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6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에서는 온라인 거래를 통한 화훼류의 판매가 증가 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양한 운송 시스템과 포장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품질과 관련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일반 택배 배송을 이용하는 직거래 방식 은 다양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절화장미는 외부의 환경에 노출되는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 박스와 외부의 환경과 단절된 밀폐된 포장 박스가 사용되 고 있다. 포장 박스의 종류에 따른 절화장미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통기구가 있는 포장 박스를 이용하여 택배 운송한 절화장 미는 운송 중의 낮은 습도로 인해 생체중 감소가 높아 품질이 하락하였다. 밀폐된 포장 박스를 이용해서 운송한 절화장미는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 박스를 이용해 운송한 절화장미보다 생 체중 감소는 작았지만, 포장 박스 내부의 온도가 높아져 품질이 하락하였다. 내부가 코팅된 밀폐형 포장박스 내부에 절화장미와 함께 냉매를 동봉하여 포장 후 운송하면, 운송 중 포장박스 내부 의 온도를 경감하고 품질을 보존하는 효과가 있었다.
        4,0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국화의 수경재배와 토경관비재배 시 생육 특 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장, 절화의 생체중 과 건물중은 토경관비재배에서 증가하였다. 식물체 내 전질소, 칼륨 및 칼슘의 함량도 토경관비재배에서 더 높았다. 반면에 줄기 직경은 수경재배에서 3.7mm로 증가하였다. 또한 개화소 요일수도 토경관비재배보다 수경재배에서 3일 정도 단축되었 고, 줄기 1개당 꽃 수도 19.6개로 수경재배에서 더 많았다. 결과 적으로 토경관비재배에서 식물체 내 무기염류 함량이 높고, 초장이 길어지고 생체중, 건물중이 증가하였지만 수경재배보다 개화기는 지연되었다. 또한 토경관비재배보다 수경재배에서 줄 기 직경이나 꽃 수 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재배자의 입장에서 국화 수경재배를 통해 양분과 수분 공급량의 조절에 의한 개화 기의 조절, 조기 개화 및 절화 품질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consumer perceptions of vase life (VL) guarantees for cut flower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predict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conducted in Osaka and Fukuoka, Japan, targeting both general customers and individuals in the flower industry. Results revealed that although awareness of AI technology was widespread, trust in AI’s ability to predict VL varied among customer groups. General customers in Fukuoka showed greater interest in VL guarantees, a willingness to pay higher prices, and higher trust levels in AI-based prediction systems compared with customers in Osaka. Conversely, flower industry professionals expressed less interest in VL guarantees and were less inclined to pay higher prices regarding AI systems, despite moderate trust in AI’s capabilities. Consumer preferences highlighted demand for VL guarantees, particularly in Osaka, whereas guarantees of up to 7 days were preferred. Notably, 48.3% of general customers favored a 7-day guarantee, whereas 44.7% of flower industry professionals preferred a 10-day guarantee.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in consumer perceptions of VL guarantees and AI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guarantee systems for cut flowers and enhance public relations strategies in distribution and export markets.
        4,000원
        4.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nvestigated an appropriate saw-cut time frame for jointed concrete pavements. Rectangular slabs (400–500 × 500 × 150 mm) were prepared for saw-cutting tests, and experimental specimens were made using different mixes (type I cement, slag, Fly ash, high early strength cement, etc.) and temperature curing conditions (10, 20, and 25 ℃ as well as variable field conditions). METHODS : A prototype saw-cut device was manufactured to avoid unwarranted joint cutting using uncontrolled saw-cut equipment. The setting times were determined using Proctor penetration resistance (PR)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UPV) tests. The setting times were converted to setting maturities. To link the setting time of the concrete with the initiation time for saw cutting, successive parallel cuts were performed on the rectangular slabs for all mixes. A series of saw-cutting attempts were made between the final setting time and the time when the raveling index (denoted by R) exceeded a value of 2. Reconstructed images of the saw-cut segments were then analyzed using ImageJ, which is a commonly used, open-source software tool. RESULTS : Considering the PR and UPV settings, the final setting of the PR test was adopted as the basis for the correlation curve. The saw-cutting maturity at R = 2 was correlated with the setting maturity of each mix and curing condition. CONCLUSIONS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w-cutting maturity and setting maturity was represented by a lower limit line,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this study.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for the test was 0.74, indicating that the proposed PR test at the final setting and image-based techniques provided an optimal method by which to determine the saw-cut initiation time. Another upper limit line can be introduced by using the HYPERPAV software tool for any concrete mix under diverse curing conditions..
        4,300원
        5.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스트로메리아(Alstroemeria)는 알스트로메리아과(Alstroemeriaceae) 에 속하는 단자엽 식물로,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절 화 작물이다. 국내에서도 재배되는 대부분의 품종은 수입묘로, 비싼 로열티를 지불하고 있어 국내 품종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정 전 장벽 타파 방법 중 하나인 화주절단수분법을 알스트로메리아에 적용하여 자가수분을 통 한 착과율과 종자 결실 수를 파악하여 화주절단수분법의 가능성 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착과율은 무 절단, 20% 절단, 50% 절단, 90% 절단, 100% 절단에서 각각 80%, 60%, 30%, 10%, 0%로 나타났으며, 처리구별로 수분 전과 수확 후 자방의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종자 결실 수는 무 절단, 20% 절단, 50% 절단, 90% 절단, 100% 절단에서 각각 22개, 10개, 3개, 1개, 0개로 나타났다. 자방 당 종자수는 2.2개 1개 0.2개, 0.1개, 0개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결과를 바탕 으로, 자가수분을 통한 화주절단수분법으로는 자방 당 종자 수 의 증대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자가불화합성 계통 또는 종간교 배를 통한 품종 육성 시 화주절단수분법이 새로운 품종 육성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산 절화류 품질보증 가이드라인 기초자료 제 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산 절화류 20품목을 대상으로 소비 단계에서의 계절별 절화수명과 상업용 절화보존제 효과를 조사 하였다. 그 결과, 계절별 절화수명의 차이가 뚜렷했고 사계절 중 여름철에 46.2% 짧아졌다. 또한, 계절과 상관없이 국내산 절화류 20품목의 절화수명 품질보증 기한을 3수준(3일, 5일, 7일 이상)으로 분류 가능하였다.
        4,000원
        7.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작약의 품종간 개화시기 차이와 저온에서 장기 저 장이 가능한 품종을 선발하여 절화 유통 기간을 연장하기 위하 여 수행하였다. 작약 24품종을 대상으로 2022년 국립원예특작 과학원 시험포장에서 개화시기와 절화 품질을 조사하였다. 봉오 리 상태에서 수확한 작약을 건조 저장법으로 -1℃에서 60일 저장한 후 절화 수명과 절화품질을 조사하였다. ‘의성작약’은 홑 꽃이었고 나머지 품종은 겹꽃이었다. 개화시기는 5월 10일부터 18일 사이였으며, ‘Etched Salmon’, ‘Monsieur Jules Elie’, ‘Gilbert’, ‘Henry Bockstoce’는 개화일이 5월 10일로 가장 빨랐고, ‘Elsa Sass’는 5월 18일로 가장 늦었다. 식물체 키는 74.6∼107.8cm 였고, 절화 무게는 ‘Henry Bockstoce’ 품종 이 89.8g으로 가장 무거웠고, ‘Angel Cheeks’ 품종이 26.7g으 로 가장 가벼웠다. 꽃의 주된 색은 흰색, 빨강색, 분홍색, 자주색 이었다. -1℃에서 60일간 저장 후에 꽃과 잎의 상태가 아주 양 호한 품종은 ‘Kansas’, ‘Ole Faithful’, ‘Sonw Mountain’이 었다. 절화수명은 ‘Nick Shaylor’ 품종이 8일로 가장 길었고, 다음으로 ‘Blush Queen’, ‘Elsa Sass’ 품종이 7일이었으며, ‘Gilbert’, ‘Highlight’ 품종이 1일로 가장 짧았다. 작약은 저온 장기 저장에서 일부 품종을 제외하고는 꽃과 잎에 저온장해 증 상이 발생하였다. 이와같은 결과는 작약재배시에 품종 선택과 수확후 저온 장기 저장을 통하여 유통기간을 연장하고 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8.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3년 2월에서 2023년 11월까지 온라인으로 구매한 신 선편의식품 110건과 즉석섭취식품 115건을 대상으로 위생지 표균(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대장균)과 식중독균(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병원성대장균)의 오염도를 조사하 였으며, 분리된 균주를 대상으로 병원성 유전자를 확인하 였다. 배송 형태는 보냉제를 사용해 배송 시간은 평균 24시간 이 소요되어 일반 택배로 배송되었고 제품 표면온도 평균 은 11.3oC이었다. 일반세균 정량분석 결과, 신선편의식품 의 평균 일반세균수는 4.5 log CFU/g, 즉석섭취식품의 평 균 일반세균수는 10.6 log CFU/g로 나타났다. 대장균군 정 량분석 결과, 신선편의식품, 즉석섭취식품 각각 평균 1.2 log CFU/g이었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S. aureus, Salmonella spp., C. perfringens, 병원성대장균은 모든 제 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의 경우 신선편의식품 및 즉석섭취식품에서 각각 3건(2.7%), 1건(0.9%) 검출되었 고, 오염 수준은 신선편의식품에서 평균 0.05 log CFU/g, 즉석섭취식품에서 0.01 log CFU/g으로 나타났다. B. cereus 검출된 4건의 검체에서 B. cereus가 생성하는 독소 유전자 6종(hblC, bceT, entFM, nheA, CytK, CER)에 대한 유전자 확인시험 결과 4주가 분리되었고, 구토독소를 제외한 1개 이상의 장독소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L. monocytogenes의 경우 즉석섭취식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신선편의식품 1건(0.9%)이 검출되었다. 분리한 L. monocytogenes에서 iap 등 6종의 병원성유전자가 검출되었고, 1/2a 혈청형이 확인 되어 식중독 발생 위험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9.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Hanwoo industry must develop technologies that can increase the production of preferred cuts to match changing consumer trends.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imate the genetic parameters for carcass traits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back fat thickness, and intramuscular fat) and primal cut traits (tenderloin, loin, strip loin, neck, clod, top round, bottom round, brisket, shank, and rib) in a Hanwoo population to obtain basic data for improving primal cut productivity. Methods: Data from 1,905 Hanwoo steers, including carcass traits and primal cut weights, were collected. Genetic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REMLF90 in a multi-trait analysis. Results: High heritability was found for carcass weight (0.52) and strip loin yield (0.63).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carcass weight and primal cut weights ranged from 0.52 to 0.93.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significant potential for genetic improvement in Hanwoo cattle through selective breeding, particularly for traits with high heritability and genetic correlations. These findings provide crucial insights into optimizing breeding programs to improve Hanwoo cattle production efficiency.
        4,000원
        20.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마트팜으로 알려진 지능형 온실환경 제어(스마트제어)가 겨울철 장미 ‘비스트’의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기존의 농 가 수동제어(수동제어)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지능 형 스마트제어가 온실환경인 기온, 배지온도, 상대습도를 겨 울철 절화 장미 생산에 적합하게 유지시켰다. 반면, 수동제어 는 적정한 환기와 상대습도 관리에 다소 불리하였고, 결과적 으로 겨울철 과습으로 흔히 발생하는 잿빛곰팡이 발병이 증가 했으며 절화수명이 단축되었다. 절화의 생체량, 길이, 수명 등 절화품질 역시 스마트제어를 통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었다. 이 번 연구를 통해 스마트제어 방식이 시설환경관리 측면에서 겨 울철 고품질 절화 장미 생산에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