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honosemantic books listed in Jing Dian Shi Wen (經典釋文), Chunqiu Zuoshi Yin (春秋左氏音) authored by Fu Qian during the late Eastern Han dynasty is the earliest one, marking it as the first work in Chinese phonosemantics studies. From that point, the study of Chinese Phonosemantics has spanned over two millennia. In 721 AD, during Kaiyuan ninth year of Tang Dynasty, Yuan Xingchong presented the Kaiyuan Qunshu Sibu Lu (開元群書四部録) in 200 volumes. It established the “Exegesis of the Classics” category, which included Jing Dian Shi Wen (經典釋文), altering the dependent relationship of phonosemantic books to the classics. It also introduced the “Interpretation of Ancient Texts” category for exegetical books, and the “Traditional Chinese Linguistics” category exclusively for books on Chinese characters and phonology books, subtly forming a structure divided into character, phonology, exegesis, and phonosemantics, which is a significant event in the history of Chinese phonosemantics studies. In Year 1041, during the first year of the Qingli reign of Emperor Renzong of Northern Song Dynasty, Ouyang Xiu compiled the state bibliography Chong Wen Zong Mu (崇文總目) and moved Jing Dian Shi Wen (經典釋文) from the “Exegesis of the Classics” category to the “Traditional Chinese Linguistics” category. Works like You Mao’s Sui Chu Tang Shu Mu (遂初堂 書目), Chao Gongwu’s Jun Zhai Du Shu Zhi (郡齋讀書志), and Chen Kui’s Zhong Xing Guange Shu Mu (中興館閣書目) followed this arrangement, affirming the Chinese linguistic attributes of phonosemantic books, having profound and far-reaching implications. During the Qing Dynasty, Xie Qikun’s Xiao Xue Kao (小學考) established “Phonosemantics” as a distinct category, encompassing various phonosemantic books from the Han and Wei dynasties onward, without restricting them to the type of Jing Dian Shi Wen (經典釋文). This positioned phonosemantics alongside exegesis, character, and phonology as one of the four major branches of traditional Chinese linguistics, solidifying its academic status. In addition to Xiao Xue Kao (小學 考), other significant works of the Qing dynasty, such as Lu Wenchao’s Jing Dian Shi Wen Kao Zheng (經典釋文考證), Wu Chengshi’s Annotations on Prologue of Jing Ji Jiu Yin (經籍舊音序録疏證), Prologue of Jing Ji Jiu Yin (經籍舊音序録), Differentiation of Jing Ji Jiu Yin (經籍舊音辨證), Huang Zhuo’s Collation on Jing Dian Shi Wen (經典釋文匯校), and Hong Liangji’s Han Wei Yin (漢魏音), have become vital works in the disciplinary history of Chinese Phonosemantics.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research in Chinese phonosemantics studies has seen expansive and deeper developments, particularly in the studies of Tang and Five Dynasties’ Buddhist Scriptures phonosemantics and correspondence of sound and meaning. The former was a weak area in earlier Chinese phonosemantics research, while the latter addresses the core issues of the field. Seizing this opportunity, Chinese scholars formally proposed the disciplinary concept and objectives of “Chinese Phonosemantics”, leading the establishment and in-depth exploration of its theories, materials, and research methods, creating an unprecedented surge of interest in the field.
        7,800원
        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actice turn in the science education community emphasizes students’ engagement in the activities that scientists and engineers actually do when they see, explain, and critique a phenomenon, or solve a problem. This tur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for students.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xamination of relevant literature with the aim of proposing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derived teaching strategies for students’ productive disciplinary engagement (PDE) through model-based learning (MBL) in science classrooms. To this end, collected literature focusing on PDE and MBL was analyzed to better understand 1) how teachers can foster students' PDE in science classrooms, 2) how PDE can be connected to MBL, and 3) what supports are required for students’ PDE through MBL. As a result of our analys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DE and MBL was identified. Importantly, this research reveals the promise of MBL for supporting students’ PDE through the problematizing, authority, accountability, and resources. Further, our literature examination provided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supports are required for students’ engagement in PDE through MBL and why this matters in the context of the practice turn in science education.
        4,000원
        4.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세계문학의 관점에서 조이스 문학을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진단한다. 세계문학에 대한 논의가 가져온 새로운 이론적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세계문학의 지도에서 조이스 문학의 좌표가 어떻게 새겨질 수 있는지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세계문학의 개방성과 폐쇄성에 대한 자기반영적 성찰을 통해 세계문학 연구의 학제적 무의식을 밝힌다.
        4,800원
        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행법이 강제하고 있는 사항이 아님에도 모든 사립학교법인은 정관에 소속 교원의 징계와 관련된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 및 형식 은 「사립학교법」 상의 관련 규정을 완전히 동일하게 옮겨 적고 있거나 요약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 현행법이 교원의 징계와 관련해 정관 등 자치규범에게 위임한 것으로 보이는 내용들을 명문으로 규정하지 않 은 채 교원징계위원회의 결정에 위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사립학교법인의 정관이 가지고 있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교원에 대한 징계처분이 학교법인의 운영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사안이 아니라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규 정 내용 및 형식은 임용권자 및 교원으로 하여금 징계와 관련된 예측가 능성을 상실하게 만들며, 그 결과 징계와 관련된 불필요한 분쟁을 발생 시키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사립학교법인의 정관 상 교원의 징 계와 관련된 규정은 각 학교법인의 현실에 맞도록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 적으로 규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징계의 사유, 징계양정, 징계에 필요한 서식 및 기타 사립학교법에서 위임한 사항들은 반드시 정관에 포함되어 야 할 것이다. 「사립학교법」은 강행규정으로서 이를 위반한 정관 상의 징계규정은 무 효이다. 대표적으로 정관에서 징계위원회의 구성과 관련된 내용을 달리 규정해 놓은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징계의 시효와 관련해서 는 달리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징계시효제도의 목적은 사용자가 징계 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을 제한함으로써 근로자가 상당 기간 불안정한 지위에 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데에 있는바, 「사립학교법」 상의 징 계시효기간보다 단기의 기간을 설정해 놓은 정관상 징계시효규정의 유효 성에 대한 판단은 일반적인 경우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 립학교법」 상의 징계시효기간은 수차례에 걸친 개정을 통하여 연장되어 왔다는 점과 함께 그 기간을 보다 장기간으로 연장하려는 현재의 입법 동향 등을 고려한다면, 이 또한 절대적인 기준으로서 이를 위반한 정관 상 징계시효규정은 효력이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6.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used to analyze current trends in environmental and technology color research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how color plays a crucial role in engineering, medical science, law, design, arts, marketing, and business. The study shows that understanding the complexities of color perception can contribute to better product and building design and the use of color therapy in medicine.
        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현행 징벌제도의 실무상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회복적 정의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징벌은 미결수용자의 재판과 기결수용자의 가석방 등 처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징벌처분의 절차에서 갈등을 조정하고 회복하고자 하는 과정을 마련해 보자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회복적 정의에 기초한 수용자 징벌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근원적 측면에서 독거실의 비율을 확대하자는 것이다. 둘째, 실체적 측면에서 징벌의 종류로서 훈계, 전실처분, 수강처분, 배상처분, 치료처분 등을 신설하자고 하였다. 셋째, 조직적 측면에서 ‘징벌위원회’를 ‘회복위원회’로 그 명칭을 변경하고,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청문관을 두자고 하였다. 넷째, 절차적 측면에서 회복절차회부편의주의를 법률로 도입하고, 교정현장에 기초회복위원회를 설치하며, 재심회복위원회를 지방교정청에 설치하는 등 교정공동체의 규범체계 안에서 단계적으로 갈등을 회복시키기 위해 징벌절차를 현행 단층구조에서 다층구조로 전환하자고 주장하였다. 현행 응보형 징벌제도의 문제점을 회복형 징벌제도로 전환해 보자는 시도를 통해 응보형 징벌제도의 단점을 보완하고, 회복적 정의이념의 장점을 접목하여 교정행정에 있어 창조적 콜라보레이션을 실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8,300원
        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1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분야통합해석에 기반한 설계문제는 일반적으로 전체 설계과정에서 매우 큰 계산시간을 요구하며, 이러한 계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병렬처리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다분야통합해석에 기존의 병렬처리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석에 필요한 모든 CAE 소프트웨어들이 병렬처리시스템의 모든 서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이는 매우 큰 CAE 소프트웨어의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중치 기반 멀티큐 부하분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서버들의 성능과 설치된 CAE 소프트웨어들의 종류가 각기 다른 이종 병렬처리시스템을 고려하였으며 성능검증을 위해 선입선출(First Come First Servre) 알고리즘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한 전산실험을 수행하였다.
        4,000원
        11.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해사나 기관사 등 해기사에 의한 선박운항 과정에서 이들의 과실이나 부주의로 인한 해양사고나 위법행위가 발생한다. 그 결과 로 해기사 면허에 대한 행정처분이 따른다. 처분 즉, 면허징계는 올바른 법규와 절차에 따라서 형평성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현황파악을 위하여 B지방해양수산청에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이루어진 737명의 해기사 면허 징계처분 내용을 살펴보았다. 분석내용은 징계처분통보기관, 면허종류, 당시 직책, 징계량, 위반행위, 연도별 처분현황, 징계규정과 절차 그리고 경감규정과 감면 정도 등이다. 분석 결과 관련 규정별 징계량 편차, 징계 규정 미비, 면허종류별 징계 대상자 편차, 징계 경감규정 미비 그리고 선원행정처분심의회 역할 부족 등의 문제점이 식별되었다. 마지막에 드러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해기사에 대한 다수의 실제 행정처분 사례를 분석하고 미비점을 확인하여 개선안을 제시한 것으로, 향후 해기사에 대한 연구나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12.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feiture is a property punishment that deprives a crime-related property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repetition of a crime or preventing it from profiting from the crime. In addition, Confiscation is a Judicial disposition to pay for the whole or part of the forfeitured object if it can not be forfeitured. Article 48 of the Korean Penal Code stipulates forfeiture and confiscation, and stipulates arbitrary. However, Article 134 of the Criminal Code (money to be paid to a bribe or bribe received by a criminal or a third person who knows the criminal in bribery), Article 206 of the Criminal Code (opium, opium, morphine), Article 357 (3) of the Penal Code (the property acquired by the criminal) and many special laws require forfeiture and confiscation as essential. In regard to such general forfeiture and confiscation, the Supreme Court refers to the forfeiture and confiscation in some special act as ‘disciplinary forfeiture and confiscation’ for the purpose of punishing without aiming at the deprivation of profits in light of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and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and in the case of ‘disciplinary forfeiture and confiscation’, it acknowledges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of confiscation. In this article, I will review critically on what the Supreme Court has called ‘disciplinary confiscation’ for the forfeiture and confiscation of foreign exchange transaction act, and examine the problems of collective responsibility of confiscation.
        14.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e elements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uster us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suggests a promoting strategy by development stage of cluster. As a sub-category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cluster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noticeable methodological argument to make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come true. In the meantime, this study examines the core elements of cluster shown in the theories and examples through six academic fields such as economics, geography, regional development, business administration, sociology and pedagogy and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By means of establishing the incubation stage in the development of cluster, core elements are composed in the stages of birth, incubation and evolution in subsequent manner. A promoting strategy will be suggested through the implication of core elements in the reestablished s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