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즘나무방패벌레의 온도별 발육과 생식력을 1998년 충북대학교 농생물학과 곤충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에서 54.0일이었고 에서 17.9일이었다. 와 에서는 발육하지 않았다. 알, 약충,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11.0, 10.9, 그리고 150.3, 230.6, 376.1일도였다. 암컷성충수명은 에서 51.8일이고 에서 일17.2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다. 암컷한마리당 산란수는와 에서 많았다. 내적자연증가율()과 1세대당 순증식율()은 에서 각각 0.170과 73.25로 다른 온도에서 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버즘나무방패벌레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 범위는 25~이었다.
버즘나무를 가해하는 우리나라 미기록 해충이 발생되어 동정한 결과 버즘나무방패벌레(신칭)로 확인되었다. 성충은 체장이 3.0~3.2mm이며 외견상 유백색을 띠고 있고 노숙약충은 검은색을 띠고 있다. 버즘나무의 잎 뒷면에 모여 흡즙 가해하며 피해엽은 황백색으로 변한다. 본 해충은 1995년 9월말 현재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등 중부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or developing natural preservatives and insecticide contained 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Elsholtzia ciliata and Agastache rugosa, the composition of two plants were analyzed and tested on microorganism survival and insectcide effect from TD-GC-MSD analysis. Main components of Elsholtzia ciliata were elsholtzia ketone, dehydroelsholtzia ketone (82%) and caryophyllene (10%). Main components of Agastache rugosa were estragole (88.2%), dl-limonene (4.5%), and trans-caryophyllene (2%). Inhibition activity of 70% methyl-alcohol extract of A. rugosa against growth of Enterobacter cloacae and Salmonella typhimurium was signifcant effect of observed clear zone and that of E. ciliata wa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respectively. The mosquito larvae was totally died treated by 0.5g powder of A. rugosa for 3 hours, while 80% of the mosquito larvae was died in E. ciliata powder processing. Mortality of mosquito is the first 5 minutes after the smoked incense treatment showed 65% is E. ciliata and 80% in A. rugos and then finally all mosquito died after 20 minutes.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하여 향유로부터 정유물질을 추출하여 향기성분과 항산화물질을 최대로 추출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얻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품질특성으로는 yield, total phenolics, electron donating ability 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estrgole과 L-carvone을 선정하였다. 반응변수들은 추출시간보다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측정된 변수에 대하
한약재 향유의 정유성분, absolute 및 oleoresin을 추출분리 동정하고,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세포독성, 돌연변이 유발성 검정 및 거담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향유의 정유성분의 수율은 0.34%이었으며, naginate ketone이 29.37%와 elsholtizia ketone이 14.37%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향유의 absolutes의 수율은 11.33%이었으며, methyl linolenate가 12.07%이었고, palmitic acid 10.46% 비율로 존재하고 있었다. 향유의 oleoresins의 수율은 15.24%이었으며, 9,12,15-octadecatrienoic acid가 18.6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세 방법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시험에서 향유의 정유성분과 oleoresins을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지질과산화를 잘 억제하였으나. absolutes는 같은 농도에서 거의 억제하지 못하였다. 향유의 정유성분과 oleoresins은 24시간에서 EC50값이 25 μg/ml이하로 고농도에서만 약간의 세포독성이 있으며, 향유의 absolues와 oleoresins은 고 농도에서도 돌연변이 유발성과 향균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유성분은 500 μg/plate 이상 처리시 돌연변이 유발성 뿐만 아니라 항균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유의 정유성분과 oleoresins은 약간의 거담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