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gency needs to maintain a solid and reliable foundation for recruited inspectors by providing practical training at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s. The Comprehensive Inspection Exercise (CIE) is a basic training which consists of a simulation of a Design Information Verification (DIV) Visit, a Physical Inventory Verification (PIV) at a nuclear power plant, including Complementary Access. The basic curriculum includes a pre-course session, auditing exercises, fresh fuel (bundles and assemblies) measurements, spent fuel (bundles and assemblies) measurements, verification of design features, as well as nuclear material flow. ROK has been holding the lightwater reactor (LWR) / heavy-water reactor (CANDU) training course (CIE) from 2010 every year with about 2 weeks curriculum through MSSP (Member State Support Program). LWR and CANDU are operated by KHNP.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safeguards, IAEA receives the contribution through the ROK support program and implement R&D for the nuclear material inspection. ROK has been supporting and contributing total 22 tasks to IAEA in-cash and in-kind. Among them, this training provides for a course on safeguards verification activities at CANDU and LWR facilities. This course offers inspectors a unique opportunity to understand diversion scenarios an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instruments specifically used at CANDU and LWR facilities (OFPS and DCVD), as well as spent fuel dry storage transfer verification activities and dry storage dual sealing arrangements. KINAC performs PoC (Point of Contact) on behalf of NSSC and coordinates work between IAEA and KHNP. Additionally, KINAC first discusses with KHNP that can host light-water reactors and heavy-water reactors with KHNP at the beginning of each year. In order to hold a successful training, ROK plans and carries out a lot of process including agenda, accommodation, equipment movement, logistics and so on in consultation with the IAEA and facilities.
교량에서의 후설치 앵커는 시공 중 또는 유지관리시 주요 부재 또는 부대시설의 설치를 위하여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후설치 앵커를 적용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인 교량 점검시설의 설계와 시공 사례를 소개한다. 지금까지 교량의 점검시설은 하부구조와 상부구조 콘크리트가 경화된 이후에 앵커 구멍을 뚫은 후 앵커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앵커 시스템이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공 과정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실 교량에서 콘크리트 부재에는 철근이 배치되어 있고, 표면 또한 요철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작업 여건이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부적절한 시공 사례도 빈번 하게 나타난다.
도로 교량 시설물은 국가 기반 시설물로써, 인적, 물적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회적 경제성 창출 효과를 유발 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역간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국가 균형발전에 이바지하여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1970-80년대 고도의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수의 도로 교량이 집약적으로 건설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설물들이 노후화되면서 도로 교량 시설물의 합리적인 자산 관리 및 의사결정체계 운용을 위하여, 국내에서는 시설물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종합성능평가 안이 도출되었다. 현행 교량 종합성능평가에서는 1,2종 시설물에 대한 평가 성능으로 안전성능, 내구성능, 사용성능을 합산하여 종합적인 등급을 산정한다. 하지만, 국내 도로 교량 중 대다수인 중소 교량에 대해서는 종합성능평가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며, 이에 대한 적용성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설물안전법’」에서는 제1종 및 제2종시설물에 대하여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통하여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종외 시설물의 노후화에 따른 안전관리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제3종시설물을 지정하여 안전관리를 할 수 있도록 시설물안전법을 전부개정(’18.1.18.)하여 시설물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 ‘제3종시설물 안전등급 평가 매뉴얼(이하 ‘매뉴얼’)에서는 교량, 터널, 건축물 등 시설물에 대한 정기안전점검 기준 및 방법에 대하여 평가 등급기준을 3단계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매뉴얼의 3단계 평가체계에서 5단계 평가체계로의 전환을 위해 평가등급별 기준을 도출하였으며, 현장적용성 검토를 통해 평가지 표의 적정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최근 지진 및 자연재해의 영향으로 인한 노후 건축물의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에 대한 정기적인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특히나 소규모 노후시설물의 경우 정기적인 안전점검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내진성능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시설물도 많다. 본 연구에서는 준공 후 40년 이상 된 소규모 교육시설의 정밀안전점검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유지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uitable maintenance guide or plan for future small scale vulnerable facilities by analyzing the investigation data collected through the safety inspection. For this, we examined about 3,301 buildings. From a number of defects, damages associated with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building were preferentially analyzed.
Usually, we have many difficulties in funding because of the prejudice that the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are not a critical part in bridges. Also, high initial cost resulted in the decrease trend in installing the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But, in this research, we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installing fixed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are most economical and more effective in required time, input man-power and equipments than any other means to approach bridges by analysis considering LCC(Life Cycle Cost).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guidelines for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surveying for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and analyzing old guidelines, new guidelines for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were proposed.