 줄기의 경도가 가장 높게 유지되었고 (P<0.05), 알뿌리 부분은 물리적 방법인 버블 세척 시 6일 차부터 다른 처리에 비해 낮아졌다(P<0.05). 달래의 미생물 저감과 품질의 유지를 고려할 때 전처리 방법으로는 fumaric acid 1.5%용액으로 3분 처리 시 미생물 저감 효과와 색·최대응집력의 특성 유지가 우수하였고, 3일 이내 의 유통기간이라면 병합 처리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적용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1.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ral factors, including genetic and environmental insults, impede protein folding and secretion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Accumulation of unfolded or mis-folded protein in the ER manifests as ER stress. To cope with this morbid condition of the ER, recent data has suggested that the intracellular event of an unfolded protein response plays a critical role in managing the secretory load and maintaining proteostasis in the ER. Tauroursodeoxycholic acid (TUDCA) is a chemical chaperone and hydrophilic bile acid that is known to inhibit apoptosis by attenuating ER stress. Numer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TUDCA affects hepatic diseases, obesity, and inflammatory illnesses. Recently, molecular regulation of ER stress in tooth development, especially during the secretory stage, has been studi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evelopmental role of ER stress regulation in tooth morphogenesis using in vitro organ cultivation methods with a chemical chaperone treatment, TUDCA. Altered cellular events including proliferation, apoptosis, and dentinogenesis were examined using immunostaining and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assay. In addition, altered localization patterns of the formation of hard tissue matrices related to molecules, including amelogenin and nestin, were examined to assess their morphological changes. Based on our findings, modulating the role of the chemical chaperone TUDCA in tooth morphogenesis, especially through the modulation of cellular proliferation and apoptosis, could be applied as a supporting data for tooth regeneration for future studies.
        4,000원
        12.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pressure plate treatment on chemical composition in Prunus mume sugar extracts (PSEs). Green Prunus mume fruit was mixed with an equal amount of commercial sugar and stored at 4 or 25oC for 9 mon with or without a pressure plate. The alcohol contents in PSEs stored at 4oC were lower than those stored at 25oC. The amygdalin contents in PSEs stored at 25oC with pressure plate were significantly low. The sucrose in PSEs was converted into glucose and fructose during storage. The glucose, fructose and total phenol contents in PSEs stored at 25oC were higher compared with those at 4oC. The total soluble solid and polyphenol contents in PSEs were increased at 25oC until 90 d and 4oC until 150 d and then the contents were constant. The total acidity in PSEs stored at 4oC were higher than those at 25o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orage tempera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alcohol, amygdalin and sucrose contents in Prunus mume sugar extracts (PSEs).
        4,000원
        1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양돈장 악취저감 효과를 분석 하기 위하여 물리적 처리 방법인 커튼과 화학적 처리 방법 인 오존수 분무를 병합처리 하는 오존수커튼 시스템을 상 업적인 양돈장에 설치하고 처리 및 설치 전․후의 악취발생 특성과 악취저감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존수커튼 시스템은 돈사내부의 악취물질과 먼지를 배기구를 통해 커튼 내부로 포집 후 오존수의 강력한 산화 력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안정적인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 임을 확인하였다. 오존수커튼 시스템 설치 후 돈사 내부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복합악취 농도가 높은 반면, 커튼 외부와 부지경계선에서 는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악취발생량 또한 크게 감소되 었다(p<0.01). 측정위치별 악취물질농도와 악취발생량은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복합악취 모두 계절에 관계없이 돈사 내부, 커튼 외부 및 부지경계선 순으로 높았다(p<0.01). 돈사 내부의 악취물질 농도는 환기량이 적은 봄과 겨울에 높고 환기량이 많은 여 름과 가을에 낮았으나, 돈사 외부와 부지경계선에서의 악 취물질농도는 돈사 내부와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양돈장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은 오존수커튼 시스템에 의한 물리화학적 처리로 90% 이상 저감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양돈장 외부로의 악취물질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악취민원 제거를 위한 효율적인 악취저감시설로 활용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RISPRs(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 CRISPR - associated(CAS) system has been used genome editing technology. Genome stage modification using CRISPR/CAS9 system can be used to wide research for the gene functional study and therapeutics. However, improving of CRISPR/CAS9 system in efficiency is essential for application in various fields. Here, we treated various chemicals during the procine early embryo development to increase the mutation of target site by NHEJ(non-homologous end joining). Firstly, we confirmed the chemical toxicity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and then check embryo puality using by counting of total cell number and TUNEL Assay in blastocyst satge. To check any improvement on mutation rate by NHEJ pathway. AZT(3′-Azido-3′-deoxythymidine, antiretroviral drug – 0.1 μM) was treated after injection of cas9 and sgRNA target to OCT4 exon 5 during the zygote stage, followed by PCR sequencing. As a result, AZT treated group shows a significantly increased in knock-out efficiency as a consequence of NHEJ. Nocodazole(anti-neoplastic agent – 200ng/ml), RO-3306 (specific inhibitor of CDK1 - 10 μM) and NU-7026(PKC signalling inhibitor - 50 μM) was treated after injection of cas9 and sgRNA with eGFP vector during the zygote stage(hpa8~hpa20) and checked a efficiency of knock-in by PCR sequencing. Interestingly, nocodazole treatment groups increased of insertion of eGFP sequence in blastocyst stage compared with non-treat group(control : 8.33%, nocodazole treatment : 16.67%). However, RO-3306 and NU-7026 made a no impact. In summary, CRISPR/CAS9 system with treatment of chemicals during porcine embryogenesis can be improving of site-specific mutation and enhancement of CRISPR genome editing.
        18.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thermal treatment yam (Dioscorea batatas DECNE.) was analyzed for its proximate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including mineral, vitamin, amino acids and fatty acids. Thermal treatment yam is mainly consisted of carbohydrate (70.3%) with small amounts of crude protein (15.8%), crude ash (5.1%) and crude fat (1.6%). It was found to be a good source of essential minerals such as K (1100.2 mg/100 g), Mg (99.4 mg/100 g), Ca (54.8 mg/100 g) and Na (44.9 mg/100 g) but Zn (4.8 mg/100 g) and Fe (0.2 mg/100 g) content was low. Little amounts of vitamin E (8.3 mg/100 g), vitamin C (3.5 mg/100 g) and vitamin B1 (2.1 mg/100 g) could be found. The amino acid analysis revealed that the yam was superior with respect to serine (1454.2 mg%), lysine (684.6 mg%) and histidine (684.6 mg%). Essential amino acids were calculated to be 2849.3 mg%. The amino acid profiles showed that thermal treatment yam is limiting in isoleucine and phenylaline. Linoleic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fatty acids with the value of 47.3% followed by palmitic acid (24.7%) and oleic acid (12.7%). And the unsaturated fatty acids including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present in big quantities in thermal treatment yam.
        4,000원
        1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II급에 해당하는 난쟁이바위솔의 종자 번식법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종자의 형태적 특성은 크기가 1.10×0.21mm, 1,000립 중이 496.0±0.21mg인 갈색의 미립종자였다. 종자의 함수율은 24시간 만에 8.8%에서 39.8%로 급속히 증가하여최대함수율을 보였다. 온도 및 광조건에 따른 발아율은20οC, 명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GA3와 KNO3용액에 24시간 처리함으로써 발아율과 발아세가 매우 향상되었다.특히 GA3 처리구는 10~100mg•L−1의 농도에서 발아율이99.0% 이상으로 매우 우수였으며, KNO3는 5mM 처리구에서 발아율이 81.3%로 가장 높았다.
        4,000원
        20.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의 저장성 증진을 위하여 46℃의 열풍건조기에서 0~9시간 동안 처리한 후, 저장 기간 중 화학성분들과 항산화활성이 변화하는지를 측정하였다. 복숭아 중 ascorbic acid의 함량은 13.81 ㎎%였으며, 열풍처리군은 11.73~14.16 ㎎%로 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열풍처리에 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중 함량 변화에서는 6시간 열풍처리군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대조군의 변화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대조군은 22.64 ㎎%였으며, 열풍처리군은 19.03~23.19 ㎎%로 복숭아 저장성 증진을 위한 열풍처리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중의 변화에서는 대조군보다는 열풍처리군에서 약간 높은 함량을 유지하는 경향이었다. Flavonoid 함량에서는 대조군 및 열풍처리군 모두 저장하는 동안 특정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변화에서는 대조군 및 열풍처리군 모두 개체 차이일 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 중 변화에서도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의 변화도 대조군과 열풍처리군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