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광시성(广西省)을 사례로 중국의 아세안 국가에 대한 고등교 육 협력 정책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광시성은 중국 중서 부와 해상 실크로드를 연결하는 관문이라는 지정학적인 위치를 적극 활용 해 아세안 국가를 대상으로 한 고등교육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중앙 정부는 국가 전략적으로 광시성에 해상 실크로드 전략 중 ‘민심상통’에 토 대가 되는 아세안과의 고등교육 협력 강화를 중점 과업으로 부여하고, 광 시성 지방정부는 지역이 가지는 지경학적 특성을 고려해 아세안 국가를 대상으로 고등교육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광시성은 “유 학 광시”를 브랜드화해 아세안 국가 학생을 유치하고, 아세안 국가 장학금 을 신설해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 아세안과의 교역 관계와 산 업 분업구조가 심화함에 따라 아세안을 대상으로 한 직업교육을 강화해 일대일로 구축에 필요한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즉, 광시성의 아세안 국가와의 고등교육 협력은 자국 고등교육의 국제화 수준을 제고하는 한편 중국과 아세안과의 산업 분업구조에서 필요한 산학 인재를 육성하는 전초 기지로 역할하고 있다. 나아가 아세안과의 ‘교육 공동체’ 구축을 강화하고 있어 ‘중국몽’의 토대가 되는 ‘교육 강국’, ‘인류운명공동체’ 구축을 뒷받침 하고 있다.
        6,000원
        2.
        202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CEP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SEAN, China and other contracting parties, significantly enhancing the cooperative levels between ASEAN and other essential economies in the region. It can develop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ASEAN and China with higher quality. First of all, this study used the Strengths (S), Weaknesses (W), Opportunities (O) and Threats (T) (SWOT) model to analyze the specific impacts of China’s participation in RCEP on the development of ASEAN’s manufacturing industry. Subsequently, strategic recommendations were put forward for the high-quality development of ASEAN’s manufacturing industry under the RCEP cooperation mechanism from four aspects of SO,WO, ST and WT. As the signing of RCEP provides an excellent development opportunity, the ASEAN member countries should carry out deeper cooperation with China; create new strengths for high-quality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erect a closer regional industrial chain and the supply chain; and promote the realization of a higher level of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ASEAN and China.
        5,800원
        3.
        202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RCEP) is the world's largest free trade agreement. The RCEP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hina’s agricultural trade especially in the ASEAN region which is China’s top export market, the second-biggest source of imports for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and largest trading partner in the agricultural sector. To boost trade development, this paper presents a detailed SWOT analysis of China’s agricultural trade with the ASEAN using the RCEP as the research background. Through the RCEP, China’s agricultural products are expected to achieve not only growth in trade scale and trade facilitation, but also stronger economic ties in East Asia. However, the RECP also poses new challenges to China’s agricultural trade structure, core competitiveness, and quality and safety system. Therefore, China should reinforce its brand building, optimize its trade layout, deepen its agricultural transformation, and improve its cooperation to better enjoy the trade dividends brought by RCEP.
        6,100원
        4.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중국의 일대일로 (Belt and Road Initiative)가 아세안 국가들에게 확산되어 중국이 이 지역에서 지배적인 세력이 될 것인가 하는 질문을 던진다. 이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아세안 국가 지도자들의 대중국 접근과 정치적 동학, 그리고 중국의 정치군사적 세력 확대에 대한 견제라는 두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이 두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할 때 아세안 국가의 일대일로는 중국 일방적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단순화 시킬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아세안 개별국가 정치지도자들이 자국 경제발전의 필요와 정치적 동학에 따라 일대일로의 구체적 사업들을 받아들이고 조정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둘째, 아세안 국가들은 중국과 경제교류를 지속하지만 동시에 정치적, 군사적으로 중국의 영향력 하에 지배되는 것을 거부하고 견제한다. 이와 같이 경제적 실리를 추구 하면서 동시에 중국의 세력 확대를 견제하는 전략을 헤징 (hedging)전략으로 설명한다. 실제 일대일로 케이스로 친중적인 미얀마와 말레이시아를 들어 이 나라 들에서 정치적 변화에 따라 일대일로 사업이 취소되고 재조정된 경우들을 살펴 본다. 이 두 나라를 비롯하여 아세안 국가들은 대부분 경제발전의 필요상 경제적으로 중국과 협력을 유지하지만 중국의 정치군사적 세력 확대로 자국이 위협 받는 것을 견제한다. 이것은 국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헤징전략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헤징의 개념으로 설명하면, ‘경제적 실용주의’로 경제협력을 추진하며, 다른 한편 정치군사적으로는 중국을 견제하여 다른 인도-태평양 국가들과 협력하는 ‘간접적 밸런싱’의 전략을 취한다는 것이다. 아세안은 중국의 지배적 영향 하에 들어가기를 원치 않으며 ‘아세안 중심성’을 유지하려 할 것이다.
        8,400원
        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utheast Asia has become a key area for the developmen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At present, among the six economic corridors planned by the BRI, Southeast Asia has covered two of them – the China-Indochina Peninsula Economic Corridor and the Bangladesh-China-India-Myanmar Economic Corridor. In the meantime, Southeast Asia is also an important part of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initiative, and thus can been considered as a sample of demonstration for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the BRI. This study finds that in recent years, China-invested infrastructure and connnectivity building (particularly the railway constructions) have been growing fast in Southeast Asia. In addition, a number of China-ASEAN industrial cooperation zones have been established. Together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enterprises settled in these zones, transnational supply chains have begun to take shape. In this context, China’s private-owned enterprises have also started to expand their investment in the Southeast Asian markets. Nonetheless, the BRI has been confronted with problems and challenges, and has been criticized for the lack of risk management, profitability, sustainability, localization and public support. It shows that the export of ”China Model“ can be problematic, as it remains not adapted to other countries’ local conditions. This research first looks at the achievements of the BRI in Southeast Asia, and then examines the problems and challenges in these projects. Finally, this article also aims to provide a number of policy recommendations to the Chinese government.
        5,200원
        6.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ramework Agreement for the ASEAN-China Free Trade Area was initiated in 2002. It is the first ASEAN Plus pattern free trade agreement in East Asia. To understand the cultural and historical bonds between China and Southeast Asian States, and contemporary Chinese regional political economy in building the ACFTA, this paper reviews the tributary trade and ancient Chinese diplomacy between China and the neighboring Stat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how the ACFTA is in the interests of all parties in the course of China’s fast economic and political growth. The following article highlights the ACFTA provisions by examining trading agreements in goods, services and investment in the context of the corresponding WTO provisions. In the end, it suggests the possible resolutions for achieving a win–win and interdependent ASEAN–China Free Trade Area.
        7,800원
        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출입 검역검사 조치는 불량제품 수입을 비롯한 전염병 등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지만 자유무역에 장애가 되는 주요한 비관세장벽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수출입 검역검사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가 간의 위생검역을 위한 협력은 검역검사의 긍정적인 작용을 이끌고 부정적인 작용을 줄이는 정책으로 유도하여야 한다. 중국-아세안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검역검사 협력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WTO 협정 및 중국-아세안 FTA 협정에 근거한 관련 검역검사 협정을 기초로 하여 중국-아세안 각국 검역검사 기관이 주체가 되어 서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러한 정책방향에도 불구하고 11개 국가로 구성된 중국-아세안 간의 위생검역의 상이한 법률, 검역검사에 대한 제도 및 운영상의 차이로 양측의 협력은 그리 순탄치만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아세안 각국의 농산물 위생검역 제도와 규정을 통하여 양자 및 다자간 위생검역 협의를 살펴보고 본 협의에 있어서 중국-아세안 위생검역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8.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the ASEAN has become more integrated as their common economic interests have been increasing due to globalization and recent changes in Southeast Asia.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CAFTA provide incentive for investment and trade between China and the ASEAN. The objective of laws regulating to investment should promote investment, which can be realized through a liberal, facilitative and transparent investment regime. The CAFTA’s investment regime continues along with the same trends of international investment agreements in general. However, in order to encourage regional integration, it needs to be improved in future practice.
        4,800원
        9.
        202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conomic globalization and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have become the world’s two major trends of the world economy, with most countries pursuing broader economic development of space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and trade ties. The geographic proximity of China and ASEAN nations, both in terms of resources, industrial structure, and industrial and agricultural goods, among other things, is very complimentary, and the growth of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has a distinct benefit. Long-term “neighborly and friendly” strategic partnership relationships have provided a solid framework for the growth of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a-ASEAN Free Trade Area can achieve a win-win situation by not only complementing each other and expanding bilateral trade and cooperation on a larger scale, but also strengthening overall competitiveness and its ability to resist risks. Friendly relations between China and ASEAN will be further consolidated and strengthened to improve the Chinese and ASEAN in East Asia and the Asian region’s political status and ability to deal with international affairs. This article proposes solutions to the challenges that exist in the China-ASEAN Free Trade Zone.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a-ASEAN Free Trade Area will not only consolidate and strengthen China’s and ASEAN’s already friendly and cooperative relations, but will also further promote China’s and ASEAN’s respective economic development and regional cooperation and competitiveness. Finally,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China-ASEAN Free Trade Area, China and ASEAN will enjoy the benefits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even more, face obstacles jointly, and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stability of Asian and global economies.
        10.
        202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OECD 국가 대 중국, 한국, 아세안 5개국의 해외직접투자 입지선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 다. 2003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도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순고정효과와 이원고정효과 분석 방법으 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현지국의 경제 수준이 해외직접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 천년 이후 중국 시장이 개방되면서 선진국과 자본 풍부한 국가들은 해외직 접투자에 대한 선택이 많아졌다. 국가 간의 무역량이 증가하면서 싱가포르의 지리적 우세를 점차 나타 내고 있다. 또한 아세안 5개국을 대상으로 단순고정효과와 이원고정효과에 대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 다. 아세안 5개국의 경제 수준은 해외직접투자 입지선택에 대한 투자 가능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라는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
        11.
        202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2003~2018년까지 16년간 중국이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에 직접 투자한 패널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한 것으로, IMF의 대표적 금융기관 발전 수준을 보여주는 FI (Financial Institution Index)와 금융시장 발전 수준을 보여주는 FM (Financial Markets Index)을 채택해 ASEAN의 금융 발전 수준을 가늠 하는 변수로 삼았다. 각국의 정치적 수준을 대변하는 WGI(Worldwide Governance Indicators)와 각국의 인간개발지수를 나타내는 HDI (Human Development Index)를 채택해 아세안 사회 환경을 가늠 하는 변수로 삼았다. 이를 조절변수로 삼아 아세안에 대한 중국의 직접투자를 각각 상호작용을 하여 중국의 직접투자가 아세안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관측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동남아국가연합(ASEAN)에 대한 직접투자가 유치국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아세안의 사회 환경과 금융 발전은 중국의 직접 투자에 대해 부정적인 조정 작용을 가져온다.
        12.
        202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determinants of China-ASEAN trade relations over the period of 2000-2018. Employing bo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d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Association of South East Asian Nations (ASEAN) have remarkably developed and rapidly grown over times, with a significantly important concentration on the segments of high technological and medium technological products. We also find that China’s economic scale is crucially impacting on the China-ASEAN trade relations under both the aggregate and sub-sector level. It is interesting to notice that there is no evidence to support accession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and officially forming of ASEAN-China Free Trade Agreement (ACFTA) to enhance trade relation between both sides. The findings also quantitatively indicate that there is much significant potential for the expansion of mutual trade between China and some members of ASEAN such as Brunei, Laos and Malaysia, while less potential is predicted for other members of ASEAN.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China and ASEAN should find a new proactive approach and make more efforts in improving the mutual political trusts to enhance trading activities in the coming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