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factors driving parasocial relationships and their effect on brand equity. A conceptual model including the following variables is proposed: opinion leader attributes, parasocial relationship, brand equ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dorser-brand congruenc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s analyzed using a survey of 301 Chinese consumer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s employed to examine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mong all variabl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opinion leader attributes of expertise and exploration positively affect the parasoci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the endorser, and the parasocial relationship and brand equity are positively associated. Furthermore, endorser-brand congruency acts as a moder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inion leader attributes and the parasocial relationship.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scussions are provided.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luxury brand's logo on disparity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Using implicit association 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implicit attitude and explicit attitude towrd a luxury product when luxury brand's logo is present (i.e., Prada). In contrast, implicit attitude and explicit attitude are negatively correlated when luxury logo is absent (i.e., Bottega Vene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gruency of parent brand image with self-image, perceived risk, and product knowledge on the attitude towards extended product in fashion brand extension.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170 female college students and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gruency of parent brand image with self-image and perceived risk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s extended product, whereas product knowledge had a nega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s extended product in fashion brand extension. Also, the congruency of parent brand image with self-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s extended product in fashion brand extension with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risk and negativ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knowledge.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를 능력, 공통 개념, 행위 동사로 구분하였으며, 이 자료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능력 요소와 관련하여 교과서는 인지적, 정의적 영역을 주로 강조하였다면 교육과정은 이외에도 탐구능력을 함께 강조하였다. 공통 개념은 교과서가 교육과정보다 더 다양한 요소가 사용되었다. 행위 동사 요소는 '이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대부분 인지 체제 수준으로 제시한 것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레스토랑의 실내 색채와 배경 음악 및 레스토랑 분위기의 일치성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인 지역 20~30대 400명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색채와 음악의 앙상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D studio MAX를 활용하여 high-stimulus(exciting) 자극물과 low-stimulus(calm) 자극물을 제작하여 3D 가상현실 레스토랑 시뮬레이션 자극물로 활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WIN 18.0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감정적 반응은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의 2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와 충성도는 1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크론바하 알파값이 조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0.7 이상을 나타내어 적합하게 나타났다. 색채와 음악이 레스토랑 분위기와 어울리는 정도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만족도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배경음악의 어울림이 실내 색채의 어울림보다 긍정적 감정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실내 색채의 어울림이 배경음악의 어울림보다 부정적 감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레스토랑 분위기와 색채, 음악의 조화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993-98년 동안 농촌진흥청의 벼직파재배 연구현황과 연구자원 배분의 경제적 합리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직파기술분야별 연구는 과거에는 기초연구부문에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직접 농민들의 현장애로를 타개하기 위한 파종, 입모, 잡초방제, 물관리 등 기능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투자가 확대되었다. 2. 직파재배의 초기에는 파종과 품종육성 부문에 연구투자가 크게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그 비중이 줄어들고 시비개선, 잡초 방제, 물관리 부문에 대한 연구자원 배분이 늘어나고 있다. 3. 토양관리와 입모에 관한 연구비중은 줄어들고 있어 농민들의 이 부문에 대한 현장 애로는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4. 벼직파재배에 대한 연구의 경제적 성과와 연구자원 배분은 기술분야별 일치성이 커서 합리적인 연구자원 배분이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